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현대 사회가 너무나 빠르게 변화하는 탓에, 오늘날의 근로자들은 직장에서고달픈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주위의 많은 근로자들은 물질적․신체적․정서적으로 어려운 삶을 살아가고 있다. 불행하게도, 이런 상황은 앞으로 상당한 기간 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오늘날에는 근로자가새로운 형태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런 탓에, 근로자와 그
가족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관심을 가지는 ‘산업복지’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제2판을 발간한 지 오랜 세월이 흘러서야, 이제 제3판을 세상에 내보이게되었다. 제3판에서는 내용을 전체적으로 크게 손질하고 보완하였다.
이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분에서는 산업복지의 여러모습을 다루고 있다.
제1부의 경우, 산업복지의 기본적 측면을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에서는 산업복지의 정의와 목적, 산업복지의 일반적 특징, 산업복지의 기능, 산업복지의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제2부의 경우, 산업복지 서비스와 관련된 주요한 프로그램과 문제 영역을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에서는 산업복지 서비스의 제공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대표적인 산업복지 프로그램인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 근로자의 정신건강, 근로자의 우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제3부의 경우, 특정한 집단을 위한 산업복지를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에서는 여성 근로자의 복지, 장애인 근로자의 복지, 노인 근로자의 복지, 이주(외국인) 근로자의 복지, 고용이 불안정한 근로자의 복지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제4부의 경우, 산업복지의 폭넓은 측면을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보험과 산업복지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한편 이 책에 좋은 사진을 많이 넣으려 하였으나, 저작권 등의 문제로 한계가 있어 뜻을 이루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리고 이 책에 인용한일부 사진에 대해서는, 특정한 기업을 홍보한다는 오해를 피하고 또한 해당기업(사업장)이나 제공자에게 본의 아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출처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어찌 되었든, 이 책에 대한 마지막 마침표를 찍고 나니, 기쁨보다는 허전함이 가슴에 밀려온다. 더 채워야 할 부분은 나중에 또 개정할 때에 보완하겠다는 속보이는 변명을 살짝 하면서, 진한 부끄러움을 살며시 감춰본다.
이 책이 세상에 나와 빛을 보기까지는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우선, 이 책을 발간해 주신 김동훈 사장님과 공동체 가족 여러분에게 깊은 고마움을 표한다. 또한 사진을 제공하거나 사진을 촬영하는 데 도움을 주신 장철수 님, 유진녕 박사님, 노기형 님, 여현진 님, 하오 님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그리고 이 세상에 계시지 않는 부모님, 본인을 위해 옆에서 항상 보살피고힘을 넣어주는 아내 전영신, 당당하게 커준 아들 대겸에게 감사의 마음을 듬뿍 실어 사랑의 강에 띄워 보낸다.
2021년 2월에
유섭(儒燮) 노병일
PART 01 산업복지의 기본적 측면
제1장 산업복지의 정의와 목적 및 일반적 특징
1. 산업복지의 필요성 15
2. 일(노동)과 근로자와 산업복지의 정의 20
3. 산업복지의 목적 25
4. 산업복지의 장점과 의의 27
5. 산업복지의 주체 31
6. 산업복지의 대상 38
7. 산업복지의 형태 39
제2장 산업복지의 기능과 역사
1. 산업복지의 기능 46
2. 산업복지의 등장과 발달 56
3. 미국과 우리나라의 산업복지의 등장과 진전 61
PART 02 산업복지 서비스와 관련된 주요한 프로그램과 문제 영역
제3장 산업복지 서비스의 제공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산업복지 서비스 제공의 단계 71
2. 산업복지 서비스의 제공 방식 73
3. 산업복지 서비스 제공의 기본 원칙 79
4.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필요 지식 80
5.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따른 모델 87
제4장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EAP)
1.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96
2.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의 정의와 목적 및 의의 98
3.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의 역사와 진전 102
4.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의 특징과 제공 서비스 109
5.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116
6.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의 이용과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8
7.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의 서비스 제공 방식 120
제5장 근로자의 정신건강과 우울
1. 정신건강과 산업복지 126
2. 근로자의 정신건강 문제를 유발하는 요인 127
3. 근로자의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 128
4. 근로자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지침과 주목할 측면 130
5. 근로자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사회복지사의 역할 132
6. 근로자의 우울 136
제6장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1. 직무 스트레스와 산업복지 145
2. 직무 스트레스의 정의 147
3. 직무 스트레스의 현황 149
4. 직무 스트레스의 기능 151
5. 사업장 내부에서 스트레스를 보여주는 상황 152
6. 직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 154
7. 직무 스트레스의 영향 159
8. 직무 스트레스의 관리 165
9. 사회복지사의 역할 172
PART 03 특정한 집단을 위한 산업복지
제7장 여성 근로자의 복지 179
1. 여성과 산업복지 179
2. 여성 근로자의 고용 상황 183
3. 여성 근로자의 정신건강 190
4. 여성 근로자에 대한 성희롱과 언어 학대 192
5. 여성 근로자를 위한 제도 197
6. 사회복지사의 역할 203
제8장 장애인 근로자의 복지 207
1. 장애인과 산업복지 207
2. 장애인의 고용 상황 209
3. 장애인 근로자의 상황 211
4. 사회복지사의 역할 215
제9장 노인 근로자의 복지 222
1. 노인과 산업복지 222
2. 노인 고용의 현황 225
3. 노인이 일하려는 이유와 노인이 바라는 일자리의 형태 226
4. 노인 고용의 효과 229
5. 노인 고용에 걸림돌이 되는 요인과 노인의 일할 수 있는 능력 232
6. 노인 근로자를 위한 제도와 프로그램 239
7. 노인 고용을 위해 노인과 사업장 수준에서 할 수 있는 방안 247
8. 사회복지사의 역할 249
제10장 이주(외국인) 근로자의 복지 252
1. 이주 근로자와 산업복지 252
2. 이주 근로자의 정의와 이주 근로자 복지의 의의 254
3. 이주 근로자의 상황 257
4. 사회복지사의 역할 262
제11장 고용이 불안정한 근로자의 복지 268
1. 고용 불안정과 산업복지 268
2. 고용 불안정한 사람의 상황 270
3. 사회복지사의 역할 277
PART 04 산업복지의 폭넓은 측면
제12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 289
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등장과 정의 289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목적과 의의 291
3.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배경 293
4.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형태와 효과 298
5.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실행 300
6. 사회복지사의 역할 306
제13장 사회보험과 산업복지 308
1. 근로자와 사회보험 308
2. 사회보험의 정의와 목적과 특징 및 장점 311
3. 사회보험의 대상과 급여와 운영과 재정 및 주요한 프로그램 314
4. 연금 프로그램 316
5. 의료보험(건강보험) 프로그램 321
6. 산업재해보상보험 프로그램 323
7. 실업보험(고용보험) 프로그램 331
■참고문헌 337
■찾아보기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