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학교폭력이라는 단어는 어울리지 않는 대립적 개념이 복합된 용어이다. 학교의 교육적 기능과 폭력이라는 파괴적 기능이 공존하는 것 자체가 비정상적인 현상을 말해준다. 그런데 현실은 이러한 비정상적인 현상이 실제적 상황이 되었고, 학교폭력 예방 차원의 교과목이 교직 소양 교과목으로 선정되는 결과까지 초래되었다. 학교의 긍정적 의미와 폭력의 부정적 의미가 공존하는 현실과 이에 대한 해결대안으로서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라는 교과목의 선정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암울한 현실을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다.
  이렇듯 학교의 모습이 변색되고 폭력의 부정적 의미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 것은 1990년대 이후, 특히 21세기 들어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비인간화의 사회적 병리현상에서 찾을 수 있지만, 거대한 사회적 문제로 수수방관하기에는 학교폭력의 현실은 너무나 가혹하다. 학교폭력의 일반화, 저연령화, 흉폭화 등과 같은 경향은 학교를 심각하게 황폐화 시키고 있다. 신체폭력이나 집단폭력이라는 물리적 현상뿐만 아니라, 언어폭력이나 따돌림과 은밀하고 지속적인 괴롭힘까지 폭력의 양상은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음습화되고 있다.
  학교폭력의 현상은 학교 내적인 문제, 가정문제로만 원인을 진단하기는 어렵고, 우리 사회의 병리적인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여 나타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 모두의 반성과 노력이 필요하며 사회 전반적인 의식과 문화의 변화가 절실하다. 학교폭력 문제가 분명하고 현실이 심각하다면 이를 해결하는 것 또한 우리의 몫이다.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현실적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것은 학자로서, 교사로서의 당연한 의무이며 사회적으로 주어진 책무이다.
  학교폭력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함에 있어서 실제적인 현장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추상적인 문제의 진단과 해결책은 학교현장에서 경험하는 학교 폭력의 문제와는 동떨어진 경우가 많고 구체적인 문제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집필진들은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학교현장에서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실용적⋅현실적인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노력하였다.
  본 집필진들은 교육학자, 학교컨설턴트, 전문상담교사로서의 학교현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현장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학교폭력의 예방 및 바람직한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포괄적이면서 다차원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학교폭력의 이론적 배경은 물론 학교폭력 관련 법규와 정책, 학생의 이해, 사안처리, 지역사회 연계, 예방 프로그램 및 인성교육 우수사례, 학생상담, 학부모교육 및 상담, 인성교육, 학생정서행동 이해, 문제행동별 지도방법, 심리검사의 활용 등 학교현장에서 꼭 필요한 내용들을 망라하고 있으므로, 예비교사는 물론 현직교사에게도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 책이 학교폭력에 관련한 여러 가지 사례와 대책을 다루고 있지만, 기계적이고 행정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기보다는 우리 교육의 현실을 아픈 마음으로 직시하면서 교육현장에 발을 내디뎠을 때 학생들을 이해하고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이 책은 총 1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에서는 학교폭력의 의미, 유형, 최근 경향과 특성에 관해 고찰하였으며, 제2장 학교폭력 관련 법규 및 교육정책의 이해에서는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관련 교육정책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3장 학교폭력사안 처리 및 사례별 대응법에서는 담임교사의 초기대응, 학교장 자체해결 사안,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대응, 통고제 활용, 학교폭력 사례별 대응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제4장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학교폭력 예방에서는 지역사회 연계의 필요성 및 연계과정, 학교폭력 예방과 인성교육 연계기관, 연계 실제를 다루었으며, 제5장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에서는 국내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제6장 학교폭력 예방 우수사례에서는 국내의 다양한 학교폭력 예방 우수사례를 제시하였다. 제7장 학교폭력 학생상담에서는 학교폭력 학생상담의 필요성과 특징, 절차, 유형, 상담 실제 및 우수사례를, 제8장 학교폭력 학부모교육 및 상담에서는 학부모교육 및 상담의 필요성과 특징, 유형, 학부모교육, 상담과정 및 실제, 우수사례를 제시하였다. 제9장 학생의 이해 및 문제행동별 지도방법에서는 학생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수업 중 문제행동, 정서⋅행동장애, 비행, 게임⋅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의 지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10장 심리검사의 활용에서는 심리검사의 필요성 및 초등, 청소년용 심리검사에 대해 제시하였고, 제11장은 행복교육과 행복한 학교로 마무리하였다. 각 장마다 개요를 제시하여 전반적 내용을 쉽게 파악하도록 하였고, 달성해야 할 학습목표를 제시하였다.
  제1장은 김진한, 제3장과 제4장, 제7장, 제8장은 우지향, 제2장, 제5장과 제6장, 제9장은 박선환, 제10장과 제11장은 박숙희 교수가 집필하였다. 저자들로서는 각고의 노력 끝에 얻어진 것이지만 독자들이 보기에는 부족한 점과 보완해야 할 점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향후 독자들의 아낌없는 충고와 조언을 기대한다.
  끝으로 공동체 김동훈 대표님 이하 공동체 가족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1. 3.
공동 저서의 대표 집필자 김진한


 

CHAPTER 01 학교폭력에 대한 이해

   1. 학교폭력의 의미 17

   2. 학교폭력의 유형 20

   3. 학교폭력의 최근 경향과 특성 26

   4. 학교폭력의 위기 36

 

CHAPTER 02 학교폭력 관련 법규 및 교육정책의 이해

   1.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41

   2.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관련 교육정책 54

 

CHAPTER 03 학교폭력사안 처리 및 사례별 대응법

   1. 학교폭력 대응의 관점 75

   2. 담임교사의 초기대응 78

   3. 학교장 자체해결 사안 80

   4.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개최를 통한 학교폭력 대응 83

   5. 통고제 활용 101

   6. 학교폭력 사례별 대응법 105

 

CHAPTER 04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학교폭력 예방

   1. 지역사회 연계의 필요성 123

   2. 지역사회 연계의 의미 125

   3. 지역사회 연계의 과정 126

   4. 지역사회 연계 주요 기관 129

   5. 지역사회 연계의 실제 141

 

CHAPTER 05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1. 국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149

   2. 국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170

 

CHAPTER 06 학교폭력 예방 우수사례

   1. 예체능활동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사례 189

   2. 인성교육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사례 196

   3. 언어문화 개선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사례 212

   4.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사례 216

   5. 또래중재를 통한 학교폭력 예방 사례 218

   6. 대안교실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사례 222

   7. 특별 프로그램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사례 225

   8.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학교폭력 예방 사례 230

   9. 자치단체활동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사례 238

 

CHAPTER 07 학교폭력 학생상담

   1. 학교폭력 학생상담의 필요성과 특징 245

   2. 학교폭력 학생상담절차 249

   3. 학교폭력 학생상담의 유형 255

   4. 학교폭력 학생상담의 실제 258

   5. 학교폭력 학생상담 우수사례 281

 

CHAPTER 08 학교폭력 학부모교육 및 상담

   1. 학부모교육 및 상담의 필요성과 특징 289

   2. 학교폭력 관련 학부모교육 299

   3. 학교폭력 관련 학부모 상담 310

   4. 학교폭력 관련 학부모 상담의 실제 312

   5. 학교폭력 학부모 상담 우수사례 319

 

CHAPTER 09 학생의 이해 및 문제행동별 지도방법

   1. 학생의 이해 325

   2. 수업 중 문제행동 328

   3. 정서⋅행동장애 337

   4. 비 행 355

   5. 게임⋅인터넷⋅스마트폰 중독 360

 

CHAPTER 10 심리검사의 활용

   1. 심리검사의 필요성 367

   2. 심리검사 활용을 위한 기초 368

   3. 아동 및 청소년용 정서⋅행동특성검사 370

   4. 활용 가능한 그 밖의 심리검사들 381

 

CHAPTER 11 행복교육, 행복한 학교

   1. 행복과 학교행복의 개념 387

   2. 학교행복의 측정 393

   3. 학생행복의 조건 398

   4. 행복교육 401

 

❚ 참고문헌 404

❚ 찾아보기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