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은 현장에서 유아교육을 실천하는 데 근간이 되는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 현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누리과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2019년 7월 개정 누리과정이 고시되었고, 2020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이 되었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맞추어 유아교육과정 교재도 바로 집필이 필요하였으나 2년이 지난 지금의 시점에서 출판하게 되었다.
본 『유아교육과정』은 그동안 예비유아교사양성 대학에서 사용되어 온 다양한 유아교육과정 교재를 검토하여 중요한 부분을 정리하여 반영하였고, 무엇보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변화의 흐름을 충분히 고려하여 집필하고자 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중요한 필수교과목인 유아교육과정의 핵심 내용으로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비중을 고려해 볼 때,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지향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변화를 시급히 유아교육과정 교재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본 교재는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과정의 개념과 중요성, 그리고 구성과 실행 등의 주요한 부분을 개정 누리과정에 근거하여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본 책은 크게 III부, 총 10장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I부, ‘유아교육과정 시작하기’는 1장 유아교육과정의 기초, 2장 유아교육과정의 역사, 3장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으로 구성하였다. II부는 ‘유아교육과정 구성 및 실행 이해하기’로 4장 유아, 놀이, 교사 이해하기, 5장 유아교육과정 구성 이해하기, 6장 유아교육과정 실행 이해하기로 구성하였다. III부는 ‘유아교육과정 실행하기’로 7장 놀이 환경, 8장 교육계획, 관찰 및 평가로 구성하고, 9장은 상호작용, 마지막으로 10장은 특별한 요구를 가진 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아교육과정은 I부에 이론을 배치하고 II부에 실제를 배치하여 이론과 실제로 양분되는 경향이 높으나, 본 교재는 II부 유아교육과정의 구성과 실행을 I부의 이론과 III부의 실제를 이어주는 중간지점으로 제안하였고, 이는 유아교육과정을 단순하게 이론과 실제로 양분하여 이해하기보다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실제적 구성체제와 실행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고 현장에서 구현해 가는 실제를 알아야 한다는 집필진의 생각을 반영한 결과이다. 또한 I, II, III부를 시작하기에 앞서 ‘미리 읽어보기’를 각각 제시하여 각 파트의 전체 윤곽과 각 장의 구성을 큰 틀에서 먼저 살펴볼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I부에서 1장은 유아교육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핵심적인 기초 내용에 초점을 두었고, 2장에서 유아교육과정의 역사를 철학과 심리학으로 양분하지 않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천되는 과정으로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무엇보다 유아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에 큰 영향을 준 현대철학과 교육과정의 담론을 ‘유아교육과정의 재개념화’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3장의 국내·외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간략하게나마 정리하여 소개함으로써 유아교육과정을 국가수준의 관점에서 바라보도록 안내하고자 하였다. I부의 구성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와 이를 가르치는 교사교육자 모두가 학습자중심을 강조하는 세계의 교육과정의 동향과 이에 근거한 유아·놀이중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배경을 보다 큰틀에서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I부는 그동안 유아교육과정을 Tyler의 이론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일반 원리를 소개하고 실제를 생활주제 중심의 교육계획안 작성으로 제시하는 경향에서 벗어나, 유아교육과정만의 고유한 구성과 체계를 보다 자세히 소개하고 특히 그동안 간과되었던 ‘5개 영역의 교육내용’의 의미와 실행 의미를 상세히 설명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유아교사들이 생활주제와 교사용 지도서를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 인식하는 오해와, 이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면서 유아교육과정이 획일화되는 과정을 바로잡고자 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정 배경을 충분히 반영하고자 함이다. 무엇보다 4장에서는 개정 누리과정의 핵심 주체인 유아와 교사, 그리고 놀이를 별도의 장으로 구성하여 유아교육과정을 실행해 가는 각 주체의 중요성과 의미를 부각하고자 하였다. 또한 5장은 누리과정 고시문의 구성요소인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과 평가의 일반 원리를 반영하고 있지만, 각 구성이 유아가 중심이 되고 놀이가 살아나는 내용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설명하는 데 주력하였고, 무엇보다 ‘생활주제’와 국가가 제시한 ‘교육내용’의 혼선을 바로잡고자 5개 영역의 내용과 의미를 설명하는데 많은 부분을 할애하였다. 이어서 6장에서는 유아교육과정의 실행 또는 실행력의 의미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이 현장에서 구현되는 과정이 곧 실행력임을 설명하면서, 동시에 유아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실천 방향인 ‘유아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의 다양한 방식을 소개하였다. 무엇보다 놀이를 중심으로 한 통합교육과정을 강조하고, 이어서 생활주제 중심의 통합적 접근의 의미와 한계, 개선점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교재가 가장 정성을 기울인 영역은 III부 유아교육과정 실행하기이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은 개정되는 과정과 현장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교사가 무엇을 어떻게 실행해야 할지에 대한 논란과 관심이 많았고, 자율성과 다양성의 용어 등이 많은 해석을 낳은 것도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유아교육과정은 교사의 역할을 계획안 작성에 초점을 두어 시작하는 경향이 높으나, 본 교재에서는 7장 ‘놀이 환경’의 구성을 실행하기의 처음으로 배치하였다. 이는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을 유아의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는 자로 제안한 사실을 더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유아교사는 계획안을 완성도 있게 작성하기 이전부터 교실 환경에 대한 고민을 하고 좋은 놀이 환경을 통해 유아들의 배움은 풍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좋은 놀이 환경은 가장 중요하면서도 유아교사가 수월하게 처음 고민해야 하는 교육과정의 첫걸음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어서 8장인 ‘교육계획, 관찰, 평가’는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계되기 때문에 하나의 장으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연간계획안을 먼저 제시하고, 이어서 다양한 교실수준 교육과정으로 월간, 주간, 일안을 현장에서 간략화할 수 있는 구체적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그리하여 다양한 교실수준 교육계획은 모두 다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가 자율성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무엇보다 계획이란 유아의 놀이를 실제 관찰하는 과정에서 완성해 갈 수 있는 것으로 계획과 관찰, 그리고 평가까지 모두 계획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통합적으로 실행해 갈 수 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9장에서는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실행과정에서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는 다양하고 좋은 ‘상호작용’하기의 사례로 소개하였다. 그동안 유아교사의 역할을 대집단 활동의 기술 익히기와 발문하기 등에 초점을 두었다면,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는 경청하기와 이해하기, 일상에서 소소하고 다양한 상호작용하기 등으로 유아의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는 교사역할을 새롭게 환기해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 10장은 다양한 요구를 가진 장애유아들을 위한 장으로 구성하여 유아교육과정의 완성도를 더 높이고자 하였다.
III부의 각 장은 순서에 관계없이 필요한 장을 먼저 읽어도 무방하며,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교수학습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풀어가는 예시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III부는 다양한 사진과 사례를 사용하도록 기꺼이 허락해 준 많은 유아교육기관과 현장의 교사들의 노력에 힘입어 집필되었음을 밝히고 싶다.
개정 누리과정이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나서도 벌써 1년의 시간이 지났으며 유아교육과정의 집필도 오랜 시간 고민을 하였지만 막상 집필을 마치고 보니 벌써부터 아쉽고 미흡한 부분이 많이 보여 출판이 조심스러울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장 개정된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고려한 교재의 필요성에 의해 급히 마무리하고 부족하지만 출판을 결정하였다.
그동안 복잡한 원고를 정리하고 지원해 준 도서출판 공동체와 담당자에게 감사하고, 무엇보다 오랜 시간 몇 번의 원고를 다시 쓰고 수정하는 어려움을 마다하지 않고 끝까지 완성할 수 있도록 힘을 기울인 집필진 전체와 이를 가다듬고 보조하는 역할을 충실히 해준 구가령 간사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본 책이 조금이나 유아교육과정의 미래를 고민하고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새로운 교재를 필요로 하는 유아교사교육자와 이를 공부하게 될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유아들이 놀이를 통해 충분히 배울 수 있는, 더 풍요로운 유아교육현장이 만들어지기를 소망하며 글을 마친다.
2021년 3월
유아교육과정 집필진을 대표하여
임부연 씀
Part Ⅰ 유아교육과정 시작하기
Chapter 01 유아교육과정의 기초
1. 유아교육과정의 개념 21
1) 교사가 가르칠 내용으로서 유아교육과정 23
2) 유아의 교육적 경험으로서 유아교육과정 25
2. 유아교육과정의 유형 26
1) 교육과정 개발/ 구성 주체에 따른 분류 27
2) 교육과정의 의도성에 따른 분류 30
3) 교육과정 구성중점에 따른 분류 32
3. 유아교육과정의 변화 37
Chapter 02 유아교육과정의 역사
1. 유아교육과정 이전 시기 44
1) 고대 그리스 시대의 유아교육 44
2) 중세 시대의 유아교육 45
3) 근대 시대의 유아교육 46
2. 유아교육과정 형성 및 전개 시기 50
1) 관념론과 유아교육과정 51
2) 심리학과 유아교육과정 53
3) 진보주의와 유아교육과정 54
4) 인지 발달 이론과 유아교육과정 56
3. 유아교육과정 재개념화 58
1) 비판이론과 유아교육과정 58
2) 실존주의와 유아교육과정 60
3) 현상학과 유아교육과정 61
4) 페미니즘과 유아교육과정 63
5) 후기구조주의와 유아교육과정 64
Chapter 03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1.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이해 67
2. 우리나라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69
1) 유치원 교육과정 변천 70
2) 어린이집 표준교육과정 변천 79
3. 국외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동향 83
1) 돌봄과 놀이를 강조하는 핀란드 83
2) 교육과정 자율성과 다양성을 지원하는 뉴질랜드 85
3) 유아의 핵심역량과 학습을 강조하는 싱가포르 88
4) 유아의 안녕과 소속감을 강조하는 호주 90
5) 발달과 성취기준을 강조하는 영국 93
6) 우리나라 유아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93
Part Ⅱ 유아교육과정 구성 및 실행 이해하기
Chapter 04 유아, 놀이, 교사 이해하기
1. 유아에 대해 이해하기 102
1) 교육 대상으로서 유아 103
2) 배움의 주체로서 유능한 유아 106
3) 유아의 놀 권리 이해하기 112
2. 놀이에 대해 이해하기 113
1) 놀이의 의미 114
2) 학습과 발달의 도구로서 놀이 119
3) 배움을 생성하는 놀이 122
3. 교사에 대해 이해하기 129
1) 교사의 역할 129
2) 교사의 자율성과 책무성 133
3) 교육과정 문해력과 전문성 137
Chapter 05 유아교육과정 구성 이해하기
1. 교육과정 구성 142
1) 교육과정 개발과 구성 142
2) 교육과정 구성의 새로운 접근 144
2. 유아교육과정 구성 145
1) 유아교육과정의 전통적 구성 방식 145
2) 유아·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 구성 방식 148
3. 누리과정 구성 이해 150
1) 개정 누리과정 구성 151
2) 개정 누리과정 구성체제 153
3) 개정 누리과정 구성요소 155
Chapter 06 유아교육과정 실행 이해하기
1.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 182
2. 유아교육과정 실행의 의미 183
3. 유아교육과정의 통합적 실행 188
1) 놀이를 중심으로 한 통합적 실행 190
2) 주제를 중심으로 한 통합적 실행 193
3) 그 밖의 다양한 통합적 실행 197
Part Ⅲ 유아교육과정 실행하기
Chapter 07 놀이 환경
1. 유아교육과정과 환경 208
2. 유아를 위한 실내 놀이 환경 212
1) 유아기 특성을 고려하는 실내 환경 구성 212
2) 유아를 위한 놀이 공간과 자료 216
3) 배움을 확장하는 놀이 공간 만들어 가기 236
4) 실내 벽면을 놀이 공간으로 활용하기 241
3. 유아를 위한 실외 놀이 환경 243
1) 실외 놀이 환경의 의미와 중요성 243
2) 실외 놀이 공간과 자료 244
4. 유아·놀이중심 놀이 환경 구성해 보기 253
Chapter 08 교육계획, 관찰, 평가
1. 유아·놀이중심 교육계획의 의미 258
1) 계획의 개념 및 중요성 258
2)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계획의 의미 259
3)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계획의 종류와 형식 260
2. 연간계획 262
1) 연간계획의 이해 262
2) 연간계획 사례 263
3) 연간계획안 작성해 보기 268
3. 다양한 교실수준의 계획 269
1) 교실수준 계획의 이해 269
2) 월간계획과 주간계획의 통합 269
3) 주간계획과 일일계획의 통합 273
4) 일일계획과 관찰기록의 통합 276
5) 교육계획과 평가의 통합적 실제 290
4. 다양한 교육계획안 작성해 보기 298
Chapter 09 상호작용
1. 유아교육과정에서 상호작용 302
1) 상호작용의 의미 302
2) 유아기 상호작용의 특성 303
2.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상호작용 305
1) 유아와 유아 간 상호작용 306
2) 유아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 312
3) 유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 318
3. 놀이와 연계한 활동에서 상호작용 328
1) 유아의 놀이를 활동으로 확장하는 상호작용 329
2) 교사가 계획한 활동에서 상호작용 331
3) 주제중심 활동에서 배움을 지원하는 상호작용 333
4.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는 상호작용 연습해 보기 336
Chapter 10 특별한 요구를 가진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1. ‘모든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342
1) 유능한 존재로서의 ‘모든 유아’ 342
2)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 345
2. 특별한 요구를 가진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 347
3. 특별한 요구를 가진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의 실천 352
1) 개별화교육의 기반 352
2)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의 연계 360
3) 교육공동체의 협력 366
■ 부록 369
■ 참고문헌 380
■ 찾아보기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