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여러분은 ‘비단잉어, 코이 이야기’를 아십니까?
비단잉어는 자신이 사는 환경에 따라서 자라는 정도가 달라지는데, 작은 어항에 넣어두면 15~25cm밖에 자라지 못합니다. 대신 큰 강물에 살게 되면 90~120cm까지도 자라난다고 합니다. 즉, 자신이 사는 서식지에 따라 전혀 다른 크기와 모습으로 비단잉어는 성장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 어린이들도 태어나서 어떤 환경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에 따라 다른 모습의 어른들로 자라나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유아교육현장에서 영·유아들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교육을 받느냐에 따라 그들의 역량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하지 못한다는 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사의 역할과 역량에 의해 좌우됩니다.
현직교사나 예비교사들은 영·유아들에게 제공하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사 자신의 질을 높이는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영·유아 교사의 역할은 단순한 주의집중이나 재미있는 말투로 유아들을 웃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영·유아 발달에 적합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이론을 익히고, 이론과 실제를 적절히 연결시킴으로써 영·유아들의 능력을 최대한 계발해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책은 영·유아를 가르치는 현직교사나 예비교사들이 영·유아들에게 적절한 교육내용과 방법들을 정확히 이해하여 발달에 적합한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만들어졌습니다.
간혹 영·유아교육현장에서 이야기 나누기나 새노래 등 단위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할 때 절차에만 초점을 맞추어 기계적으로 지도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학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과목에서 이론을 배제하고, 실제 위주의 수업기술 향상만 강조하여 교육한 결과라는 생각이 듭니다.
2019년에 개정 누리과정이 고시되고, 현재 적용 중에 있습니다.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교사의 역할도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하여, 저자들은 현장교사나 예비교사들이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그리고 놀이를 통해 유아의 배움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에 중점을 두고 개정하였습니다.
1부는 영·유아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가 되는 내용(발달이론과 영·유아 교수-학습 방법, 두뇌발달과 영·유아 교수-학습 방법, 영·유아 발달의 이해, 효율적인 영·유아 교수-학습의 원리와 방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영·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보완하였습니다. 2부는 영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중점을 두고, 하루일과에 따른 일상생활과 영아 자유놀이를 중심으로 지도방법을 기술하였으며, 3부에는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자유놀이, 대·소집단 활동)으로 이야기 나누기, 문학활동, 신체활동 등의 계획과 실행 과정을 이론과 실제를 접목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습니다.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이 현장에 잘 실천될 수 있도록 개정 작업을 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만 여전히 부족함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러나 변화하는 교육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여 다시 개정할 것을 계획해 봅니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촬영에 협조해 준 소심유치원과 한샘어린이집, SK행복어린이집 어린이와 선생님들께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또한 질 높은 단위활동 실행을 위해 계속되는 피드백과 시행착오에도 끝까지 책임을 다해 수정·보완해 준 목원대학교와 호남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과 소심유치원 선생님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그리고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고생해 주신 도서출판 공동체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2021년 3월
강민정, 김민희, 배소연
제1부 영·유아 교수-학습의 이론
제1장 발달이론과 영·유아 교수-학습 방법
1. 애착 이론과 교사의 역할 13
2.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교사의 역할 16
3. 학습이론과 교사의 역할 21
4. 구성주의 이론과 교사의 역할 23
5. 다중지능 이론과 교사의 역할 29
제2장 두뇌발달과 영·유아 교수-학습 방법
1. 영·유아기 두뇌 발달 과정의 특징과 의미 34
2. 두뇌발달의 생리학적 특징과 의미 38
3. 두뇌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50
4. 두뇌발달 연구 결과의 적용 60
제3장 영·유아 발달의 이해
1. 신체발달 64
2. 언어·인지발달 69
3. 사회·정서발달 74
제4장 효율적인 영·유아 교수-학습의 원리와 방법
1. 세심한 계획과 융통성 있는 운영을 통한 교수-학습 82
2. 영·유아중심, 놀이중심의 교수-학습 83
3. 영·유아기의 발달원리에 근거한 교수-학습 86
4. 다양한 활동을 통한 교수-학습 90
5. 발달에 적합한 전략을 적용하는 교수-학습 95
제2부 영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제5장 일상생활
1. 등·하원 지도 112
2. 식사 및 간식 지도 117
3. 청결지도 124
4. 배변지도 130
5. 낮잠지도 137
6. 적응 프로그램 142
제6장 영아 자유놀이
1. 탐색과 놀이중심 교수-학습 149
2. 신체놀이 155
3. 언어놀이 163
4. 감각·탐색놀이 173
5. 역할·쌓기놀이 183
6. 음률활동 놀이 188
7. 미술활동 놀이 193
8. 실외놀이 199
제3부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제7장 자유놀이
1. 자유놀이 운영을 위한 교육계획 207
2. 자유놀이 실행 215
3. 자유놀이 평가 221
제8장 대·소집단 활동
1. 이야기 나누기 225
2. 문학활동 245
3. 음악활동 281
4. 신체활동 302
5. 게임활동 328
6. 요리활동 344
7. 미술활동 352
8. 전이활동 371
• 참고문헌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