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교육 철학과 내용 및 방법에 따라 영유아 프로그램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영유아 프로그램이란 특정 이론에 의해 조직된 교육과정의 모델로서 유아교육현장에서 가르치는 구체적인 내용을 계획·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럽에서는 아동을 성인과 다른 존재로 인식하기 시작한 후 많은 교육사상가의 영향으로 영유아교육의 기본 방향인 아동존중사상, 자연주의 교육, 경험교육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배경은 프뢰벨의 유치원 창설의 효시가 되었으며, 그 후 체계적인 영유아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미국의 영유아 프로그램의 시작은 유럽에 뿌리를 두고 있다. 독일 프뢰벨의 유치원과 영국 로버트 오웬의 성격형성학원, 이탈리아 몬테소리의 어린이집 등이 미국으로 전달되어 교육과 보육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미국 영유아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은1960년대의 헤드 스타트 프로젝트를 기점으로 다양하게 발전하였다.
한국에서도 일찍이 이화여자대학교 부속유치원을 기점으로 많은 프로그램들이 전개되었으며, 1980년대 초기부터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최근 취업모의 증가, 유아교육 연령의 하향화와 같은 사회적 변화와 현상들로 부모와 유아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외국의 다양한 영유아 프로그램들이 지닌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 프로그램이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해 오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영유아 프로그램 현장에 영향을 미친 시사점을 통하여 다양하고 질 높은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중요한 기틀을 마련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적으로는 영유아 프로그램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프로그램 형성의 시대적 흐름을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른 최근 동향을 고찰하며 영유아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알게 한다.
둘째, 횡적으로는 미국, 유럽, 한국의 영유아 프로그램 현장을 생동감 있게 전달하고자 한다. 무조건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을 나열하기보다는 필자가 현장을 직접 방문하거나 프로그램 세미나에 참가한 국내·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구성체계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생생한 맥락과 신념 및 구체적인 이론과 실제 등을 더 잘 이해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셋째, 영유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를 총체적으로 다루었다. 단순히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내용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존의 프로그램을 응용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개발절차 및 평가를 총체적으로 강조하였다.
본 서의 내용은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 및 개발절차를 제시하고, 국내·외의 다양한 영유아교육 프로그램들의 이론과 실제를 소개하고 평가를 강조하였다. 전체의 내용을 영유아 프로그램의 개발/ 미국·유럽·한국의 영유아 프로그램/ 영유아 프로그램의 평가 등으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본 서의 제2판은 제9장과 제10장을 한국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프로그램으로 좀 더 새롭고 다양하게 소개하였으며 제3판은 각 기관별 평가부분과 달라진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총 5부로 나누어 제1장부터 제13장까지 구성되어 있으며, 부록으로 본 기관별 평가내용을 수록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부 영유아 프로그램의 개발
: 개발배경 및 최근 동향/ 개발절차 및 유형
제2부 미국의 영유아 프로그램
: 하이스코프 프로그램/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 프로젝트 접근법
제3부 유럽의 영유아 프로그램
: 몬테소리 교육/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발도르프 교육
제4부 한국의 영유아 프로그램
: 유치원(이화여대, 중앙대, 강남대)
어린이집(삼성복지재단, 푸르니보육지원재단)
영유아 프로그램의 다원화
제5부 영유아 프로그램의 평가
: 평가 방법 및 실제/ 한국의 유아교육기관 평가
현재 외국의 유아교육 프로그램들이 우리나라 현장에서 그대로 모방하여 적용되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이름은 많이 들어서 알고 있으나 그 구체적인 이론이나 내용을 잘 알지 못하여 혼동을 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러므로 본 서에 소개되고 있는 프로그램 내용들은 현장에서 영유아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데 많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영유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특성은 다양성과 역동성에 있다. 즉, 한 가지 획일적인 프로그램이 모든 유아에게 적용될 수는 없으므로 다양한 이론에 기초하고 다양한 유아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서를 통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의 특징을 이해하고 우리의 가치관과 문화를 반영한 한국 영유아들에게 적합하고 다양한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제3판을 출판하면서도 미흡하고 아쉬운 부분이 아직도 남아 있지만 본서를 구독해주신 분들께 큰 감사를 드린다. 앞으로도 영유아 프로그램에 관한 발전적 연구와 여러분들의 조언과 시대적 변화를 참고하여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해 갈 것을 다짐한다.
그동안 수년간의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교과목 강의를 통하여 실제적인 아이디어를 준 대학원 학생들과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운영하며 현장사례를 제공해 주고 함께 토의를 통해 아낌없는 도움을 준 교사와 원장님들에게 고마운 마음이다. 특히 제3판 원고의 수정·보완을 위해 끝까지 원고정리와 토의에 참여한 박사제자들에게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 끝으로 본 서의 초고에서 출판에 이르기까지 많은 배려를 해주신 도서출판 공동체 사장님 이하 그 밖에 수고해 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제 1 부 영유아 프로그램의 개발
제1장 영유아 프로그램의 개발배경 및 최근 동향
1. 영유아 프로그램의 역사적 배경 12
2. 영유아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25
3. 영유아 프로그램의 사회·문화적 배경 41
4. 영유아 프로그램의 최근 동향 49
제2장 영유아 프로그램의 개발절차 및 유형
1.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의 개념 59
2. 영유아 프로그램의 개발절차 61
3. 영유아 프로그램의 유형 73
제 2 부 미국의 영유아 프로그램
제3장 하이스코프 프로그램 - 능동적 학습
1. 이론적 배경 85
2. 프로그램의 구성 86
3. 시사점 99
제4장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 - 발달적 상호작용
1. 이론적 배경 103
2. 프로그램의 구성 105
3. 시사점 116
제5장 프로젝트 접근법 - 통합적 접근
1. 이론적 배경 121
2. 프로그램의 구성 122
3. 시사점 142
제 3 부 유럽의 영유아 프로그램
제6장 몬테소리 교육 - 준비된 환경
1. 이론적 배경 149
2. 프로그램의 구성 151
3. 시사점 163
제7장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 발현적 교육
1. 이론적 배경 169
2. 프로그램의 구성 170
3. 시사점 190
제8장 발도로프 교육 - 교육예술
1. 이론적 배경 195
2. 프로그램의 구성 201
3. 시사점 213
제 4 부 한국의 영유아 프로그램
제9장 유치원 프로그램
1. 이화여자대학교 부속유치원 - 주제 220
2. 중앙대학교 부속유치원 - 관계 중심 230
3. 강남대학교 부설유치원 - 창의적 통합 238
제10장 어린이집 프로그램
1. 삼성복지재단 어린이집 - 포괄적 보육 252
2. 푸르니 어린이집 - 선택, 주도, 몰입 262
제11장 영유아 프로그램의 다원화
1. 자연친화 프로그램 274
2. 다문화 프로그램 281
3.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287
4. 영아 프로그램 293
5. 혼합연령 프로그램 297
6. 장애 통합 프로그램 304
제 5 부 영유아 프로그램의 평가
제12장 영유아 프로그램의 평가방법 및 실제
1. 영유아 프로그램의 평가방법 314
2. 영유아 프로그램 평가의 실제 335
제13장 한국의 유아교육기관 평가
1. 유치원 평가 342
2. 어린이집 평가제 348
■부록 357
■참고문헌 391
■찾아보기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