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아이들 놀이와 지원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놀이는 어릴 적 누구나 경험하는 익숙하고 당연한 삶의 한 부분이다. 인간의 출현부터 놀이가 존재한 것은 살아가기 위한 생존 법칙과도 같다. 아이들이 놀면서 얻는 행복과 즐거움이 삶의 목표일 수 있고 놀이 안에서 경험하는 모든 일들이 삶의 기술이기도 하다. 아이들의 놀이 자체가 배움이고 성장이라면 놀이는 아이들의 권리이다.
 어린 아이들의 교육을 ‘놀이’ 자체로 선택한 것은 고대로부터 시작된 교육원리이며 유치원幼稚園에서 ‘놀이’를 중심으로 교육하는 것 또한 유아교육과정의 본질이다. 다만, 근대화의 산업발전으로 학교 교육이 지식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변화되면서 아이들 교육조차도 구조화된 학습의 형태로 인식되는 오류가 있었다. 따라서 다시 아이들의 놀이를 바르게 이해하고 아이들의 놀이를 재조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책은 놀이를 이해하고 그 놀이를 통해 아이들의 배움과 성장을 지원하는 방법을 찾아보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집필하였다. 이 책은 놀이 이론서는 아니다. 놀이와 관련된 여러 정보를 통해 놀이의 의미를 도출하고 그 가치를 찾아보는 과정, 놀이를 지원하는 여러 환경을 탐색하면서 독자와 여러 사람들이 함께 소통하는 공동의 지식구성을 돕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책의 구성은 놀이에 대한 이론과 연구를 간략히 소개한 후, 독자의 생각과 놀이의 의미를 정리하는 개인의 활동을 소개하였다.
 이 책의 1장 아이들 놀이는 옛날의 골목놀이를 회상하고 현대의 아이들의 놀이를 살펴보면서 놀이의 본질이 살아 있는 놀이의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장 놀이터와 놀잇감은 아이들의 진정한 놀이를 위한 놀이 공간과 놀잇감들을 소개하고 도시 놀이 공간의 연구와 놀잇감에 대한 재개념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3장 놀이의 유형은 주로 만 3세에서 5세 아이들이 즐겨 하는 놀이를 구성놀이, 상상놀이, 게임놀이로 구분하여 사례와 함께 소개하였다. 소개한 사례는 명지전문대학 부속유치원 아이들이 놀았던 기록들이다.
 4장부터는 아이들의 놀이가 배움이 되도록 돕는 어른들인 부모와 교사의 역할을 소개한 것으로, 놀이지원 부분의 내용에는 언어적 지원, 즉 상호작용의 사례와 시·공간과 놀이 자료 등의 지원 방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5장은 대학의 예비교사들을 위하여 놀이와 교육과정 내용을 실었다. 우리나라의 국가 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은 ‘놀이’를 중심으로 교육할 것을 고시하고 있어 예비교사들은 놀이를 교육과정으로 재해석하고 구성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5장에서는 우리나라의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내용을 일부 소개하여 놀이와 교육과정의 연계를 간략히 다루고 추후 ‘유아교육과정’ 교과수업과 연계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책은 첫 출간으로 다소 부족한 출발을 하였다. 본 저자들은 모쪼록 이 책이 아이들의 놀이를 도우려는 독자들의 이야기와 생각으로 이 책의 구성이 완성되기를 기대한다. 이 책의 자료와 교수들의 현장연구를 흔쾌히 허락해 주신 명지전문대학 부속유치원 김난실 원장님과 선생님들 그리고 아이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끝으로 집필의 시작부터 책이 출간되기까지 도와주신 공동체 가족 여러분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0년 12월
저자 일동

 

CHAPTER 01 아이들 놀이
   1. 소꿉놀이의 추억 11
      놀이 이론들 12
      - 소꿉놀이 분석 14
      골목놀이 5대 원칙 15
      놀이의 기능 18
      - 골목놀이 분석 19
   2 놀이의 정의 24
   3 현대 아이들의 놀이 28
      - 현대 놀이의 특징 분석 30
   4 미래사회의 인재 37
      - 놀이 안의 배움들 38

CHAPTER 02 놀이터와 놀잇감
   1 놀이터 41
      아이들의 첫 놀이터, 우리 집 42
      골목 놀이터 43
      숲 놀이터 45
      지역사회 놀이터와 공터 48
      - 좋은 놀이터의 조건에 대한 정리 51
      도시재생 놀이터 연구 52
      - 놀이터 설계 55
      유치원은 놀이터 57
   2 놀잇감 62
      놀잇감의 특성 63
      놀잇감의 종류 70
      - 놀잇감 조사 73
      - 놀잇감 분석 74
      아이들 놀이의 연령별 특징 75
      좋은 놀잇감 76
      - 놀잇감 비교 분석 80
      - 좋은 놀잇감 분석 82
      - 좋은 놀잇감 84

CHAPTER 03 놀이의 유형
   1 구성놀이(Constructive Play) 87
      블록놀이 88
      - 블록놀이 단계 분석 93
      흙·모래놀이 94
      연령에 따른 구성놀이와 지원 101
      - 구성놀이 지원 102
      구성놀이 [사례 1] : 목공놀이 흐름 따라가기 103
      구성놀이 [사례 2] : 폐품놀이 흐름 따라가기 106
   2 상상놀이(Imaginative Play) 112
      보자기 놀이 114
      생일축하 놀이 114
      상상놀이의 단계 116
      - 사회극 놀이 조건 분석 117
      상상놀이를 촉진하는 전략 118
      연령에 따른 상상놀이와 지원 119
      - 상상놀이 지원 121
      상상놀이 [사례 1] : 「도넛가게 ‘달콤달콤 도넛 팩토리’」 놀이 흐름 따라가기 122
      상상놀이 [사례 2] : 「콩쥐와 팥쥐」 놀이 흐름 따라가기 124
      - 상상놀이 분석 127
   3 게임놀이(Game) 128
      게임의 의의 128
      게임의 종류 129
      - 게임놀이 조사 137
      유익한 게임의 기준 138
      연령에 따른 게임 수준과 지원 140
      - 연령별 게임 만들기 141
      모든 게임자는 동등한 관계 143
      상호 주도적 관계유지 144
      필요한 만큼의 도움 146
      협력 149
      - 게임에 개입하기 150

CHAPTER 04 놀이지원
   1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5
      개인적 요인 155
      인적 환경 요인 157
      물리적 환경 요인 158
   2 환경적 지원 160
      공간 지원 160
      자료 지원 165
      시간 지원 169
   3 언어적 지원과 상호작용 172
      유아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 172
      격려하기 175
      - 격려하기 연습 178
      경청하기 179
      마음까지 듣기 181
      관계를 해치는 부정적인 말들 183
      - 마음 듣기 연습 184
      문제해결 돕기 185
      - 문제해결 돕기 연습 189
      스캐폴딩 190

CHAPTER 05 놀이와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개념 197
   2 놀이에 담긴 교육내용 199
      2019 개정 누리과정 5개 영역과 내용 200
   3 놀이 중심의 교수·학습 202
   4 놀이의 관찰, 기록, 분석, 지원 203
      놀이의 의미 읽기와 배경 기록 204
      놀이의 전개 과정 관찰과 기록 204
      놀이 경험에 대한 해석과 기록 205
      놀이기록 [사례] 206
   5 놀이와 연계한 활동 지원 211
      - 놀이 분석 213

참고문헌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