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유아 ·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일반적으로 교재교구는 교사가 학습자를 교육하는 데 있어서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교육의 자료나 도구를 의미합니다. 영유아를 위한 교육은 다양한 교재교구를 활용하며, 영유아가 접할 수 있는 모든 것이 교재교구가 될 수 있으므로 교과서 중심의 초중등교육에 비해 교재교구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교사는 영유아가 스스로 탐색하고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배워나갈 수 있도록 영유아에게 적합한 교재 교구를 제공해 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교사의 계획과 의도와 달리 영유아의 관심과 흥미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영유아를 관찰하여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지원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개정된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은 교사가 영유아의 놀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놀이를 통한 배움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교재에서는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교재교구지원 내용을 수록하여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교육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전에는 영유아교사를 양성하는 학과에서 교재교구 전시회가 가장 큰 행사 중 하나였으나 최근 들어 점차 사라지거나 축소되고 있습니다. 이는 교육현장의 시대적·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교재교구에 대한 새로운 교사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유아의 교육·보육 시간이 점차 늘어나면서 교재교구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었을 뿐 아니라 상품화된 교재교구가 질적으로 우수하고 내용이 다양하며 견고성, 경제성, 제작 소요시간 등 효율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과학기술 및 정보화 자원이 교육현장으로 매우 빠르게 전이되고 있어 테크놀로지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역량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영유아를 위한 교재교구는 제작에 초점을 두기보다 적절한 제시와 활용 및 교수법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해야 하는 시점에 와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비교사 중에는 전공 수업이나 현장실습을 통해 교재교구 제작을 경험하면서 교재교구를 제작하는 시간과 자신의 제작 능력에 대해 회의감을 가지며 영유아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아직도 영유아교육기관에서 교재교구의 의미가 크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반드시 만드는 교재교구만이 활용도나 가치가 높다고 할 수는 없으므로 이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제작하기 전에 스스로 판단하여 대체할 수 있거나 기존의 것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인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며 제작할 경우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책은 교사가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교재교구를 계획하고 활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영유아를 관찰하고 놀이와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관심과 흥미를 고려한 교재교구의 제시와 지원에 초점을 두었으며 유아뿐 아니라 영아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루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저자들은 이 교과를 강의하거나 현장에서 교사가 교재교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며 이론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의논하고 이 책을 구성하였습니다. 최근 교육현장의 변화 안에서도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교재교구 관련 내용뿐 아니라 영유아의 관찰을 통한 제시,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놀이 지원을 위한 다양한 자료의 활용, 활동을 위한 교재교구 등을 적합한 예를 제시하면서 교재교구의 진정한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였습니다. 특히 누리과정이 개정되면서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사가 교재교구를 통해 유아의 놀이를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도록 놀이 사례를 통해 놀이의 변화에 따른 교재교구의 활용과 지원 방법을 집중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예비교사나 현직교사들이 본 교재를 통해 제작에 대한 부담과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교재교구 활용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교재교구에 대한 의미를 재해석하여 적절하게 사용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이 책을 출판해주신 도서출판 공동체에 감사드리며 교과교재 연구와 지도법 관련 교과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저자 일동

 

1장 영유아 교재교구의 이해와 역사 11
   1. 교재교구의 이해 11
     1) 교재교구의 개념 11
     2) 교재교구의 중요성 14
   2. 교재교구의 역사 20
     1) 코메니우스, 루소, 페스탈로치 20
     2) 프뢰벨 23
     3) 듀이 27
     4) 몬테소리 28

 

2장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과 교재교구 35
   1. 교재교구 활용과 교사의 역할 35
   2.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교재교구 활용 사례 39
     1) 영아를 위한 교재교구 활용 사례 41
     2) 유아를 위한 교재교구 활용 사례 46

 

3장 영유아 교재교구의 종류 및 활용 57
   1. 자연물 57
   2. 재 료 61
   3. 생활용품 64
   4. 상품화된 교재교구 67
     1) 영아를 위한 교재교구 67
     2) 유아를 위한 교재교구 75
   5. 교육 기자재 89

 

4장 활동을 위한 교재교구 제작 및 지도의 실제 95
   1. 이야기나누기 95
   2. 동화·동시·동극 99
     1) 동화 99
     2) 동시 119
     3) 동극 121
   3. 음 악 124
   4. 신체 및 게임 127
   5. 요 리 133

 

5장 영유아 교재교구 제작의 실제 139
   1. 영아를 위한 교재교구 제작의 실제 141
     1) 신체(대근육) 교재교구 141
     2) 언어 교재교구 144
     3) 감각 및 탐색 교재교구 147
     4) 역할 및 쌓기놀이 교재교구 154
     5) 음률 교재교구 157
   2. 유아를 위한 교재교구 제작의 실제 158
     1) 쌓기놀이 교재교구 158
     2) 역할놀이 교재교구 160
     3) 언어 교재교구 166
     4) 수·조작 교재교구 176
     5) 과학 교재교구 189
     6) 음률 교재교구 195
     7) 신체운동 교재교구 201
   3. 교재교구의 평가 203

 

참고문헌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