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시설은 사적 전달체계로서 비영리를 목적으로 설치한 사회복지법인이나 사단법인들이 설립 주체의 대부분이었고, 최근에 민간 사회복지시설 설립이 활발한 것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시행으로 인한 장기요양기관들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법인과 민간을 불문하고 사회복지시설의 증가는 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고령화에 따른 돌봄 체제의 필요성을 들 수 있는데, 전통적 가족부양보다 사회적 부양에의 당위성 인식 증가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사회복지시설의 설립은 물론이고 운영에 대한 관심도 동반하여 증가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대학교에서 복지경영학과의 설립이 활발해지고 있고, 석사나 박사과정에서도 복지경영 전공 개설이 활발해지는 것이 이런 추세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전 국민 사회복지사화라는 말을 할 정도로 양적 증가와 질적 담보의 관계는 의문시되는 현실이다. 그로 인한 결과는 사회복지의 전문성 인식의 약화와 함께 사회복지시설은 누구나 설립할 수 있다는 인식의 확대이다. 이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확산과 더불어 다양한 계층이 사회복지현장에 유입되면서 영리와 비영리 경계가 모호해지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이에 대한 연구나 방향 제시의 부족함에서 연유한 것이기도 하다.
학문 영역과 실천현장의 책무 중에 어떤 것이 우선일지를 생각해 보자면 학교 현장에 있는 자로서의 책임성은 잘 가르쳐야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발전을 위한 자세라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사회복지시설운영을 위한 지침서를 고민하던 중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법인 및 시설의 전반적인 운영과 관리에 대한 법적 · 이론적 · 실천적 내용을 토대로 사회복지시설이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그 기틀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런 관점을 가지고 총 14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과 제2장에서는 사회복지사업을 이해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시설의 이해 및 사회복지법인의 이해를 다루었고, 제3장에서는 사회복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을, 제4장에서는 고령사회에서의 핵심제도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이해를 다루었다.
제5장부터 제10장까지는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실제 부분으로 제5장은 사회복지시설의 인적관리, 제6장은 재정관리, 제7장은 마케팅과 홍보, 제8장은 자원봉사, 제9장은 프로그램 기획, 제10장은 사회복지시설의 평가를 다루었다.
제11장부터 제14장까지는 사회복지시설 각종 분야론으로, 아동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 노인복지시설, 정신보건시설을 다루었다. 특별히 이번 개정판에서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평가에 관한 내용과 치매전담기관의 내용을 추가하였다.
현재 사회복지사업을 행할 목적으로 사회복지시설을 운영해 보기를 소망하거나 시도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리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실무자와 운영자뿐만 아니라 예비 사회복지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애를 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상 출판을 하려고 하니 미흡하고 미진한 부분이 더 많은 것 같다. 좀 더 좋은 책을 만들어 가기 위한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되겠지만, 이 책을 통해 누락되었거나 보충을 요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여러분의 관심 어린 지적과 조언을 부탁드린다.
끝으로 이 책을 출판할 기회를 주신 도서출판 공동체 가족 여러분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2020년 12월
집필자 일동
CHAPTER 01 사회복지시설의 이해
제 1 절 사회복지시설의 정의 10
제 2 절 사회복지시설의 특성 11
제 3 절 사회복지시설 보호의 운영원리 18
제 4 절 사회복지시설의 유형 21
제 5 절 사회복지시설의 역사 24
CHAPTER 02 사회복지법인의 이해
제 1 절 사회복지법인 설립의 전제 32
제 2 절 사회복지법인의 설립 33
제 3 절 사회복지법인의 설립절차 42
제 4 절 사회복지법인의 운영 49
CHAPTER 03 사회복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
제 1 절 사회복지시설 설치 56
제 2 절 사회복지시설 운영 60
CHAPTER 0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이해
제 1 절 의의 및 정책목표 76
제 2 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 특징 85
제 3 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내용 87
제 4 절 장기요양기관의 운영 95
CHAPTER 05 사회복지시설의 인적관리
제 1 절 인적관리의 개념 104
제 2 절 인적관리의 구성요소 106
제 3 절 인적관리의 성격 108
제 4 절 인적관리의 과업 109
제 5 절 사회복지시설의 인적자원관리 방안 116
CHAPTER 06 사회복지시설의 재정관리
제 1 절 사회복지시설의 재무회계 124
제 2 절 예 산 126
제 3 절 결 산 135
제 4 절 회 계 136
CHAPTER 07 사회복지시설의 마케팅과 홍보
제 1 절 사회복지시설의 마케팅 142
제 2 절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 과정과 실행 방법 152
제 3 절 사회복지시설에서의 홍보 159
CHAPTER 08 사회복지시설의 자원봉사
제 1 절 자원봉사의 개념 166
제 2 절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168
제 3 절 자원봉사의 가치와 철학 172
제 4 절 자원봉사의 필요성과 성격 176
제 5 절 자원봉사의 실제 178
CHAPTER 09 사회복지시설의 프로그램 기획
제 1 절 프로그램 기획의 개념 188
제 2 절 프로그램의 기획 과정 194
CHAPTER 10 사회복지시설의 평가
제 1 절 평가의 개념 및 정의 210
제 2 절 평가의 의의 212
제 3 절 평가의 목적과 필요성 213
제 4 절 평가의 원리 및 원칙 217
제 5 절 평가의 방법 222
제 6 절 평가 영역과 내용 226
제 7 절 노인장기요양기관 평가 229
CHAPTER 11 아동복지시설
제 1 절 아동복지시설의 설치신고 242
제 2 절 아동복지시설의 시설기준 243
제 3 절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설치 258
제 4 절 가정위탁지원센터의 지정 263
제 5 절 지역아동센터의 설치 267
CHAPTER 12 장애인복지시설
제 1 절 장애인복지시설의 설치 272
제 2 절 장애인복지시설의 공통기준 272
제 3 절 장애인복지시설별 설비기준 280
제 4 절 장애인복지시설의 운영기준 287
CHAPTER 13 노인복지시설
제 1 절 노인복지시설의 이해 300
제 2 절 설치 및 운영 306
제 3 절 주요 사업과 서비스 324
제 4 절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 329
CHAPTER 14 정신보건시설
제 1 절 정신보건시설의 개념 338
제 2 절 목 적 339
제 3 절 설치와 운영 339
제 4 절 우리나라 정신보건시설 현황 344
제 5 절 주요 사업과 서비스 345
제 6 절 전망과 과제 348
제 7 절 결 론 354
▪ 참고문헌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