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다시 하나되기

북한이탈주민의 임파워먼트와 사회통합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이주의 세계화(Globalization of Migration)는 현대 사회의 중요한 특징으로 지금 이 순간에도 다양한 인종과 민족의 이동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 한국 사회 또한 예외가 아니다. 외국인 유학생을 비롯하여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난민, 북한이탈주민 등 다양한 사회적 배경과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이제 우리 주위에서 어렵지 않게 만나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2020년 현재 3만 3천 6백여 명에 달하는 국내 북한이탈주민은 우리 사회 내 다른 이주민 집단과는 구별되는 특수한 집단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기존 체제를 떠나 더 나은 삶을 위해 이주해 온 ‘한민족’이라는 점에서 포용과 통합으로 우선으로 받아들여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지만, 경제체계 및 정치사상이 다른 ‘북한 출신’이라는 사회적 편견과 선입견으로 인해 아직도 차별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에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연구와 이해는 미래 통일시대 민족공동체 형성과 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한 최우선 과제라 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역량 강화와 사회통합에 관한 관심에서 출발한 본 저서 「다시 하나되기: 북한이탈주민의 임파워먼트와 사회통합」은 북한이탈주민의 삶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동안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면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다차원적이고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본 저서는 북한이탈주민 개개인의 역량과 사회통합 실태 분석을 통해 실생활에서 이들이 직면하는 어려움과 충족되지 못하는 욕구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들이 우리 사회의 주체적인 사회구성원으로서 자리 잡는 데 필요한 역량 강화 방안들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일반적 특성, 임파워먼트 그리고 사회통합이라는 세 키워드를 중심으로, 실태조사에 대한 심층분석과 함께 북한이탈주민 현황 및 지원정책, 북한이탈주민 관련 선행연구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나아가 임파워먼트와 사회통합의 개념을 제시하여 향후 주안점을 가지고 다루어져야 할 북한이탈주민 관련 연구 주제 및 과제들에 관해서도 논의하였다.
 본 저서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통합연구소가 2016년부터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고 있는 “분배적 정의, 사회 구성원의 다양성과 통합에 대한 연구(NRF-2016S1A3A2924944)”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실태 파악을 위해 2018년 4월부터 9월까지 국내에 정착하여 생활 중인 20세 이상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역량 강화 및 사회통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저서는 그 주요 결과를 담고 있다.
 본 조사 시행 및 책 출간을 위해 도움을 주신 많은 분께 진심 어린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과중한 센터 업무에도 불구하고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신 각 지역의 하나센터(경북, 경남, 대구, 광주) 센터장님과 담당자분들, 탈북자협회와 이북5도 위원회 대표님과 담당자분들, 지구촌교회(서울 목동)와 주찬양교회(포항)의 담임목사님들, 수원사(水源寺) 담당자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또한, 조사 수행 과정에서 많은 도움을 주신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의 송은희 수석연구위원과 직접 조사를 수행한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통합연구소의 김소연 연구원, 노미향 박사에게도 감사드린다. 무엇보다도 북한이탈주민이라는 특수성에 따른 조사 참여 부담에도 본 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신 북한이탈주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다시 하나되기: 북한이탈주민의 임파워먼트와 사회통합」은 도서출판 공동체에서 시리즈로 출간한 「이주여성 그들의 삶과 꿈」(김안나 외, 2013)과 「이주노동의 현실: 외국인근로자/지역실천가들이 말하는 그들의 삶과 일」(김안나 외, 2015)을 잇는 세 번째 이주민 관련 연구 결과물이다. 본 연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시리즈물의 출간을 허락해 주신 도서출판 공동체 대표님과 완성도 높은 책의 출간을 위해 지속적인 도움을 주신 편집부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북한이탈주민은 향후 통일시대 남북한 사회통합과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주체이다. 북한이탈주민의 역량을  강화하고 이들의 강점을 제고할 수 있는 사회통합 정책 및 프로그램의 마련은 미래 통일 한국의 기반 조성을 위한 실천적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020년 9월
저자를 대표하여 김안나



 

제1장 들어가며 9

제2장 이론적 개념과 연구 동향 15
   1. 임파워먼트 17
   2. 사회통합 31
   3. 북한이탈주민 관련 연구 동향 45

제3장 북한이탈주민 현황 및 관련 제도 61
   1. 북한이탈주민의 개념 63
   2.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65
   3.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 제도 및 정착현황 74

제4장 북한이탈주민 조사개요 및 연구방법 소개 93
   1. 조사개요 95
   2. 척도 및 분석의 구성요소 99
   3. 조사대상자 특성 102

제5장 북한이탈주민의 일반적 특성 105
   1. 북한에서의 생활 107
   2. 남한에서의 생활 113

제6장 북한이탈주민의 임파워먼트와 정치 특성 137
   1. 개인 내적 및 사회적 임파워먼트 140
   2. 정치적 임파워먼트와 정치 특성 144

제7장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151
   1. 사회적 포용 153
   2. 사회적 이동성 158
   3. 사회적 자본 173

제8장 맺으며 187

■참고문헌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