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아이들은 놀면서 자라고, 세상의 지식을 배운다. 놀이는 아이들의 생활이자 배움 그 자체이다. 많은 학자들은 놀이가 아동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고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관심과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아동은 놀이를 통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자신과 둘러싼 세계에 관심을 가지고 관계를 맺어나간다. 그리고 또래 놀이를 통해 사회성을 키우며 창의성과 인성이 발달된다. 즉, 아동에게 놀이는 다른 사람과 공감하며 관계 맺음을 잘할 수 있고 나아가 미래사회의 구성원으로 역할할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된다.
본 저서는 놀이의 이론편과 실제편 두 파트로 나누어진다. 먼저 이론편은 2019년 개정누리과정에 맞추어 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게 놀이의 이론을 정리했으며 실제편은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진 사례를 바탕으로 놀이지도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론편은 ‘놀이의 개념, 놀이의 중요성, 놀이 이론, 놀이의 유형, 교사의 놀이지원, 놀잇감과 놀이 환경, 놀이 실행’ 마지막으로 ‘발현적 접근법에서의 놀이지원’의 8개의 Chapter로 구성하였다. 특히 마지막 Chapter인 발현적 접근법에서의 놀이지원에서는 최근의 교육 트랜드로 자리매김한 Problem-Based Learning(PBL)을 통해 교육의 핵심 역량인 창의성(Creative),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skill), 협업능력(Collaboration)의 4C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는 미래 산업의 창인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으며, 교사는 배움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지식을 구축하는 안내자, 촉진자, 공동학습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제편은 유아들이 일상경험에서 느끼는 문제 상황을 바탕으로 놀이를 통해 자발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을 사진자료로 제시하였다. 또한 유아 스스로 만든 다양한 결과물들을 바라보며 작은 성공의 경험을 맛보며 뿌듯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관련 사진들을 수록하였다. 이는 유아가 앞으로 닥쳐올 미래 문제에 자신감을 가지고 도전하며 작은 실수에 민감하지 않고 긍정적 마음으로 과정을 즐길 수 있는 태도를 길러준다. 실제편 형식은 프로젝트의 3단계 형식을 도입했으며 ‘놀이의 흐름도’를 한눈에 볼 수 있게 사진과 표로 정리하였다. 특히 교사가 바라본 ‘놀이의 의미읽기 시작’은 ‘놀이가 왜 시작’되었는지 알 수 있어 예비 교사들에게 유아교육현장의 생생함을 전달해 줄 것이다.
끝으로 책이 출판되기까지 사진촬영에 협조해 주신 기관과 교사들, 일러스트(정지윤), 공동체 관계자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21. 2. 26.
저자 일동
이론편
Chapter 01 놀이의 개념
1. 놀이의 개념과 특성 14
2. 놀이, 일, 탐색 20
Chapter 02 놀이의 중요성
1. 놀이와 발달의 중요성 30
2. 개정누리과정에서의 놀이의 중요성 36
Chapter 03 놀이 이론
1. 고전적 놀이 이론 43
2. 현대적 놀이 이론 49
Chapter 04 놀이의 유형
1. 영유아의 발달과 놀이의 특징 64
2. 인지적 놀이 유형 71
3. 사회적 놀이 유형 78
Chapter 05 교사의 놀이지원
1. 교사의 놀이지도에서의 역할 86
2. 개정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놀이지원 89
3. 교사의 놀이지원 92
Chapter 06 놀잇감과 놀이 환경
1. 놀잇감의 조건 116
2. 놀이 환경 … 124
3.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7
Chapter 07 놀이 실행
1. 놀이 실행 153
2. 놀이 관찰 및 평가를 위한 지침 155
3. 놀이 실행하기 156
4. 놀이 관찰 및 평가 방법 171
Chapter 08 발현적 접근법에서의 놀이지원
1. 미래 역량과 놀이 193
2. 발현적 교육과정 프로그램에서의 놀이지원 196
실제편
Chapter 01 도서관 217
Chapter 02 한 글 241
Chapter 03 에너지 265
Chapter 04 한 복 293
Chapter 05 반짝이 끈 319
▶ 참고문헌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