구매하기
장바구니
최근 들어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기준 요건이 강화되는 등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수반되고 있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은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지식 및 기술을 사회복지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장래 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회복지실천능력을 겸비하도록 교육⋅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전공의 핵심 교육과정이다. 특히 이론과 실천의 통합적인 접근을 요하는 사회복지학의 전공 특성상 사회복지전공 교육과정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그러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실천능력 배양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과정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반성의 여지가 있다.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함양하는 초기 관문으로서의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실천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지도할 수 있는 지식 인프라 구축 및 교재 개발이 무엇보다 시급하고 절실하다. 저자는 현장실습에 임하는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이론과 실천을 아우르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재에 대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이 책을 집필하였다. 따라서 이 책이 사회복지 교육현장과 실천현장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해주리라는 바람으로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이 현장실습 전에 학교에서 배운 사회복지 지식과 기술을 현장실습 중에 보다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책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책은 세 개의 큰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PART 1은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는데,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목적, 진행주체, 진행과정, 영역 그리고 실습슈퍼비전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PART 2는 사회복지현장실습과정 중에 집중적인 역량 향상이 요구되는 사회복지실천의 윤리, 지식 및 기술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이 섹션에는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지역사회 탐색과 분석, 기관 탐색과 분석, 마케팅과 자원개발,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포절 작성, 사례관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PART 3은 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의 기록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문서 작성 및 관리 그리고 보고서 작성방법을 제시하였다. 한편 부록에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서식,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신청서 표준 양식 및 작성 예시, 아산사회복지재단 사회복지 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양식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이 책을 흔쾌히 출판해 주신 도서출판 공동체에 감사드리며, 출판을 위해 지원과 배려를 아끼지 않으신 직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이 책이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준비하거나 실습에 임하는 실습생들에게는 길잡이가 되고, 실습기관 및 대학에서 실습을 지도하는 선생님들에게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2020년 6월
조성숙
제1부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이해
제1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목적 11
1.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개념 11
2. 사회복지현장실습의 목적 11
3.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주요 내용 12
4.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교육과정 13
제2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진행주체 15
1. 실습생 15
2. 교육기관(대학) 17
3. 기 관 18
제3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진행과정 23
1. 실습 전 준비단계 24
2. 실습 수행 단계 31
3. 실습 후 단계 36
제4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영역 37
1. 아동복지 37
2. 청소년복지 39
3. 노인복지 40
4. 장애인복지 42
5. 가족복지 43
6. 지역사회복지 47
7. 정신건강사회복지 49
8. 학교사회복지 51
9. 의료사회복지 51
10. 교정복지 51
제5장 사회복지현장실습 슈퍼비전 53
1. 슈퍼비전의 개념과 목적 53
2. 실습슈퍼비전의 주요 기능 53
3. 실습슈퍼비전의 원칙 55
4. 실습슈퍼비전의 유형 57
5. 실습슈퍼비전의 주체 59
6. 실습생의 권리 및 안전보장을 위한 슈퍼비전 61
제2부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위한 지식과 기술
제6장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67
1. 사회복지 윤리의 필요성 67
2. 사회복지 전문직의 핵심가치 68
3.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71
4.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 의사결정 시 고려사항 74
5.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의사결정모델 77
제7장 지역사회 탐색과 분석 81
1. 지역사회 사정 81
2. 지역사회 문제 확인 87
3. 지역사회 욕구조사 88
제8장 기관 탐색과 분석 97
1. 조직의 개념 및 구성 요소 97
2. 조직의 미션, 비전, 목적 및 목표 98
3. 조직구조 101
4. 예 산 103
5. 기관 분석틀 예시 110
제9장 마케팅과 자원개발 113
1.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113
2. 사회복지조직의 자원개발 119
제10장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포절 작성 129
1. 프로그램의 정의 129
2.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129
3. 우수한 프로그램의 특징 130
4. 사회복지조직의 목적과 프로그램 간의 관계 133
5. 프로그램 기획과정 133
6.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포절 작성 135
제11장 사례관리 149
1. 사례관리의 개념 정의 149
2. 사례관리의 구성요소 149
3. 사례관리의 기능 151
4. 사례관리 과정 152
5. 사례관리의 모델 154
6. 사례관리 예시 156
제3부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기록
제12장 사회복지실천의 기록 161
1. 기록의 목적 161
2. 기록의 기능 161
3. 기록 시 유의사항 163
4. 기록의 종류 164
5. 기록의 전자화 167
제13장 문서 작성 및 관리 173
1. 문서의 개념 173
2. 문서의 종류 173
3. 문서의 구성 174
4. 문서의 보관, 보존 및 폐기 178
제14장 보고서 작성 179
1. 실습일지 179
2. 실습중간평가서 181
3. 실습종결평가서 184
부록
사회복지현장실습 관련 서식 197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신청서(성과중심형) 표준 양식 및 작성 예시 249
아산사회복지재단 사회복지 지원사업 사업계획서 259
참고문헌 275
찾아보기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