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성인이 되어서도 종종 서점에 들러 유아용 그림책을 보는 재미가 있다. 언젠가부터 인터넷으로 책을 찾거나 주문을 하지만, 시간을 내어 서점에서 유아들과 나란히 앉아 한 장씩 넘기며 보는 그림책은 참으로 매력적이다. 유아교육기관에서 동화를 듣는 유아들의 모습을 떠올려 보자. 이야기 속에 빠져드는 그들은 아마도 이 세상에 대한 많은 지식과 삶의 모든 것을 동화의 즐거움과 감동 속에서 시작하는 것 같다.
대학에서 강의를 하는 사람이나 강의를 듣는 사람 모두 정서적으로 공감을 가지며 흥미롭게 하는 강의과목을 말하라고 한다면 ‘유아문학교육’ 과목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강의 중에 하게 되는 이야기나 동시, 인형극 등은 언제 듣고 보아도 재미있고 감동을 불러일으켜 모든 이들의 입가에 미소를 띠게 한다. 유아들에게 적절한 동화와 동시를 선택하고, 구연을 연습하거나, 문학활동을 계획하여 모의수업하는 힘든 과정에서도 대부분의 학생들 역시 즐거움과 열정을 보여준다.
현장의 교사들과 유아교육자들은 항상 유아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하여 고민하고 궁리한다. 특히 문학은 언어를 매개로 하는 예술의 하나이고, 또 그 언어의 속성은 사용하는 사람이나 듣고 읽는 사람들 간의 개별적인 것 이기에 다른 학문에 비하여 문학을 가르친다는 일이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언어의 사용이 미숙한 유아들에게 과연 문학을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는 교사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생각할 거리이다.
본 저자들은 ‘문학’이 유아시기에 매우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즐거움 속에서 시작되어야 함에 동의하고 있다. 그 자연스럽고 흥미로운 방법은 ‘그림책’을 활용하는 것이다. 일상적인 유아의 생활을 살펴보면, 대부분 글보다 그림이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그림책을 읽어주는 성인에 의해 문학적 접근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그림책을 읽어주거나 개별적으로 보는 방법 외에도 동화나 동시를 지어보거나 그룹으로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는 문학작품의 감상, 그 외의 폭넓은 문학 관련 활동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학이 예술의 하나라는 점에서 볼 때 예술이 가지고 있는 자연과 사물에 대한 감수성과 미의 인식을 불러일으키는 경험을 무시하고 동화만을 들려주는 것으로 문학을 교육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에서 감성적 느낌을 가져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느낌을 표현해 보고 다른 이들의 표현을 접할 수 있는 활동들도 병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경험은 은유적 표현을 담고 있는 동시를 감상하거나 지어보는 활동으로 더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저자들의 견해를 담아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문학교육 기본서로서 본 책을 출판하게 되었고, 미비한 점과 누리과정을 보완하여 개정하였다.
제1부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문학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전에 문학과 문학교육에 대하여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문학에 대한 이론을 간단하게나마 소개하였으며, 유아문학교육의 접근방향을 제안하였다.
제2부는 유아들의 문학적 경험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그림책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되어 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 가능한 좋은 그림책을 예로 들어가며 그림과 글에 대한 분석을 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제3부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문학을 실제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적인 면이 제시되어 있다. 유아문학교육의 계획과 운영, 그리고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수매체의 제작과 제시방법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소개하였다.
또한 누리과정을 수록하여 문학교육 계획을 수립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록에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그림책 490권을 생활주제별로 소개하였으며, 칼데콧상을 수상하고 한국에 소개된 그림책 174권의 목록을 실었으므로 예비유아교사들이나 유아교사들이 그림책을 선정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제3부에서 문학적 경험의 계획과 전개에 대한 방법은 제시하고 있으나 많은 문학활동의 실제 사례를 예로 들지 못하였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활동에서 벗어나 학생 여러분이나 현장의 교사들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생각을 모아 활동을 계획한다면 더욱 훌륭하며 흥미로우리라 생각한다.
이 책이 완성될 수 있도록 기쁜 마음으로 애써주신 출판사 ‘공동체’의 김동훈 사장님과 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21. 3.
저자
제1부 유아문학교육 이론
제1장 유아문학교육의 기초
1. 문 학 13
2. 아동문학과 유아문학 17
3. 문학교육 24
4. 유아문학교육 29
제2장 유아문학교육의 접근방향
1. 유아문학교육의 방향 33
2. 유아문학교육의 목표와 내용 40
3. 유아문학교육의 방법 67
제2부 그림책
제3장 그림책이란 무엇인가
1. 그림책의 정의 및 특징 75
2. 그림책의 가치 79
제4장 그림책의 구성요소
1. 그림책의 문학성 84
2. 그림책의 예술성 93
제5장 좋은 그림책 선택하기
1. 좋은 그림책 선정조건 107
2. 좋은 그림책의 장르별 평가준거 109
3. 연령에 따른 그림책 선정하기 112
제6장 전래동화 그림책
1. 전래동화 그림책의 정의 119
2. 전래동화 그림책의 특징 120
3. 전래동화 그림책의 종류 130
제7장 환상동화 그림책
1. 환상동화 그림책의 정의 133
2. 환상동화 그림책의 특징 134
3. 환상동화 그림책의 종류 140
제8장 생활동화 그림책
1. 생활동화 그림책의 정의 149
2. 생활동화 그림책의 특징 150
3. 생활동화 그림책의 종류 154
제9장 지식 그림책
1. 지식 그림책의 정의 163
2. 지식 그림책의 특징 165
3. 지식 그림책의 종류 166
제10장 동시와 동요
1. 동 시 178
2. 동 요 181
제11장 그림책 비디오
제12장 그림책 작가
1. 외국 작가 187
2. 우리나라 작가 197
제3부 유아문학교육의 실제
제13장 유아문학교육의 계획과 운영
1. 유아문학교육의 계획 203
2. 유아문학교육의 운영 215
3. 유아문학교육의 평가 255
제14장 동화구연과 그림책 읽어주기
1. 동화구연 263
2. 그림책 읽어주기 280
제15장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매체의 제작과 활용
1. 동시판 285
2. 낱장식 그림동화 288
3. 융판동화 298
4. 자석동화 304
5. 앞치마 동화 309
6. TV 동화 312
7. 블록동화 317
8. OHP 동화 328
9. 극화활동을 위한 매체 336
부록
1 • 칼데콧상 수상작 371
2 • 생활주제별 그림책 407
참고문헌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