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유아교육은 유아의 행복을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이며, 이는 유아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 시작된다.” 가슴은 언제나 따뜻하고, 머리는 항상 명쾌하며, 손은 늘 부지런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유아교육기관 원장, 학부모, 그리고 유아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을 위해 이 책을 바친다.
우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영유아들의 행복을 위해서는 영유아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영유아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영유아들의 강점과 부족한 점을 발견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들을 수집해야 한다. 또 2019년 누리과정의 개정과 표준보육과정의 개정 등으로 인한 영유아교육과 보육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영유아교사의 관찰방법과 행동연구에 대한 전문성과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발달적 변화를 보이는 영유아들의 보호와 교육을 담당하는 영유아교사의 역할을 고려해 본다면 영유아 발달을 제대로 관찰하고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고 그것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영유아교사에게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런 점에서 본 저자들은 한국보육진흥원에서 2014년 보육교직원의 자격요건에 맞춰 개정된 표준교과 개요에 따라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를 집필하였고, 2019년 누리과정 개정의 핵심인 놀이중심교육과정의 새로운 경향을 반영하여 본 책을 개정하게 되었다. 표준교과 개요에 따르면,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교과목의 목표는 첫째,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둘째, 실내외 보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아동관찰 도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셋째, 아동과 관련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연구방법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넷째, 어린이집에서 아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고 실제 보육현장 지도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로 되어 있다.
이 책은 이런 점에 입각하여 예비유아교사와 영유아교사들이 영유아 관찰과 관련한 기초적 지식 습득 및 행동의 여러 측면을 실제 상황에서 관찰하고, 이론적 지식을 응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책의 전반적인 내용을 집필, 구성하였으므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입문서 또는 지침서로서 활용 가능하리라 여겨지며,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저자들은 큰 보람으로 여길 것이다.
이 책은 전체가 4부 12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2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기초에 대해 다루고 있다. 1장은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개요로 영유아관찰 및 행동연구의 의미, 목적, 유형 및 당면문제와 개선방향을 다루고 있고, 2장에서는 아동관찰의 기초로 관찰의 절차, 관찰과정에서의 유의점, 관찰연습을 다루고 있다.
제2부는 3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아동관찰의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3장은 서술식 관찰법인 표본기록법과 일화기록법에 대한 것으로 표본기록법, 일화기록법, 표본기록법과 일화기록법의 비교를 다루고 있으며, 4장은 사건표집법과 시간표집법으로 사건표집법과 시간표집법, 빈도사건표집법과 시간표집법 비교를 다
루고 있고, 5장은 약호식 관찰법인 행동목록법과 평정척도법으로 행동목록법, 평정척도법, 행동목록법과 평정척도법 비교를 다루고 있다.
제3부는 3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아동행동연구의 방법의 이해를 다루고 있다. 6장은 사례연구로 사례연구의 개념, 사례연구의 절차, 사례연구에서의 자료수집을 다루고 있고, 7장은 조사연구로 조사연구의 개념, 조사연구의 절차, 조사연구에서의 자료수집을 다루고 있다. 8장은 영유아 발달검사로 영유아 발달검사의 성격, 영유아 발달검사의 선정, 실시 및 해석방법, 영유아 발달검사의 분류, 영유아 발달검사의 실제를 다루고 있다.
제4부는 4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을 다루고 있다. 9장은 물리적 환경 구성으로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 실내 환경 관찰, 실외 환경 관찰, 시설 및 설비 관찰을 다루고 있으며, 10장은 일과운영으로 영아기 일과운영 관찰, 유아기 일과운영 관찰을 다루고 있으며, 11장은 영유아 평가로 영유아 평가의 이해, 영아 평가의 실제 및 유아 평가의 실제를 다루고 있으며, 12장은 학부모면담으로 부모면담 목적, 부모면담 계획, 부모면담 실행 및 부모면담 평가를 다루고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이 책이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많이 보이지만 이는 전적으로 저자들의 역량 부족 때문이며, 솔직히 두려움이 많이 앞선다. 이 책은 최종 결과물이 아니라 독자들의 아낌없는 충고와 질책을 통해 계속하여 수정 보완할 것이므로, 좋은 책으로 거듭나는 매 과정에 독자 여러분들의 도움을 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책을 쓸 수 있도록 참고자료와 문헌을 직간접적으로 제공해 주신 선후배 및 동료 교수님들께도 감사드린다. 또 바쁜 일과 속에서도 기꺼이 번거로운 교정과 책의 내용에 조언을 아끼지 않은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대학원 박사과정의 신현정 선생님과 제희선 선생님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출판을 맡아주신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과 좋은 원고를 보내고 싶은 욕심에 어긋나버린 시간약속을 양해해 주고, 바쁜 일정 속에서도 편집을 위해 애쓴 공동체 편집부를 비롯한 직원 여러분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21년 2월
금정산 연구실에서
PART 01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기초
제1장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개요
1. 영유아관찰 및 행동연구의 의미 16
2. 영유아관찰 및 행동연구의 목적 17
3. 영유아관찰 및 행동연구의 유형 20
4. 영유아관찰 및 행동연구의 당면문제와 개선방향 24
제2장 아동관찰의 기초
1. 관찰의 절차 30
2. 관찰과정에서의 유의점 36
3. 관찰연습 40
PART 02 아동관찰의 방법
제3장 표본기록법과 일화기록법
1. 표본기록법 60
2. 일화기록법 65
제4장 사건표집법과 시간표집법
1. 사건표집법 76
2. 시간표집법 84
제5장 행동목록법과 평정척도법
1. 행동목록법 98
2. 평정척도법 104
PART 03 아동행동연구의 방법
제6장 사례연구
1. 사례연구의 개념 120
2. 사례연구의 절차 123
3. 사례연구에서의 자료수집 125
제7장 조사연구
1. 조사연구의 개념 132
2. 조사연구의 절차 133
3. 조사연구에서의 자료수집 136
제8장 영유아 발달검사
1. 영유아 발달검사의 성격 154
2. 영유아 발달검사의 선정 · 실시 및 해석방법 156
3. 영유아 발달검사의 분류 159
4. 영유아 발달검사의 실제 160
PART 04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
제9장 물리적 환경 구성
1.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 174
2. 실내 환경 관찰 176
3. 실외 환경 관찰 190
4. 시설 및 설비 관찰 197
제10장 일과운영
1. 영아기 일과운영 관찰 202
2. 유아기 일과운영 관찰 211
제11장 영유아 평가
1. 영유아 평가의 이해 226
2. 영아 평가의 실제 235
3. 유아 평가의 실제 244
제12장 학부모면담
1. 부모면담 목적 254
2. 부모면담 계획 255
3. 부모면담 실행 257
4. 부모면담 평가 271
■ 참고문헌 274
■ 찾아보기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