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에 기초한 

영유아사회교육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영유아교육기관은 아이가 태어나서 가족 이외에 처음 타인을 만나 사회경험을 하는 곳이다. 가족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 및 타인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되고 기관에 와서는 친구들과 교사들과 생활하면서 사회화되어 가는 과정을 통해 자신 및 타인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된다.
  영유아기 보육 및 교육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궁극적 목적은 바른 인성과 민주시민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있다는 점에서 교과로서 영유아사회교육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과 유사하다. 뿐만 아니라 영유아기의 성공적인 사회화를 위해서는 사회성 발달에 대한 이해와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것과 사회과 교과에서 다루는 기본적인 내용도 지도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최근 개정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 및 지도방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전문적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영유아 사회교육 교재의 집필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집필진들의 고민이 있었다.
  본 저자들은 위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영유아의 사회화를 위한 사회·정서발달의 주요 내용들과 사회과 교과에서 다루어지는 기초 지식들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2019년 개정 누리과정의 변화된 체계와 내용들을 반영하였으며, 현장에서 이루어진 놀이 실제들을 포함시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 책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의 성격을 반영하여 유아 중심·놀이 중심의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행복을 추구하고, 자율성과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반영하여 이 책은 전체 3부,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부는 3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영유아사회교육의 기초에 대해 다루고 있다.
  1장에서는 이 책의 전체적인 집필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영유아의 사회화와 사회성 발달에 대한 내용과 영유아사회교육의 기초가 되는 내용들, 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과 사회화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내용들을 연결 지어 살펴보았다. 즉, 자아발달과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 범주는 ‘나를 알고 존중하기’로, 사회적 관계 발달과 관련된 내용 범주는 ‘더불어 생활하기’로, ‘사회과학적 지식’에 대한 내용 범주는 ‘사회에 관심 가지기’로 연결하여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영유아 발달과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들 이론들이 영유아사회교육에 주는 시사점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에서는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행복을 추구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데 영유아의 행복을 위해 긍정심리학이론들을 살펴보고 영유아사회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들을 살펴봄으로써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영유아사회교육의 내용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2부는 5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영유아사회교육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4장에서는 영유아의 사회화를 위한 첫 번째 내용으로 자아발달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었다. 자아발달과 교육과정 관련내용을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도록 긍정적 자아인식을 위한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정서, 자율성 발달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5장에서는 영유아의 사회화를 위한 두 번째 내용으로 사회적 관계발달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사회적 관계발달에서는 애착, 친사회성, 도덕성 발달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회적 관계발달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 중 공격성은 이 책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문제행동 지도보다는 긍정적인 특성을 길러줌으로써 부정적 특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저자들의 주관적 관점이 반영되었음을 밝힌다.
  6장에서는 영유아사회교육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사회과학적 지식 중 지리, 역사, 다문화,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개념 발달과 학습내용,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7장에서는 영유아사회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개정 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사의 역할을 반영하여 영유아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구성 및 상호작용 지원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8장에서는 영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의 필요성과 내용, 평가방법들과 영유아교육현장에서 평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3부는 2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영유아사회교육의 실제에 대해 다룬다.
  9장에서는 영아를 위한 사회교육의 실제를 다루고 있는데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들이 잘 드러나는 놀이경험을 통해 이 과정에서 교사가 어떤 지원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영아들의 놀이는 유아에 비해 놀이지속 기간이 짧고 또래보다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두드러지는 특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10장에서는 유아를 위한 사회교육의 실제를 다루고 있는데 자연스럽게 시작된 놀이 속에서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는 놀이경험들을 찾아보고 다른 영역들과의 연관성 속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놀이 진행과정에서 다양한 교사의 지원들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각 장의 뒷부분에는 장의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고, 함께 이야기하거나 토론해 볼 수 있는 이야깃거리들과 온라인상에 공유되고 있는 시청각자료들을 참고할 수 있도록 QR코드를 첨부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 책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영유아기 사회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영유아들이 바른 인성과 민주시민의 자질을 키워 행복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도록 돕는 데 도움을 받기를 바란다. 이 책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들은 가능한 한 예비영유아교사들의 현장이해를 돕기 위해 영유아 발달에 대한 지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접목시켜 풀어보려고 시도하였으나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많아 아쉬움이 앞선다.
  이 책은 최종 결과물이 아니라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수정 보완해 나가야할 것으로 보이며, 좋은 책으로 거듭나기 위해 독자 여러분들의 충고와 조언을 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책의 실제 부분을 위해 영유아들의 놀이실제 자료를 제공해 주신 박민 선생님과 박은정 선생님께 감사드린다. 바쁜 일과 속에서도 번거로운 교정과 책의 내용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은 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대학원 박사과정의 이경화, 이정경 선생님께 고마움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출판을 맡아주신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좋은 책을 내고 싶은 욕심에 수차례의 교정과 디자인 수정작업을 끝까지 반영하기 위해 애써주신 공동체 편집부를 비롯한 직원 여러분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21년 3월
백운산 아래 연구실에서

 

PART 01 영유아사회교육이 기초

CHAPTER 01 영유아의 사회화와 영유아사회교육
   1. 영유아의 사회화와 사회성 발달 16
   2. 영유아사회교육의 기초 18
     1) 영유아사회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19
     2) 영유아사회교육의 목표 24
     3) 영유아사회교육의 내용 26
   3. 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과 영유아사회교육 27

CHAPTER 02 사회성 발달이론
   1. 정신분석이론 34
     1) Freud 이론 35
     2) Erikson 이론 38
     3) 정신분석이론이 영유아사회교육에 주는 시사점 39
   2. 사회학습이론 41
     1) Skinner의 조작적 학습이론 41
     2)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42
     3) 사회학습이론이 영유아사회교육에 주는 시사점 44
   3. 인지발달이론 45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45
     2)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48
     3) 인지발달이론이 영유아사회교육에 주는 시사점 50
   4. 생태학적 이론 51
     1)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이론 51
     2) 생태학적 이론이 영유아사회교육에 주는 시사점 54
   5. 긍정심리학이론 55
     1) Seligman의 긍정심리학이론 55
     2) 긍정심리학이론이 영유아사회교육에 주는 시사점 62

CHAPTER 03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에서의 사회교육
   1. 표준보육과정 사회관계 영역 70
     1)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목표 71
     2)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 범주 72
     3)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 74
   2.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 81
     1) 2019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목표 81
     2) 2019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 범주 82
     3) 2019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 83

PART 02 영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영유아사회교육

CHAPTER 04 자아발달
   1. 교육과정과 자아발달 92
     1) 0∼1세 표준보육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자아발달 93
     2) 2세 표준보육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자아발달 93
     3) 2019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자아발달 94
   2.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94
     1) 자아발달이론 95
     2)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의 발달 99
     3)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발달을 위한 지원 102
   3. 정서 105
     1) 정서발달이론 105
     2) 정서발달 108
     3) 정서발달을 위한 지원 111
   4. 자율성 114
      1) 자율성 발달이론 115
     2) 자율성 발달 118
     3) 자율성 발달을 위한 지원 119

CHAPTER 05 사회적 관계발달
   1. 교육과정과 사회적 관계발달 126
     1) 0∼1세 표준보육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사회적 관계발달 127
     2) 2세 표준보육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사회적 관계발달 127
     3) 2019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의 사회적 관계발달 128
   2. 애착 128
     1) 애착발달이론 129
     2) 애착발달 131
     3) 애착발달을 위한 지원 134
   3. 친사회성 135
     1) 친사회성 발달이론 136
     2) 친사회성 발달 139
     3) 친사회성 발달을 위한 지원 145
   4. 도덕성 147
     1) 도덕성 발달이론 147
     2) 도덕성 발달 149
     3) 도덕성 발달을 위한 지원 152

CHAPTER 06 사회과학적 지식 발달
   1. 교육과정과 사회과학적 지식 158
   2. 지리 159
     1) 지리개념 발달 160
     2) 지리교육 내용 161
     3) 지리개념 발달을 위한 지원 163
   3. 역사 164
     1) 역사개념 발달 165
     2) 역사교육 내용 166
     3) 역사개념 발달을 위한 지원 168
   4. 다문화 169
     1) 다문화개념 발달 170
     2) 다문화교육 내용 171
     3) 다문화개념 발달을 위한 지원 173
   5. 민주시민 175
     1) 민주시민의식 발달 175
     2) 민주시민교육 내용 177
     3) 민주시민의식 발달을 위한 지원 180

CHAPTER 07 영유아사회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1. 영유아사회교육에서의 교수·학습 186
     1) 영유아사회교육을 위한 교수원리 187
     2) 영유아사회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188
   2. 영유아사회교육을 위한 환경지원 199
     1) 영유아사회교육을 위한 환경구성 원리 199
     2) 영유아사회교육을 위한 환경구성 200
   3. 영유아사회교육을 위한 상호작용 지원 204
     1) 관찰하기 205
     2) 설명하기 206
     3) 모델링하기 207
     4) 질문하기 207
     5) 제안하기 208
     6) 함께 참여하기 209
     7) 정서지원을 위한 감정코칭하기 210

CHAPTER 08 영유아사회교육평가
   1. 영유아사회교육평가의 개요 216
     1) 사회교육평가의 필요성과 목적 216
     2) 영유아사회교육평가의 내용 218
   2. 영유아사회교육평가의 방법 222
     1) 관찰법 222
     2) 면접법 227
     3) 사회성 측정법 227
     4) 투사법 230
     5) 표준화 검사 231
   3. 영유아사회교육평가의 활용 232
     1) 유아의 특성과 변화 정도 이해 232
     2) 생활지도를 위한 자료 233
     3) 학부모면담 자료 235
     4) 생활기록부 작성 237

PART 03 영유아사회교육의 실제

CHAPTER 09 영아를 위한 사회교육의 실제
   1. 애착인형과 하루 일과를 보내요 243
   2. 거울 속 내 모습을 살펴보아요 245
   3. 로션놀이를 해요 248
   4. 까꿍놀이를 해요 250
   5. 내가 좋아하는 것을 가방에 담아보아요 252
   6. 낮잠 자는 모습을 표현해요 254
   7. 생일파티 놀이를 해요 256
   8. 변신놀이를 해요 258

CHAPTER 10 유아를 위한 사회교육의 실제
   1. 기차놀이 267
   2. 가족놀이 277
   3. 가게놀이 287
   4. 병원놀이 299

■ 부록 312
■ 참고문헌 315
■ 찾아보기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