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아동문학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내가 학문의 진실을 배운 곳은 쉬트라우스 베르그 대학의 학창시절이 아니라 어린 시절 어머니의 무릎에서 들은 동화이다”라고 괴테는 말하였습니다. 우리 모두는 어린 시절 동화책을 듣고, 읽었던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어른이 된 지금도 누군가 나에게 책을 읽어준다면 참 평화롭고 행복할 것 같습니다.
 유아가 동화책을 읽을 수 있는 것은 유아 스스로 동화책을 선택하거나 읽는 것과 같은 자발적 관심에 의하기보다는 유아를 둘러싸고 있는 주위 환경의 여건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즉, 영유아 교사나 부모 등 성인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오랜 기간 유아교육 현장에서 영유아를 지도해본 경험과 대학에서 아동문학 교과목을 강의해 온 저자들은 아동문학이라는 장르의 시대적 변화와 학생들의 특성 등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영유아교사가 되기 위해 준비과정에 있는 학생들이 즐겁고 재미있게 아동문학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집필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 특히 예비교사들이 영유아기 아동문학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교사 스스로 아동문학에 흥미를 가지고 교육 현장에서 좀 더 알차고 쉽게 지도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고자 하였습니다. 이 책을 통해 지식, 기술, 태도를 함양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집필에 임하였습니다.
 이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Part 1에서는 아동문학의 이론으로 아동문학의 이해, 아동발달과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아동문학의 내용, 환경구성, 그림책에 대해 살펴보았고, Part 2에서는 아동문학의 실제로 아동문학 활동을 위한 매체제작 및 활용, 생활주제에 따른 문학활동 등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책이 영유아와 함께할 예비교사들에게 자신의 유년 시절의 회상과 유아교육현장에서 문학활동을 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교재를 출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신 공동체 가족 여러분들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0년 8월
저자 일동

 

PART 1 아동문학의 이론

Chapter 01 아동문학의 이해 11
   1. 문학이란 무엇인가? 11
   2. 아동문학의 개념 및 교육적 의의 12

Chapter 02 아동발달과 아동문학 19
   1. 아동의 발달적 특징과 아동문학 19
   2. 문학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33

Chapter 03 아동문학의 장르 37
   1. 동 화 37
   2. 동요와 동시 41

Chapter 04 아동문학의 내용 43
   1. 표준보육과정 의사소통 영역과 아동문학 44
   2.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아동문학 48

Chapter 05 환경구성 57
   1. 아동문학을 위한 환경구성 57
   2. 환경구성 방법 60

Chapter 06 그림책 65
   1. 그림책의 정의 65
   2. 그림책의 특성 66
   3. 그림책의 선정기준 68
   4. 그림책 읽어주기 73
   5. 그림책을 이용한 미술활동 111

PART 2 아동문학의 실제

Chapter 07 아동문학 활동을 위한 매체 제작 및 활용 135
   1. 동화구연 135
   2. 낱장식 그림동화 141
   3. 융판·앞치마·자석동화 144
   4. 테이블동화 147
   5. 막대동화 149
   6. TV동화 151
   7. OHP동화 153
   8. 동 시 156
   9. 인형극 161

Chapter 08 생활주제에 따른 문학활동 179
   1. 나와 유치원 - ‘세상을 바꾼 두더지’ 179
   2. 가족과 이웃 - ‘돼지책’ 182
  3. 계절 - 봄 ‘강아지 똥’, 여름 ‘노란 우산’, 가을 ‘커다란 순무’, 겨울 ‘오늘은 우리 집 김장하는 날’ 185
   4. 건강한 몸과 마음 - ‘불평쟁이 양 뤼시’ 193
   5. 동물 - ‘매미와 깜돌이’ 196
   6. 교통기관 - ‘빨간불과 초록불은 왜 싸웠을까?’ 198
   7. 도구와 기계 - ‘지지직 전기를 조심해요!’ 200
   8. 지구와 환경 - ‘엄마!’ 202
   9. 우리나라 - ‘흥부와 놀부’, ‘신사임당’ 204
   10. 세계 여러 나라 - ‘나무집’ 208

부록
   1. 연령별 그림책 213
   2. 주제별 동시 활동 사례 219
   3. 그림책활용 프로젝트 접근 활동 사례 1 - ‘구둣방 할아버지와 꼬마 요정’ 234
   4. 그림책활용 프로젝트 접근 활동 사례 2 - ‘장화 쓴 공주님’ 255

참고문헌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