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대학에서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여 영유아교육현장에 배출하는 일을 해온 지 벌써 30여 년이 흘렀다. 대학을 갓 졸업하고 현장에 교사로 나가 그동안 참으로 힘들었을 시간들을 묵묵히 견디어 낸 많은 제자들이 이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원장이라는 직함을 지니고 당당한 모습으로 찾아온다. 참으로 대견스럽고 뿌듯하다. 제자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화제는 자연스럽게 공통의 관심사인 유아교육현장으로 옮겨지고, 마지막에는 반드시 학부모 교육이나 학부모 상담의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로 끝을 맺게 된다. ‘자신의 아이만 바라봐 주기를 원하는 이기적인 학부모’, ‘무조건 아이 말만 믿고 두둔하며 교사를 의심하는 학부모’, ‘매사에 교사 탓만 하는 학부모’, ‘원이나 학급 운영에 간섭을 하거나 불만을 표시하는 학부모’, ‘무엇이든 막무가내로 요구하는 학부모’, 가장 심하게는 ‘아이에게 훈육을 안 해도 좋으니 항상 칭찬만 해달라는 학부모’… 물론 대다수의 학부모들은 자신의 어린 자녀를 자신들과 함께 보육 및 교육하는 선생님들을 존중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대한다. 그러나 학급에 조금 유별난 학부모가 단 한 명만 존재해도 교사들은 그 한 해 동안 매우 힘든 시간을 보낸다.
교사는 싫든 좋든 학부모와 만나야만 하고, 중간에 놓인 영유아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부모와 협력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유아교사 준비교육 기간 동안 상담에 대비하는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교사 입장에서 준비가 덜 된 채로 다양한 요구를 가진 학부모와 만나 상담을 하다 보니 늘 두렵고, 어려우며, 자신이 없고, 실수를 하여 후회스러운 상담을 하게 되며, 상담으로 인해 교사로서의 자존감까지 낮아지는 것이 현실인 듯하다.
학부모 상담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제대로 준비가 되어있지 않아서 예비유아교사나 현장의 교사들에게 늘 마음의 짐을 느끼게 하는 힘든 부분이라는 생각에 그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일념으로 상담전공도 아니면서 그동안의 경험에 기초해서 용기를 내보았다. 아주 짧은 기간이었지만 유치원 교사로서 경험했던 학부모 상담과 대학부속유치원을 운영하며 원장으로서 만났던 학부모들과의 경험, 유아교육과 교수로서 지역사회 교사들의 학부모 상담교육에 대한 요청에 못 이겨 그들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되고자 스스로 공부하며 익힌 몇 가지 이론들을 간략히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사 중에는 아직 미혼이며 자녀를 낳아본 경험이 없는 교사들의 수가 많은 까닭에 학부모 상담에 적절히 대비하기 위해 먼저 학부모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내용, 교사와 학부모 관계의 특성, 상담 시 교사역할의 중요성과 자질, 상담의 유형 등을 1부에서 다루고, 2부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상담 과정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다루었다. 학부모 상담의 준비 과정과 상담 과정에서 교사에게 요구되는 여러 가지 상담기술을 정리해 보았다. 학부모 상담 관련 서적들을 찾아서 읽어보면 다양한 사례들과 해결책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그 책 속에 소개된 방법들을 막상 적용해 보려고 하면, 어떤 부모에게는 잘 맞아떨어지지만 다른 부모에게는 전혀 적용이 되지 않을 때가 있다. 따라서 본 서에서는 특정 사례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기 보다는 교사들이 대부분의 상담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될 만한 기술들을 소개하였다.
유아교육현장의 많은 교사들이 학부모 상담으로 인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충분히 알기에 학부모 상담자로서 교사의 역할에 힘을 보태주고 싶다. 교사의 역할에는 학부모 상담자 역할만 있는 것이 아니기에, 후배교사들이 학부모 상담으로 인해 좌절하거나 교사로서의 열정과 자존감이 낮아지지 않기를 바란다. 힘은 들겠지만 진실한 태도로 학부모와 소통하며 중간에 놓인 영유아와 함께 유아·부모·교사가 모두 행복하게 성장해 가기를 바란다.
2020년 전선옥
1부 학부모 상담 이해하기
01 학부모 상담의 이해 11
02 학부모 상담을 위한 학부모 이해 19
1. 학부모란? 019
2. 영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이해 22
03 학부모 상담과 교사 29
1. 교사와 학부모 관계의 특성 29
2. 학부모 상담에서 교사역할의 중요성 42
3. 상담자로서 교사의 역할과 자질 44
04 학부모 상담의 유형 49
1. 개인상담 50
2. 집단상담 53
3. 전화상담 55
4. 인터넷을 이용한 상담 59
5. 연락수첩 65
2부 학부모 상담하기
01 학부모 상담의 과정 이해하기 71
1. 개인상담 73
2. 집단상담 93
02 학부모 상담을 위한 상담기술 배우기 99
1. 학부모 상담에 필요한 여러 요소 100
2. 성공적인 학부모 상담을 위한 제안 105
마무리하며 149
참고문헌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