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저자와 SPSS
저자가 처음 SPSS를 접한 것은 학부 3학년 시절이었다. 당시 저자는 사회복지조사론 과목을 수강하였는데, 담당 교수님의 연구를 도와드리면서 SPSS를 알게 되었다.
교수님의 연구는 병원 사회복지사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였다. 연구에서 저자가 담당한 역할은 설문결과의 입력 및 처리 등 연구의 기초 자료를 준비하는 것이었다.
먼저 설문결과를 천공기로 전산 카드에 입력해야 했다. 수백 장의 설문을 한 장씩 전산 카드에 천공해야 했는데, 단순 작업임에도 그 속도는 더디었고, 또 오류도 잦았다.
자료 정의 및 통계처리 명령도 전산 카드에 입력해야 했다. Set list-ing, Data format, Missing value, Descriptive 등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지도 모른 채 단순 작업을 해야만 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산 카드가 거의 천여 장에 이르렀다. 이를 순서대로 묶은 후, 교내 중앙전산소에 가져가 전산처리를 의뢰했다. 당시는 개인용 컴퓨터가 없던 시절로 교내 중앙전산소에만 컴퓨터가 설비되어 있었다.
만일 오류가 없다면 상당 분량의 결과물이 출력되었다. 그러나 번번이 서너 장의 결과물만이 나왔는데, 이는 오류가 있음, 그리고 오류의 내용을 지시하는 간략한 부호였다.
오류 결과물을 가지고 교수님의 연구실로 갈 때면 다소 긴장해야만 했었다. 연구는 늘 시간을 재촉하는 상황이었고, 오류로 인해 진행에 차질이 생기면 교수님의 표정이 돌변하였다.
사실 교수님도 통계에 대해 그다지 해박하지는 않았다. 그러기에 저자는 늘 오류에 대처하느라 여러 권의 SPSS 영문 매뉴얼을 뒤져야만 했었다. 오류의 원인이 파악되면 그나마 다행이었다. 어찌할 수 없는 오류가 반복되면 다혈질이던 교수님은 매우 흥분하셨고, 이를 행동으로 표현하셨다. 당시 던지셨던 전화기가 몇 대였는지.
교수님의 흥분에 억울한 희생양이 되기도 했지만, 지금도 생각나는 흐뭇한 장면은 있었다.
교수님의 악행(?)이 몇 차례 반복되면, 이따금 부드러운 목소리로 저자를 부르곤 했었다. ‘이 군아! 고생 많지. 이거 구두 상품권인데, 신이나 사서 신어라’ 등.
또 주말 내내 연구실에서 작업하던 저자에게, 사모님이 챙겨주신 샌드위치를 내어주며 ‘먹고 하라’는 자상한 표정 등.
그러나 무엇보다 저자가 보람있게 생각하는 것은, 그 당시 SPSS의 혹독한 경험이 이후 값진 자산이 되었다는 것이다. 석사 이후 SPSS를 어느 정도 한다는 이유만으로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에 직원으로 특채되었고, 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연구원으로 초빙될 수 있었다.
다소 장황한 이야기로 서문을 대신하려는 이유는 분명하다. SPSS를 처음 접하던 시절의 고역을 언급하고, 결국 큰 보람을 얻었다는 규범적 측면만은 아니다.
그보다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적극 대처한 결과, 늘 뭔가의 방안은 찾을 수 있었다는 것, 그리고 이는 이후 고급 통계도 처리할 수 있는 저자의 근력이 되었다는 것이다.
당시의 한 장면이 떠오른다. SPSS 명령이 제한된 칸 수를 벗어나는 경우 , 그 행의 마지막 칸에 /를 표시함으로써 이어지는 행을 포함하는 긴 명령문을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저자는 이를 미처 모르고, 수차례 같은 오류를 반복했었다. 마침 명절 연휴라 통계상담소에 문의할 수도 없었다. 거의 며칠 밤을 새면서 영문 매뉴얼을 뒤적였다. 그럼에도 해결방법을 종내 찾지는 못했었다.
이후 찾아간 통계상담소에서 담당 선생의 한마디, /를 치면 되는데. 허망했었다. 그러나 그 며칠 밤의 고생이 단지 허사만은 아니었다. 매뉴얼을 뒤져보며 나름 유익한 정보를 구할 수 있었다. 또 어떤 궁지에서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한층 드높일 수 있었다.
학부나 대학원 시절, 통계 또는 자료분석론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을 전혀 하지 않았던 저자가 통계분석을 활용하여 연구원 생활을 했고, 이후 학교에서 자료분석론을 가르치는 교수가 되었음은 바로 그 시절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결코 과장이 아니다.
저자는 나와 같이 SPSS를 공부하는 제자들이 그리고 사회복지 현장에 근무하는 전문가 후배들이 약간의 노력을 기울이면 나만큼 SPSS를 활용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사회복지의 특성상 다수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설문조사는 필수적이며, 그 결과 분석에 SPSS는 절대적이다. 따라서 누구나 편하게 SPSS를 접하고, 자신감을 가지고 학습하여 전문 역량을 강화하고, 이후 자신의 전문 업무에 적극 활용하기를 권한다.
2021년 1월 31일
저자 이계존
제1장 SPSS의 이해
질적 조사와 양적 조사 11
제2장 포맷과 코딩
포맷과 코딩 19
SPSS Data Matrix 22
변수 정의 23
변수값 정의 26
한 문항을 여러 개 임시문항으로 구분(가변수 처리) 27
매트릭스 문항 29
일련의 값을 가지는 변수 30
문자열 31
일련번호 32
결측값 34
코딩 오류를 줄이는 방법 35
데이터 세트 36
제3장 데이터 세트의 이해와 데이터 변환
데이터 세트의 이해 39
데이터 변환 등 44
데이터 파일의 오류 확인 55
제4장 통계분석의 기초
변수의 속성 59
질적변수와 양적변수의 구분 사례 61
변수의 속성과 통계방법 64
통계 분석의 기본 태도 65
통계의 기본 원리 67
꼭 알아야 하는 통계 개념 71
제5장 단위변수의 통계분석
단위변수의 통계분석 79
빈도분석 81
기술통계 87
제6장 두 변수의 통계분석
두 변수의 통계분석 95
일원배치 분산분석 96
독립표본 T검정 106
교차분석 113
상관분석 129
두변수의 상관분석 132
여러 변수들의 상관분석 136
결론 관련 유의사항 146
제7장 변수들 간의 통계분석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151
회귀분석 152
단순회귀분석 155
단순회귀분석 : 가변수 처리된 독립변수의 사례 160
중다회귀분석 163
결론 관련 유의사항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