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2019 개정누리과정 4차 표준보육과정 

최신 영유아 보육학개론 [제4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놀이를 중심으로 한 유아 중심의 누리과정 운영을 교사지원과 더불어 강조하고 있으며, 4차 표준보육과정 또한 영유아 중심과 놀이 중심으로 개정되었다. 이는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따라 분절적인 지식이 아닌 영유아 스스로가 주도하는 놀이를 통한 통합적 배움을 강조하는 것으로 본 서에서는 이러한 점에 중점을 두고 개정하였다.
  오늘날의 보육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기본적, 일차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 국정과제이다. 단순히 아이를 맡아서 기를 곳을 해결하는 차원을 넘어서 저출산을 극복하여야 하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우리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을 제고해야 하는 시점에 이른 것이다. 급변하는 사회구조에 따른 가족 형태의 변화로 인하여 엄마가 직장에 나가서 돈을 버는 동안 아이를 맡아줄 곳 이상의 다양한 보육형태와 가족지원, 교육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게 되었다. 서로 다른 가정과 경제적 배경의 영유아들이 인생의 출발점에서 아무런 차별 없이 그야말로 행복하게 한 인간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본적인 돌봄과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보육환경의 제공은 영유아들의 기본적인 권리이자 우리 사회에서 제공해야 할 의무이기도 하다.
  아이의 양육은 부모의 책임뿐 아니라 그 부모가 부모로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 사회적, 국가적 책임이라는 인식이 함께 해야 한다. 각 가정의 아이는 부모의 아이지만 이 아이들이 건전하게 성장하여 우리 사회의 미래를 이끌어야 하는 우리 사회의 인력이기 때문이다. 또한 역으로 현재 사회를 이끌어가고 있는 부모들이 마음 놓고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력을 제대로 했을 때 우리의 아이들도 행복하게 자랄 수 있을 것이다.
  보육은 이제 여성의 일로 단정짓거나 할머니, 할아버지의 인생을 담보로 자녀를 떠맡기에는 너무나 힘든 일이 되었다. 아이를 맡아서 그 아이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자라는 것뿐만 아니라 적절한 교육을 통해 전인적인 아동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포괄적 보육을 위해서는 보육과 유아교육 분야를 비롯하여 여러 정부 기관의 유기적인 관계와 공조 협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보육의 사회적 필요성과 의식전환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본 「최신 영유아 보육학개론」은 대학에서 처음으로 보육을 접하게 되는 학생들에게 보육에 대한 시야를 넓힐 뿐 아니라 유아교육과의 통합을 고려한 하나의 지침서가 되도록 고려하였다. 제1부와 2부로 구성된 본 교재에서는 포괄적 보육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제1부는 보육의 기초편으로 보육의 개념 및 보육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과 과거와는 다른 보육 패러다임의 변화, 유보통합의 진행 과정과 방안, 0~2세 영아 대상 유보통합, 보육의 역사와 보육 유형, 영유아 발달에 대한 이해와 교사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2부는 보육의 실제편으로 보육과정에 대한 구성내용과 표준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보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여러 가지 보육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영유아들의 보육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과 보육인력의 역할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보육의 실제를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보육기관과 부모,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위한 실제와 영유아 평가, 어린이집 평가제를 포함한 보육기관의 평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부록에서는 어린이집 평가제의 평가지표와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본 서는 보육학 전반에 관한 내용과 더불어 유아교육 내용을 포함해야 하므로 광범위하나 각 과목에서 자세히 다루어질 것으로 고려해 전반적으로 꼭 보육 분야에서 논해야 할 부분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관련 이론이나 정보를 활용하여 작성해보는 워크지 형태의 「실행해보기」와 활동지를 첨가하였다. 이 활동을 통해 각 장의 학습 내용을 토론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제시하였다.
  아무쪼록 본 교재를 통해 영유아를 보육할 학생들이 보육과 유아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본 교재가 출판될 수 있도록 도와주신 공동체 출판사 사장님과 편집부 여러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1년 2월
원주 연구실에서

 

PART 01 보육의 기초

 

제1장 보육의 이론적 기초

   1. 보육의 개념 13

   2. 보육의 필요성 16

     1) 영유아의 권리 16

     2) 취업모의 증가 17

     3)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 18

     4) 가족 구조 및 형태의 다양화 22

     5) 발달적 측면 23

   3. 보육 패러다임의 변화 24

     1) 보육의 사회화 24

     2) 양성평등 26

     3) 보편성과 공공성 29

     4)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32

   4. 유보통합의 진행과정과 추진방안 45

     1) 유보통합의 관점과 방향 46

     2) 유아교육·보육 통합의 추진과 방안 모색 46

   5. 유보통합 추진과 0~2세 영아 통합 54

     1) 유보통합과 가정어린이집의 중요성 54

     2) 가정어린이집을 포함한 유보통합 추진방향 55

     3) 가정보육교사와 0세아 전용 어린이집 57

 

제2장 보육사상 및 제도 61

   1. 보육사상의 변천 61

     1) 고대~16세기 보육사상 61

     2) 17~18세기 보육사상 63

     3) 19~20세기 보육사상 69

   2. 우리나라 영유아보육 제도 및 정책 79

     1) 우리나라 영유아보육제도의 변천 79

     2) 보육행정 85

     3) 보육재정 90

   3. 외국의 보육·유아교육 현황 94

     1) 미국 94

     2) 독일 96

     3) 핀란드 98

     4) 일본 103

 

제3장 보육의 유형

   1. 운영주체에 따른 유형 110

     1) 국공립어린이집 110

     2) 사회복지법인, 법인·단체 등 민간어린이집 110

     3) 직장어린이집 110

     4) 가정어린이집 115

     5) 부모협동어린이집 115

   2. 보육장소에 따른 유형 117

     1) 가정보육 117

     2) 기관보육 118

   3. 보육시간에 따른 유형 120

     1) 기본보육 120

     2) 연장보육 120

     3) 방과 후 보육 122

     4) 그 밖의 연장형 보육 124

   4. 보육대상에 따른 유형 129

     1) 영아보육 129

     2) 유아보육 130

     3) 장애아보육 130

 

제4장 영유아의 발달과 교사의 역할

   1. 발달이론 139

     1) 성숙주의 이론 139

     2) 행동주의 이론 141

     3) 구성주의 이론 143

     4) 정신분석 이론 147

     5) 생태학적 이론 149

   2. 영아기의 발달과 보육 152

     1) 1세 미만 영아기 152

     2) 걸음마기 영아 158

   3. 유아기의 발달과 보육 168

     1) 신체·운동 발달 및 보육 168

     2) 언어 발달 및 보육 169

     3) 사회성 발달 및 보육 170

     4) 정서 발달 및 보육 171

     5) 인지 발달 및 보육 173

 

PART 02 보육의 실제

 

제5장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1.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이해 181

     1)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개정 특성 182

     2) 표준보육과정의 성격 183

     3)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방향 183

     4) 표준보육과정의 운영 186

     5) 0~1세 영역별 목표와 내용 189

     6) 2세 영역별 목표와 내용 201

   2. 3~5세 누리과정 216

     1)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정 특성 217

     2) 누리과정의 성격 219

     3) 누리과정의 구성방향 220

     4) 누리과정의 운영 221

     5) 누리과정의 영역별 목표와 내용 222

 

제6장 영유아보육과정

   1. 영유아보육과정의 개념 및 특성 233

     1) 영유아보육과정의 개념 233

     2) 영유아보육과정의 특성 234

   2. 건강, 영양, 안전 238

     1) 영역별 특성 238

     2) 영역별 보육내용의 계획 243

   3. 영유아보육과정의 운영 252

     1) 보육계획 252

     2) 일과계획 및 운영 260

     3) 교수-학습방법 271

 

제7장 보육 프로그램의 유형

   1. 프로젝트 접근법 278

   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283

   3. 다중지능 접근법 289

   4. 발현적 ICT 교육과정 296

   5. 생태보육과정 300

   6. 발도르프 유아교육 프로그램 304

 

제8장 보육환경

   1. 영유아를 위한 보육환경 313

     1) 영유아를 위한 실내 보육환경 313

     2) 영유아를 위한 실외 보육환경 328

   2. 보육인력 332

     1) 보육교직원의 자질과 역할 333

     2)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방안 346

 

제9장 부모와 지역사회 연계

   1. 부모와의 협력 355

     1) 부모협력의 필요성 355

     2) 부모와의 협력을 위한 실제 358

   2. 지역사회와의 연계 369

     1) 지역사회 연계의 필요성 369

     2) 지역사회 협력의 실제 369

   3. 포괄적 관점의 부모·가족 서비스 지원 374

     1) 포괄적 보육서비스의 개념 374

     2) 포괄적 보육서비스의 실제 376

 

제10장 영유아와 평가

   1. 영유아에 대한 평가 381

     1) 관찰 382

     2) 부모와의 면담 387

     3) 표준화 검사 387

     4) 수행평가 390

     5) 포트폴리오 평가 395

     6) 개인 내 평가, 다중지능 평가 396

     7) 기록화와 디지털 기록화 397

   2. 영유아보육과정 평가 399

     1) 보육과정 평가의 개념 및 목적 399

     2) 보육과정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 400

     3) 보육의 질 평가 400

     4) 어린이집 평가제 406

 

❙부 록❙ 어린이집 평가제의 평가지표와 평가기준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