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청소년 심리와 상담


  • 구매하기
  • 장바구니
 

   이 책은 나의 슈퍼바이저 활동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석사 과정에서 상담을 공부한 수련생들은 상담이론, 상담대화기술, 청소년심리 등을 학습하였지만, 청소년의 호소문제를 상담 주제로 전환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슈퍼비전에서 내담자를 효율적으로 돕기 위해 상담 주제에 대한 설명을 하게 되었고, 수퍼비전에서 전달했던 내용들을 정리한 것이 본 책이 되었다.

  이 책은 청소년 상담사가 알아야 할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청소년 심리와 상담에 대한 이해로, 1장 청소년 심리와 상담의 이해; 2장 상담 과정; 3장 상담면접기술; 4장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징; 5장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으로 구성하였다. 1부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지만 또한 현장에서 상담자들이 되짚어 기억해야 할 내용이다. 특히 윤리강령은 상담 현장에서 적용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지 않으면, 윤리적 민감성이 향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윤리적 민감성이 향상되지 않으면, 비윤리적 상황을 알아차리기 어렵다.
  2부는 청소년 상담의 실제로, 6장 학습 상담; 7장 진로 상담; 8장 집단 괴롭힘; 9장 성교육과 성폭력 피해 상담; 10장 중독 상담; 11장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 12장 외모와 비만에 대한 고민으로 구성하였다. 2부의 내용은 상담자가 내담자의 고민에 어떻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기술하였다. 상담자가 내담자와 상담관계를 맺고 호소문제를 명확히 한 후에는 구체적인 정보 제공, 교정, 대안 제시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상담자가 내담자의 호소문제를 상담 영역별 개입방법으로 돕지 않으면 사회적 지지는 제공하지만, 여전히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이는 13장 상담자가 이해해야 할 어머니의 경험에서 자녀의 상담 경험에 대한 어머니들의 평가에서도 나타난다. 상담자는 상담 주제별 민감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3부는 청소년 주변인에 대한 이해로, 13장 상담자가 이해해야 할 어머니의 경험; 14장 상담자가 이해해야 할 교사의 경험으로 구성하였다.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은 청소년 상담자는 청소년 내담자의 어머니 그리고 교사와 협력 관계를 이루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청소년 상담자는 청소년 내담자에게 초점을 맞추다 보니, 주변인인 어머니와 교사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다. 어머니와 교사는 청소년 내담자를 도와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되어지며, 이들만의 고유한 경험이 있다고는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자녀에게 그리고 학생들에게 어려움이 발생했을 때 어머니와 교사는 어떻게 대처하였고,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이해해야, 청소년 상담자는 청소년 내담자 주변인과 진정한 협력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리고 청소년 주변인이 상담에 대한 어떤 인식과 평가를 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원고를 작성하면서 어떤 날은 이 책이 상담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마음 벅차고, 다른 날은 완성도가 떨어지는 책을 출간하는 것이 옳은가를 고민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내어 청소년을 돕는 상담자에게 작은 도움이나마 주고자 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출간한다. 내용의 일관성이나 부족한 점이 있다면 독자들의 지적을 기꺼이 받아들여 개정판에서는 수정 및 보완할 것을 약속한다.
  청소년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청소년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나의 청소년기를 회상하고, 그 경험이 청소년을 돕는 장면에서 어떤 강, 단점으로 발현되었는지 그리고 발현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길 바란다. 그리고 한 사람의 어른으로 청소년이 처한 현실을 긍정적으로 변화하는데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함께 반성했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나에게 소중한 가르침을 주었던 내담자들과 수련생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

 

2021년 3월
계동 연구실에서 방기연
 

제1부 청소년 심리와 상담에 대한 이해

제1장 청소년 심리와 상담의 이해
   1.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 10
   2. 청소년 상담에 대한 이해 15
   3. 상담 신청 23

제2장 상담 과정
   1. 상담 과정 32
   2. 첫 회 상담 35
   3. 사례개념화 45
   4. 상담 계획 50
   5. 상담 종결 54

제3장 상담면접기술
   1. 내담자 이해를 위한 정보수집기술 58
   2. 관계형성 및 유지를 위한 상담면접기술 63
   3. 변화를 촉진하는 상담면접기술 68

제4장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징
   1. 신체적 특징 78
   2. 인지적 특징 83
   3. 정서적 특징 89
   4. 대인관계의 특징 92

제5장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
   1.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 105
   2. 윤리적 의사결정 128

제2부 청소년상담의 실제

제6장 학습 상담
   1. 학습 상담 136
   2. 학습 동기 146
   3. 학습 수행 행동 151
   4. 환경 요인 156

제7장 진로 상담
   1. 청소년 진로 상담의 방향 159
   2. 직업 정보 164
   3. Holland 성격이론 168
   4. 개인-환경 조화 이론 173
   5. 합리적 의사결정 178

제8장 집단 괴롭힘
   1. 집단 괴롭힘 183
   2. 집단 괴롭힘의 원인 195
   3. 집단 괴롭힘에 대처하기 198

제9장 성교육과 성폭력 피해 상담
   1. 성교육 205
   2. 연애, 사랑, 성적 의사결정 209
   3. 성폭력 피해 예방 214
   4. 성폭력 피해에 대한 이해 217
   5. 성폭력 피해자 상담 221

제10장 중독 상담
   1. 중독에 대한 이해 227
   2. 인터넷 게임중독 229
   3. 약물 중독 233
   4. 중독 치료 237
   5. 중독자 가정의 자녀 248

제11 장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
   1.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에 대한 이해 252
   2. 원 인 258
   3. 개 입 259

제12장 외모와 비만에 대한 고민
   1. 외모에 대한 고민 266
   2. 원 인 268
   3. 평 가 270
   4. 개 입 275

제3부 청소년 주변인에 대한 이해

제13장 상담자가 이해해야 할 어머니의 경험
   1. 학교폭력 피해 극복 학생 어머니의 경험 280
   2. 경력단절 어머니들의 학교운영위원회 경험 303

제14장 상담자가 이해해야 할 교사의 경험
   1. 학급 내 집단 괴롭힘에 대한 담임교사의 경험 328
   2. 학교폭력 사건에 대한 교사의 경험 339
   3. 교육대학원 상담전공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 357

▪ 부록 364
▪ 참고문헌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