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이 책은 우리 사회의 인구와 가족 구성이 다양화되는 상황에서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발간되었다. 특히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문화적 민감성과 역량을 함양하도록 하기 위해 문화인류학자와 사회복지학자들이 협업하여 책을 집필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문화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전반부는 총 2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는 문화적 다양성에 관하여 다룬다. 1장에서는 문화적 다양성과 관련된 기본 개념을 인종, 종족, 민족/ 국가/ 국민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2장에서는 다문화정책의 개념과 모델을 동화주의를 대표하는 ‘용광로(melting pot)’ 모델에 기반을 둔 다문화정책과 문화적 다원주의를 대표하는 ‘샐러드볼(salad bowl)’ 모델, 문화접변으로 대표되는 ‘문화변용(acculturation)’ 모델 등으로 살펴본다. 3장에서는 한국사회의 다문화담론에 대하여 그 배경과 다양한 입장, 이에 따른 한국사회의 과제 및 대안에 대해 살펴본다.
제2부에서는 문화적 다양성 사회의 이해라는 제하에 여러 국가들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제국주의를 경험한 사회의 다문화정책과 제도에 대해 독일과 영국, 그리고 일본을 대표적인 사례로 하여 각 국가의 사회경제적 배경 등을 포함한 현황과 다문화사회의 역사, 다문화정책의 전개, 갈등과 통합, 소결 등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5장에서는 식민지배를 겪은 사회의 다문화정책과 제도에 대해 대만과 말레이시아를 대표적인 사례로 하여 각 국가의 사회경제적 배경 등을 포함한 현황과 다문화사회의
역사, 다문화정책의 전개, 갈등과 통합, 소결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6장에서는 이민사회의 경험을 지닌 사회의 다문화정책과 제도에 대해 미국과 캐나다, 그리고 호주를 대표적인 사례로 하여 각 국가의 사회경제적 배경 등을 포함한 현황과 다문화사회의 역사, 다문화정책의 전개, 갈등과 통합, 소결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후반부 역시 2부로 구성되었다. 제3부에서는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이주민집단에 대해 살펴본다. 7장에서는 한국 이주민 정책의 변화과정으로서 근대 민족국가 형성과정 속의 다양한 이주민들의 삶과 관련 정책을 살펴본다. 8장에서는 국제결혼가족의 개념과 현황, 가족이 형성된 배경, 복지정책과 서비스 현황을 살펴본다. 9장에서는 외국인노동자의 개념과 현황 및 복지정책, 그리고 외국인노동자의 복지와 관련된 이슈들을 알아본다. 10장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개념과 실태,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경험과 복지 정책 및 서비스 현황을 살펴본다.
제4부에서는 문화적 다양성과 가족복지를 위한 사회복지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증진과 실천방안을 알아본다. 먼저 11장에서는 다문화사회복지실천에서 문화적 역량의 중요성과 의미, 그리고 역량강화 방안을 알아본다. 12장에서는 문화적 다양성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관점으로서 임파워먼트관점과 성인지적 관점을 알아보고, 13장에서는 다문화복지실천을 전개하는 이론적 틀과 실천과정을 살펴본다.
이 책은 학생들이 문화다양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현장에서도 학습한 내용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특히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의 교재인 만큼 대학에서 이 강의를 하는 문화인류학자와 사회복지학자가 함께 집필함으로써 학생들의 문화적 민감성과 역량을 제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책을 집필하는 동안 사회문화적 환경이 변화하면서 새로 부각되는 주요 쟁점들을 모두 다루지는 못하였기에 미진한 부분들이 많이 있음을 느끼게 되었다. 이 책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미흡한 부분에 대하여 선배와 동료 교수, 그리고 독자들의 애정 어린 비판과 조언을 기대한다. 이러한 피드백은 책의 내용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나올 때까지 안내자가 되어 주셨던 스승님과 선배 교수, 가족, 그리고 이 책의 출판을 허락해 주신 공동체 이사님과 훌륭한 편집을 해주신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20년 12월
집필자 일동
PART 01 다문화와 문화적 다양성
CHAPTER 01 다문화와 관련된 기본 개념 11
1. 인 종 11
2. 종족(종족집단)(Ethnic Groups) 또는 종족성(Ethnicity) 15
3. 민족/ 국가/ 국민 19
CHAPTER 02 다문화정책의 개념과 모델 25
1. 이주민 정책의 배경과 분류 25
2. 이주민 정책의 이론적 배경 : 동화론에서 초국가주의 이론까지 26
CHAPTER 03 한국사회의 다문화담론 33
1. 다문화담론의 배경 33
2. 다문화를 보는 다른 시각 34
3. 다문화담론의 배경과 실체 36
4. 다문화담론의 현상 41
5. 다문화주의 정착을 위한 한국사회의 과제 48
PART 02 문화적 다양성 사회의 이해
CHAPTER 04 제국주의를 경험한 사회의 다문화정책과 제도 53
1. 독 일 54
2. 영 국 60
3. 일 본 66
4. 결 론 74
CHAPTER 05 식민지배를 겪은 사회의 다문화정책과 제도 77
1. 대 만 77
2. 말레이시아 85
CHAPTER 06 이민사회의 경험을 지닌 사회의 다문화정책과 제도 101
1. 미 국 101
2. 캐나다 110
3. 호 주 119
PART 03 한국 이주민집단의 이해
CHAPTER 07 한국 이주민 사회의 역사와 정책의 변화 129
1. 현 황 129
2. 역사 : 근대 민족국가 형성과정 속의 이주민들 131
3. 정책의 전개 138
CHAPTER 08 다문화가족과 사회복지 : 형성과정부터 지원정책까지 141
1. 다문화가족의 개념 141
2. 다문화가족과 결혼이민자, 그리고 국제결혼 142
3. 다문화가족 형성 배경 143
4. 다문화가족 현황과 실태 144
5.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 및 서비스 160
CHAPTER 09 외국인노동자 현황과 다문화 사회복지 165
1. 외국인노동자의 개념 165
2. 외국인노동자의 유형 167
3. 외국인노동자의 현황 169
4. 외국인노동자 관련 정책 171
5. 외국인노동자의 복지이슈 179
CHAPTER 10 북한이탈주민의 현황과 다문화복지 185
1. 북한이탈주민의 개념과 실 186
2. 북한이탈주민이 겪는 어려움 189
3.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정책 203
4.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210
PART 04 문화적 역량 증진과 사회복지실천
CHAPTER 11 다문화사회복지실천에서의 문화적 역량 219
1. 문화적 역량의 정의 219
2.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222
3. 문화적 역량 관련 모델 225
CHAPTER 12 다문화사회복지실천의 관점에 대한 이해 233
1. 다문화사회복지실천의 개념 ·· 234
2. 다문화사회복지실천의 전개과정 235
3. 다문화사회복지실천의 관점 238
4. 다문화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247
CHAPTER 13 다문화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과정 255
1. 이론적 틀 255
2. 실천과정 258
■ 참고문헌 276
■ 찾아보기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