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지난 1년 동안 우리 사회는 코로나19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자원봉사영역도 예외가 아니다.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자원봉사활동과 코로나19로인한 사회적 약자의 긴급지원 자원봉사활동이 늘어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동안 대면방식 위주로 이루어져 오던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이 비대면 혹은 혼합 방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일부 기관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해 온 자
원봉사활동은 참여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자원봉사활동 참여방식의 다양화는 자원봉사활동의 참여 확산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에 자원봉사활동의 특성과 성격이 자칫 왜곡될 수 있는 우려스러움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활동의 특성과 원칙, 자세 등 자원봉사활동의 기반에 대한 강조가 더 필요한 때이다.
이번에 제3판으로 개정하면서 중점을 둔 것은 자원봉사활동의 발전과정및 현황에 대한 자료를 보완하였다. 특히 제8장부터 제11장에 이르는 자원봉사조정 과정에 대한 부분을 대폭 수정하였다. 자원봉사활동 현장에서 활용하기 쉽도록 과정과 내용을 전면적으로 손질하였다.
이 책에서는 자원봉사‘조정’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이는 영어의 Coodination을 의미하는 것이다. 통상 자원봉사‘관리’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동등하게 연결한다’는 의미로 조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원봉사 희망자가 자원봉사활동을 잘 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데, 이 책에서는 자원봉사 희망자의 자원봉사활동 부분은 물론이고, 클라이언트의 자원봉사 활용 부분을 별도로 다루고 있다. 자원봉사활동은 자원봉사 희망자의 선의로 이루어지는 것이기도 하지만, 클라이언트 또한 자원봉사활동의 중요한 측면이기 때문에 이들의 조정도 한 장에서 다루고 있다. 점차 ‘클라이언트의 볼런티어화’가 중요해지는 시기이므로 눈여겨보아야 할부분이다.
이 책은 대학에서 자원봉사론 교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자원봉사 현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회복지 현장에서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에 도움을 줄것이다.
끝으로 이 책의 개정판을 낼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시고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신 도서출판 공동체 김동훈 사장님께 감사를 표한다.
2021년 3월
집필자를 대표하여 박태영 씀
PART 1 자원봉사의 개관
Chapter 1 사회복지와 자원봉사
1. 사회복지에서 자원봉사 19
2. 자원봉사자 22
3. 자원봉사의 대상자(클라이언트) 24
4. 자원봉사의 주요 이슈 31
Chapter 2 자원봉사의 이해
1. 자원봉사의 개념 41
2. 자원봉사의 필요성 53
3. 자원봉사의 역할 60
4. 자원봉사자의 자세 64
5. 자원봉사의 동기 71
6. 자원봉사의 형태 75
Chapter 3 자원봉사의 발전과정
1. 우리나라의 자원봉사활동 84
2. 외국의 자원봉사 발달과정 92
Chapter 4 자원봉사의 현황
1. 자원봉사 특성별 현황 105
2. 자원봉사 분야별 현황 111
Chapter 5 자원봉사의 추진체계
1. 법적 체계 129
2. 운영체계 137
PART 2 자원봉사조정의 실제
Chapter 6 자원봉사조정자의 이해
1. 자원봉사조정자의 정의와 필요성 160
2. 자원봉사조정자의 역할 및 자질 162
3. 자원봉사조정자의 기능 171
4. 자원봉사조정자의 유형 179
5. 자원봉사조정자의 실태 181
6. 자원봉사조정자의 전문성 강화방안 187
Chapter 7 클라이언트에 대한 조정
1. 욕구의 접수 196
2. 방문ㆍ면접 200
3. 사 정 205
4. 자원봉사자 모집 208
5. 편성(Matching) 208
6. 자원봉사자의 대면 210
Chapter 8 자원봉사조정의 준비단계
1. 자원봉사프로그램 개발 220
2. 자원봉사자 업무설계 242
Chapter 9 자원봉사조정의 실행단계Ⅰ
1. 모 집 254
2. 선발과 면접 및 배치 265
3. 교 육 287
Chapter 10 자원봉사조정의 실행단계Ⅱ
1. 자원봉사그룹 육성 312
2. 인정보상 323
3. 갈등관리 342
Chapter 11 자원봉사조정의 평가단계
1. 기록관리 356
2. 평가 및 종결 364
Chapter 12 주체별 자원봉사활동의 실제
1. 청소년 자원봉사 371
2. 노인 자원봉사 379
3. 가족 자원봉사 387
4. 대학 자원봉사 392
5. 기업 자원봉사 400
6. 전문직 자원봉사 406
PART 3 자원봉사의 방향과 과제
Chapter 13 자원봉사의 방향과 과제
1. 앞으로 자원봉사활동의 추세 418
2. 지역 자원봉사활동의 발전방향 421
3. 지역 자원봉사활동의 발전과제 425
■ 참고문헌 433
■ 찾아보기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