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영유아 사회교육은 일상생활 안에서 영유아가 지금 그리고 미래의 유능한 사회적 존재로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 기술, 태도 및 가치를 경험하며 학습하는 영역이다. 영유아 사회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민주사회에 적합한 지성과 책임감을 갖춘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영유아의 사회적 발달과 학습을 지원하는 것이다. 영유아들은 사회교육을 통해 자신이 속한 사회에 소속감을 느끼고 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한다. 그뿐만 아니라 자신과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 과정에 성공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사회적 유능성을 갖추게 된다. 또한 사회교육을 통해 일상적으로 접하는 생활경험을 넘어 환경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얻고, 상호 연결된 지구촌 세계 안에서 타인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연대의식을 발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영유아 사회교육은 생활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유아교육 및 보육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강조되어야 할 교육영역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영유아기 교육 및 보육과정의 다양한 영역들을 포괄적으로 통합하는 중심교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예비교사들은 영유아가 건강하고 유능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적 역량을 기르도록 적합한 경험과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영유아 사회교육의 목적과 내용,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학습할 필요가 있다.
영유아 사회교육의 학습 내용은 영유아의 사회화 및 사회성 발달과 관련되어 자아개념, 사회적 상호작용, 타인 이해 및 존중, 친사회적 행동, 문제해결력 등 사회적 기술의 습득 및 대인관계 영역의 발달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영유아 사회교육은 생활세계와 사회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역사, 경제, 지리, 환경, 다문화 등 사회과학적 개념과 지식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한다. 과거 영유아 사회교육에 대한 내용들은 대체로 사회과학적 지식보다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최근 영유아 사회교육의 구성은 두 영역 간의 균형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사회과학적 지식의 영역을 고르게 포함하고, 사회교육에서 목표로 하는 민주시민의 양성을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기술과 태도, 사회과학적 지식의 내용을 포괄하여 상호 보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는 데 초점을 두었다.
Chapter 01 영유아 사회교육의 이해
1. 영유아 사회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11
2. 영유아 사회교육의 내용과 범위 22
Chapter 02 영유아 사회교육의 접근방법
1. 영유아 사회교육의 접근모형 35
2. 사회교육과정의 내용 조직 원리 44
Chapter 03 영유아 사회교육 교육과정
1. 표준보육과정 51
2. 누리과정 58
3.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64
Chapter 04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
1. 애착 73
2. 자아개념 80
3. 성역할 88
4. 친사회적 행동 94
5. 공격성 99
6. 도덕성 105
7. 마음이론 114
8. 또래관계 118
Chapter 05 영유아 사회교육의 내용
1. 역사 131
2. 경제 141
3. 지리 150
4. 다문화 161
5. 환경 177
Chapter 06 영유아 사회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1. 영유아 사회교육의 교수-학습 원리 191
2. 영유아 사회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194
3. 영유아 사회교육의 평가 221
4. 영유아 사회교육의 환경구성 228
Chapter 07 영유아 사회교육 활동의 실제
1. 영아를 위한 사회교육 활동의 실제 239
2. 유아를 위한 사회교육 활동의 실제 255
참고문헌 279
찾아보기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