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프롤로그
3년간의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되돌아보며…
계절이 바뀌면 자연이 옷을 갈아입듯이 계절에 맞게 사람들의 옷차림도 바뀐다. 사람의 옷차림이 바뀌었다고 해서 그 사람 자체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유치원 교육과정도 1969년 1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제정된 이래 10번의 개정을 거치면서 그때마다 옷을 갈아입어 왔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지금까지 개정된 교육과정과 차이점이 있다면 단순히 옷만 갈아입는 것이 아니라 유아교육의 본질로 돌아가기 위하여 교육과정의 체질을 바꾸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의 체질을 바꾸기 위한 우리들의 노력은 3년 전 2017년 3월 봄빛유치원에 모이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처음 모였을 때부터 3년의 시간 동안 ‘아이들이 행복하고 아이들을 위한’이라는 공통된 마음으로, 아이들이 가장 즐겁고 본연의 모습을 보일 수 있는 놀이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다양한 고민을 하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아이·놀이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교육적 가치와 철학을 공유하고 이를 반영한 유치원의 비전을 정한 후 교육공동체와 함께 아이상, 교사상, 학부모상, 유치원상을 정하여 교육과정 전반에 녹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놀이 중심으로 유치원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기보다는 기존에 하고 있던 것에서부터 덜어내기를 먼저 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치원의 모든 교직원들이 민주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분위기로 행정업무 중심보다는 교육과정 중심 유치원 운영 체제와 문화를 만들어 갔다.
또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면서 교원들 간의 삶이 만나고 놀이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열띤 토론의 시간도 가지며, 다양한 형태의 다모임을 통해 교육과정을 협의하고 성찰하며 더 나은 방향을 모색하였다. 아이·놀이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학급에서 그리고 유치원에서 생기는 다양한 고민과 과제는 교사 개인의 수준에서 해결하기보다는 교원들이 함께 해결방법을 찾아가며 집단지성에 의해 교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봄빛유치원에서는 학부모와 지역사회 등 유치원의 교육공동체와 함께하면서 봄빛유치원만의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만들어 갔다.
봄빛유치원에서는 매일 아이들과 놀이를 기록하여 하루일과를 되돌아보고 아이들의 놀이의 의미를 찾으며 아이들의 삶을 존중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려고 노력하였다. 즉, 교사 중심에서 유아 중심으로, 활동 중심에서 놀이 중심으로, 계획 중심에서 성찰 중심으로, 평가 중심에서 이해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지난 3년간 봄빛유치원의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발간하여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는 유치원 현장의 교원 및 예비유아교사들과 그동안의 과정과 고민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 책은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준비-실행-평가의 내용을 총 3장으로 구성하였다.
1장에서는 아이들의 놀이가 교육과정이 되도록 하기 위한 준비과정을 담고 있다. 유치원 비전 정하기와 교육과정 중심의 유치원 운영 체제를 만들어 가는 과정,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 함께 유치원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아이들의 진짜 모습을 교육과정에 담기 위해 프로그램에 집착을 버리고 교사와 아이들과 함께 규칙을 정하고 지키면서 놀이가 교육과정이 되는 과정을 안내하였다.
2장에서는 주로 아이들의 놀이가 어떻게 실행되었는지의 놀이 이야기를 담고 있다. 교실놀이부터 바깥놀이, 텃밭놀이, 어울림놀이, 숲놀이, 마을 나들이 등 유치원의 실내·외 공간을 넘어 마을까지 놀이의 공간을 확장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교실놀이 이야기에서는 3세, 4세, 5세 아이들과 특수학급 아이들의 놀이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놀이 과정을 담았다.
3장에서는 아이들의 놀이를 기록하고 되돌아보는 내용 및 방법과 되돌아보기1)를 활용하는 사례를 담고 있다. 저널 쓰기, 사진, 메모, 그림, 도형, 도식 등 다양한 방법의 기록을 통해 아이들을 이해하고 교사 스스로 성찰하면서 이를 교육과정 운영과 학부모와의 소통자료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책의 주요 특징은 세 가지이다.
첫째, 이 책은 놀이 중심 교육과정 준비를 위해 처음에 무엇을 하고 교육과정이 어떤 과정을 통해 실행되고 평가되었는지의 일련의 과정을 담고 있어 다른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 사례와는 차별화된다. 그리고 각 장의 마지막에는 ‘함께 생각해요’를 통해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직면하게 되는 교사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과 준비 사항을 상세하게 담았기에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이 책은 단순한 아이들의 놀이 사례가 아니라 실제로 아이들의 놀이를 기록한 성찰 중심의 되돌아보기에 나타난 아이들의 놀이 과정의 특성을 다루고 있다. 각 내용마다 아이들의 놀이에 대한 교사의 되돌아보기 기록을 제시한 후 관련 내용을 제시하였다. 교사 주도가 아닌 아이들이 주도하면서 놀이가 어떻게 확장되고 아이들에게 어떤 배움이 일어났는지를 생생하게 담고 있어 놀이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이 책은 유치원 특수학급과 통합학급의 장애 아이들의 놀이 과정도 담고 있다. 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교사의 사전 계획보다는 아이들의 놀이 흐름에 따라 교사가 지원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어서 발달이 지연되거나 장애를 지닌 아이들의 놀이 지원에 대한 교사들의 고민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이들의 놀이 기록을 중심으로 놀이 사례를 이야기하다보니 개별 아이의 발달 상황이나 문제 행동이 사실대로 기록되어있다. 그래서 이 책에 나오는 유치원과 아이들의 이름은 가명으로 처리하였음을 밝혀둔다.
3년간의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한 사례를 정리하다 보니 놀이를 하며 깔깔거리며 즐겁게 웃던 아이들, 놀이에 흠뻑 빠져 시간 가는 줄 모르던 아이들…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놀이하며 행복했던 순간, 즐겁게 놀면서 성장한 아이들을 본 가슴 벅차고 보람된 순간, 그리고 항상 같이하며 교사 간의 삶을 공유하면서 울기도 하였지만 금방 다시 웃던 시간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간다. 이 땅의 모든 아이들과 모든 교사들이 우리들과 같은 경험을 하게 되기를 바라본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출판을 허락해 주신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김동근 이사님께 감사드리며, 이하 공동체 가족 여러분의 노고에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제1장 놀이 = 교육과정 되어가기
Intro 15
01 교육과정 중심 운영을 위한 준비 17
가. 모두의 마음이 반영된 유치원 비전 정하기 17
나. 교육과정 중심으로 유치원 운영하기 18
다. 전문적 학습공동체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 고민하기 21
라.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 함께 유치원 운영하기 24
☞ 함께 생각해요 29
02 놀이=교육과정 되기 32
가. 아이들의 진짜 모습을 교육과정에 담기 32
나. 프로그램에 대한 집착 버리기 놀이가 곧 교육과정 37
다. 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규칙 정하고 지키기 45
☞ 함께 생각해요 47
제2장 놀이 이야기
Intro 51
01 교실놀이 이야기 52
가. 3세반 교실놀이 이야기 52
나. 4세반 교실놀이 이야기 65
다. 5세반 교실놀이 이야기 79
라. 놀이 속에서 자라나는 아이–특수학급 놀이 이야기 90
☞ 함께 생각해요 101
02 선생님, 바깥놀이는 언제 나가요? 바깥놀이 이야기 106
가. 마법의 놀잇감, 흙으로 놀아요 106
나. 영차영차, 몸으로 놀아요 110
다. 뜀박질 명소, 공터에서 놀아요 112
라. 유치원에서 만나는 식물과 곤충 친구들 126
☞ 함께 생각해요 129
03 얘들아~ 텃밭에서 놀자, 텃밭놀이 이야기 132
가. 유치원의 숨은 놀이터, 텃밭 132
나. 아이들의 사랑으로 자라는 텃밭 이야기 134
다. 수확의 기쁨과 놀이 142
☞ 함께 생각해요 147
04 모두 모두 어울려 놀아보자, 어울림놀이 이야기 151
가. 오늘은 어울려 노는 날 151
나. 변화해 가는 어울려 노는 날 154
다. 어울려 노는 날이 어울림놀이가 되기 위해서는…(feat. 자발성) 156
라. 아이들이 주체가 되어 어우러지다 158
마. 어울림놀이 속에서 이루어지는 진정한 어울림 163
바. 장애유아의 어울림놀이 165
☞ 함께 생각해요 167
05 숲에서 꿈틀꿈틀~ 숲놀이 이야기 169
가. 니가 왜 거기서 나와~ 우연히 만나 더 즐거운 숲 친구들 169
나. 숲에서도 놀이는 계속된다~ 단지 공간이 이동했을 뿐 173
다. 숲속에서 찾는 아름다움 177
라. 협동과 배려의 공동체성 키우기 179
마. 함께 즐기는 숲 180
☞ 함께 생각해요 183
06 우리 동네 10,000% 활용하기, 마을 나들이 이야기 186
가. 제철 음식과 다양한 사람들이 공존하는 곳, 계절의 교과서 시장 186
나. 세상에서 제일 행복한 마을 나들이 장소, 공원과 놀이터 190
다. 책 속으로 떠나는 나들이 192
라. 지하철역 등 공공기관 194
마. 마을 사람들과 정 나누기 195
☞ 함께 생각해요 198
제3장 기록으로 되돌아보기
Intro•203
01 되돌아보기의 방법 205
가. 짧은 저널 쓰기, 긴 저널 쓰기 205
나. 사진을 활용한 저널 쓰기 206
다. 자유롭게 메모하기 207
라. 그림, 도형, 도식으로 기록하기 209
☞ 함께 생각해요 210
02 되돌아보기 내용 211
가. 놀이 211
나. 생활지도 214
다. 유아 이해 217
라.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 219
마. 교사 성찰 222
☞ 함께 생각해요 224
03 되돌아보기 활용 225
가. 오늘의 깊이 있는 이해와 내일 그려보기 225
나. 유아 성장과 변화 지원 225
다. 놀이나 경험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 226
라. 교사의 내적 성장 226
마. 학부모 소통 자료로 활용 226
바. 유아 평가(성장편지, 생활기록부)의 기초 자료로 활용 229
☞ 함께 생각해요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