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다산철학과 교육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왜 하필 다산인가.
 지금 다산이 우리에게 말을 걸어온다고 가정하자.
 어느 날 무심코 TV를 켜니 이런 뉴스가 내 귓가에 밀려온다.
∙ 30대 어머니가 5살 딸을 학대한 뒤 딸을 가방에 가두어 살해
∙ 초등학교 6학년 여자 아이가 같은 또래의 여자 아이를 칼로 찔러 살해
 이런 뉴스를 바라보고 각자 자신의 생각과 입장을 말할 수 있다고 하자.
 그러면 나는 주저 없이 교육학자의 시선으로 위 두 사례를 바라볼 것이다.
 우리 교육이 정녕 제 길을 가고 있는가. 다시 좁혀서 위와 같은 사건을 사전에 대비하여 우리 교육이 제대로 된 교육을 해왔는가 물을 참이다. 어찌보면 위와 같은 물음은 너무 막연하고 어설프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 현행 우리 교육은 자신의 심성에 대한 자발적 돌봄과 관리에 너무나 소홀하다.
∙ 어떻게 사는 것이 인간적인가?
∙ 그렇게 살기 위해서 인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위와 같은 물음에 우리 교육은 얼마나 속이 시원한 해답을 할 수 있을까.
 이런 우리 교육의 아킬레스건을 보면 다산의 본성학(study of nature)에 대한 탐구가 절실하다. 이때 본성학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탐구인데 다산의 본성학은 다산 식으로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그만의 방식으로 본성을 보살피고 관리하는 세계이다.
 순간 여기서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평소 학교에서 딸을 죽인 어머니와 또래를 죽인 아이에게 우리가 다산의 본성학을 제대로 교육시켰다면 어떠했을까. 저와 같은 끔찍한 사건은 아마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어느 독자는 이리 말할 수도 있다. “그런 말도 안 되는 허무맹랑한 소리를 거두세요!” 정말 그럴까. 이 점에 대해선 독자의 판단에 맡기겠다. 그래서 나는 한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여러분! 이 책을 완전 정복해 보라. 이 책에서 내가 밝힌 다산의 본성학을 독파하고도 나의 발언이 정말 허무맹랑한 것일까. 이 지점에서 나는 최종적으로 말한다. 다산의 본성학을 제대로 알고 싶은가. 그러면 이 책을 정독해 보라. 그러면서 우리 교육의 근원적 맹점인 인간의 본성에 대한 돌봄과 관리 소홀의 문제를 다산의 시선으로 그 해법을 성찰해 보라. 다산의 사유와 그 사유를 응축해 놓은 다산철학을 교육적으로 따라가면서 말이다.

 

1부 다산철학과 교육 9
   1. 로고스 풍경 10
   2. 콜로키움 광장 스케치 11
   3. 유가의 교육장치, 성(性)-도(道)-교(敎) 시스템 17
   4. 기호담론의 현재적 호명 25
   5. 기호담론의 주제와 변주 39
   6. 다산이 엿보는 현대 공부의 파열음 49
   7. 문지방의 철학자, 다산 55
  참고문헌 60

2부 원문 텍스트 읽기 63

맺음말 187

부 록 189
   ∙ 용어해설 190
   ∙ 원문집성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