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가족 만들기와 복지의 재구성

한부모 가족복지의 새로운 형성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이 책은 필자가 박사학위논문으로 “이혼여성의 적응과 성역할태도에 관한 연구(1998)”를 하면서 알게 된 가정폭력으로 이혼한 한부모들과 그 자녀들의 가난하고 아픈 삶이 이제는 좀 나아졌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약 20여 년의 한부모가족연구를 되돌아보는 과정에서 집필되었다.
이혼여성을 만나기 위해 처음 장충동에 위치한 여성의 전화를 방문하여 약2년간 전화상담과 면접상담 자원봉사를 하면서 눈으로 차마 볼 수 없는 상처들과 마음으로 다 읽어낼 수 없는 매 맞는 여성들의 삶, 그리고 폭력에서 벗어나고자 이혼했지만 가난에서 헤어날 수 없는 한부모와 그 자녀들의 삶을 알게 되었다. 당시 소수자 중의 또 다른 소수자인 이혼여성을 통해 세상의 잔혹함에 마음이 아팠고 그들이 어머니로서 버텨내는 과정을 보면서 존경해 마지않았으며, 이런 경험을 반복하면서 한부모가족 연구를 지속할 수 있었다. 이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시작으로 빈곤여성, 자활, 여성장애인, 북한이탈여성, 미혼한부모가족 등 다양한 유형의 한부모가족으로 연구의 범위를 넓혀가면서, 미력하나마 연구와 발표, 토론으로 그들의 삶에 대한 이해, 제도와 인식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016년 한국연구재단의 저술지원을 통해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오랜 서비스 이용자들인 한부모가족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가 개선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점을 당사자들의 시선과 경험에 비추어 분석함으로써 한부모가족복지를 가족권의 차원에서 재구성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해 보고자 하였다. 가족이 함께 살아갈 권리인 가족권,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고 일할 권리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 노동권, 차별받지 않고 평등하게 살아갈 권리로서의 사회권이 향유되어 한부모가족 구성원들이 일정 수준의 삶의 질에 이르는 과정을 ‘가족 만들기’로 정의하고, 이러한 ‘가족 만들기’를 위한 한부모가족의 권리가 존중되는지, 그리고 사회적으로 한부모가족의 ‘가족 만들기’가 가능한 구조인지를 성찰하였다. 그리고 한부모가족의 ‘가족 만들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정책적 담론이 형성되는 맥락에 대한 고찰과 함께 한부모가족의 ‘가족 만들기’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본 저술은 총 4부로 구성되었다. 제1부와 제2부는 가족의 변화와 동향, 한부모가족과 한부모가족의 ‘가족 만들기’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다양한 한부모가족의 실태와 삶의 경험 등을 기술하였다. 제3부에서는 필자가 면접했던 한부모가족들의 사례를 통해 문헌연구에서 나타난 이론과 지식이 삶에서 어떻게 경험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부에서는 앞에서 다뤄진 내용들을 종합하여, 향후 한부모가족의 ‘가족 만들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사회복지정책과 실천에서 함께 고민해 봐야 할 대안 논의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누군가 전적으로 도와주지 않으면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없는 우리 현실에서, 어려움 없이 연구하고 교육할 수 있도록 곁에서 묵묵히 도와주고 응원해 주신 나의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박사학위논문을 제출하면서 감사의 글조차 써드리지 못했던 딸이 이제야 하늘나라에 계신 너무도 그립고 보고 싶은 아버지께, 그리고 자그마한 몸으로 손주들을 키워내느라 두집 살림살이를 감당해 주시고 이제는 기억이 저물어 가는 나의 어머니의 헤아릴 수 없는 사랑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또 언제나 영원한 지지자이자 멘토인 나의 가족에게도 무한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이 집필 의도와 내용에 대해 선배와 동료 교수, 그리고 독자들의 애정 어린 비판과 조언을 기대한다. 또 이 책이 사회복지사들의 한부모가족복지 실천에 도움이 되고 한부모가족의 삶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21년 3월
저자 성정현

 

PART 01 가족이 달라지고 있다

 

CHAPTER 01 인구와 가족의 역설

   1. 인구수 증가 14

   2. 가구 수 증가와 규모 축소 16

 

CHAPTER 02 가족의 변주:가족 다양화의 원인

   1. 결혼 감소 22

   2. 저출산 28

   3. 고령화 31

   4. 전 지구화(Globalization) 37

   5. 한부모가족 증가 40

 

PART 02 한부모가족 속의 가족, 가족 속의 한부모가족

 

CHAPTER 03 ‘곤경’에 빠진 이혼 한부모가족

   1. 이혼 한부모 실태 48

   2. 이혼 한부모가족의 곤경 51

 

CHAPTER 04 ‘결혼 신화’에 묻혀 버린 미혼 한부모가족

   1. 혼외출산과 성(性),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 73

   2. 미혼가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편견 85

   3. ‘결혼 신화’ 속에 매몰된 미혼모가족의 삶 94

 

CHAPTER 05 장애에 매몰된 장애 한부모가족

   1. 여성장애인 실태 104

   2. 여성장애인의 결혼과 이혼 115

   3. 임신과 출산, 자녀양육 124

   4.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를 가진 한부모의 삶 128

 

CHAPTER 06 한부모가족의 ‘위험에 처한 아이들’

   1. 한부모가족 자녀의 빈곤실태 138

   2. 한부모가족 자녀들이 겪는 심리사회적 위기 147

   3. 심리사회적 위기와 보호요인 156

 

CHAPTER 07 일⋅생활 불균형(Work and Life Unbalance)

   1. 일·생활 균형 개념과 영향요인 161

   2. 한부모가족의 일·생활 균형 실태와 ‘가족 만들기’ 165

 

PART 03 한부모가족의 ‘가족 만들기’ 경험

 

CHAPTER 08 ‘불안정한 가족’이라는 불안감

   1. 심리적 고통:우울과 불안 187

   2. 슬픔과 비통함 189

   3. 분노와 두려움 192

   4. 죄의식 193

   5. 배신감과 낮아지는 자존감 195

   6. 가슴 아픔 196

   7. 책임감으로 압도당함 197

 

CHAPTER 09 경제적 삶 : 갈수록 태산, 산 넘어 산

   1. 경력단절로 자립기반을 잃음 200

   2. 비빌 언덕이 없음 201

   3. 양육비 미지급으로 빈곤이 가중됨 205

   4. 주거비 때문에 가난에서 헤어나기가 어려움 207

   5. 정책과 서비스의 사각지대에 놓임 209

 

CHAPTER 10 ‘사다리 걷어차기’에 발목 잡힌 아이들

   1. 정서적 고통과 후유증 213

   2. 자녀 돌봄의 공백 217

   3. 신분 상승을 위한 사회적 이동 기회의 박탈 221

 

CHAPTER 11 부정적 인식과 사회적 차별 경험

   1. 미혼모 당사자들의 고정관념과 편견 경험 227

   2. 전문가들의 부정적 인식과 차별적 태도를 경험함 230

   3. 한부모가족 자녀들의 경험 235

   4. 차별 경험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 239

 

PART 04 한부모가족의 ‘가족 만들기’와 복지의 재구성

 

CHAPTER 12 ‘가족 만들기’의 담론:이데올로기로서의 ‘가족 만들기’와 제도

   1. 생활보호법 제정의 의미:‘헌신적 어머니’의 모성이데올로기에서 ‘강인한 어머니’의 모성이데올로기로 248

   2. 모자복지법과 모·부자복지법 개정과 의미:‘정상가족’ 담론과 ‘다양한 가족’ 담론의 공존 253

   3. 한부모가족지원법의 제정과 그 이후:가족돌봄에서 사회돌봄으로 258

 

CHAPTER 13 한부모가족의 ‘가족 만들기’와 임파워먼트 실천

   1. 한부모와 임파워먼트 263

   2. 한부모가족의 ‘가족 만들기’를 위한 임파워먼트 접근 방안 268

 

CHAPTER 14 한부모가족복지의 재구성을 위한 대안들

   1. 복지 커먼즈(Welfare Commons)와 협업(Collaboration) 284

   2. 기본소득과 평등 290

   3. 한부모의 지위 개선과 참여 동등 297

 

❚ 참고문헌 301

❚ 찾아보기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