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장애아동의 이해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지난 2018년 8월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한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인력의 자격 및 인정 절차 기준」 제2조에서 발달재활서비스 적용 영역을 언어재활, 청능재활, 미술심리재활, 음악재활, 놀이심리재활, 행동재활, 재활심리, 감각발달재활, 운동발달재활, 심리운동 등으로 세부화했다. 또한 제4조 발달재활서비스 관련 과목 및 자격 인정 절차에 따르면, 발달재활서비스 관련 과목 중 모든 제공 인력이 공통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공통과목으로 <장애아동의 이해>를 제시하였다.
  이는 그동안 민간자격 및 협회자격으로 활동하던 대부분의 재활서비스 제공인력의 국가자격 인정절차에 따른 것이며, 공통과목 및 재활영역에 따른 교과목의 용어 통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대학과 현장에서 <장애아동의 이해>를 보다 잘 학습하고, 실천하기 위한 교재개발이 요구되었다.
  <장애아동의 이해> 교과목은 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뿐 아니라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 특수교사 및 사회복지사 등을 위한 필수교과목이며, 다른 교과목들과의 연계에서도 중요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장애아동의 이해>의 교수요목에서 제시한 교과개요, 주제, 주요 내용을 토대로 하여 목차를 설정하고, 장애아동의 이해, 장애와 인권, 지적 장애의 이해, 자폐 범주성 장애의 이해,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의 이해, 정서․행동 장애의 이해, 학습장애의 이해, 의사소통 및 청각장애의 이해, 시각장애의 이해, 장애아동 교육방법, 장애아동 행동지원, 장애아동 지원체계, 보조공학 활용을 총13주(중간고사, 기말고사 제외)에 걸쳐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교과목 내용이 의학, 보건, 복지, 교육 등을 포괄하고 있으나, 난이도 및 내용의 깊이 등 대학생 중심으로 하였으므로, 대학원생 및 실전에서 활동하는 치료사 분들은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참고문헌을 활용하기를 바란다.
  보다 나은 내용으로 발전하기 위해 많은 분들의 평가와 조언을 감사하게 받아들이고 수정해 나갈 것을 다짐한다.

2021년
저자 일동

 

CHAPTER 01 장애아동의 이해 11
   1. 장애의 개념과 장애모델 13
   2. 장애아동의 분류체계 21
   3. 장애아동 실태와 관련법 25
   참고문헌 38

CHAPTER 02 장애와 인권 39
   1. 인권의 개념과 이해 41
   2. 장애인 인권과 관련법령 45
   3. 장애아동 성범죄 문제 52
   참고문헌 57

CHAPTER 03 지적장애의 이해 59
   1. 지적장애의 정의 61
   2. 지적장애의 원인 63
   3. 지적장애의 진단 및 평가 66
   4. 지적장애의 특성 74
   5. 지적장애의 지원방안 77
   참고문헌 80

CHAPTER 04 자폐 범주성 장애의 이해 81
   1. 자폐 범주성 장애의 정의와 분류 84
   2. 자폐 범주성 장애의 원인과 출현율 86
   3. 자폐 범주성 장애의 진단 및 평가 88
   4. 자폐 범주성 장애의 특성 97
   5. 자폐 범주성 장애의 지원방안 103
   참고문헌 115

CHAPTER 05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의 이해 119
   1.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의 정의 121
   2.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의 원인과 출현율 124
   3.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의 진단 및 평가 128
   4.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의 특성 132
   5.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의 지원방안 137
   참고문헌 143

CHAPTER 06 정서ㆍ행동장애의 이해 145
   1. 정서ㆍ행동장애의 정의 148
   2. 정서ㆍ행동장애의 원인 151
   3. 정서ㆍ행동장애의 진단 및 평가 166
   4. 정서ㆍ행동장애의 하위유형과 특성 179
   5. 정서ㆍ행동장애의 지원방안 186
   부록. 성인 애착유형 검사 194
   참고문헌 197

CHAPTER 07 학습장애의 이해 199
   1. 학습장애의 정의 202
   2. 학습장애의 원인 203
   3. 학습장애의 진단 및 평가 205
   4. 학습장애의 특성 213
   5. 학습장애의 지원방안 215
   참고문헌 217

CHAPTER 08 의사소통 및 청각장애의 이해 219
   1. 의사소통 장애의 이해 221
   2. 청각장애의 이해 235
   참고문헌 248

CHAPTER 09 시각장애의 이해 251
   1. 시각장애의 정의 254
   2. 시각장애의 원인 266
   3. 시각장애의 진단 및 평가 269
   4. 시각장애의 특성 274
   5. 시각장애의 지원방안 276
   부록. 맹점테스트 283
   참고문헌 284

CHAPTER 10 장애아동 교육방법 285
   1. 개별화교육계획 개발 및 실행 287
   2. 통합교육 295
   3. 특수교육 302
   4. 장애아동에게 적절한 교수방법 311
   5. 미래 주거환경과 직업교육 방법 318
   참고문헌 323

CHAPTER 11 장애아동 행동지원 325
   1.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 327
   2. 행동지원 전략 328
   참고문헌 333

CHAPTER 12 장애아동 지원체계 335
   1. 발달재활서비스 339
   2. 개인별지원계획 지원방안 352
   3. 협력적 팀접근 360
   부록 12-1.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 신청서 367
   부록 12-2. 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증 신청서 368
   부록 12-3. 개인별지원계획 369
   참고문헌 371

CHAPTER 13 보조공학 활용 373
   1. 장애아동을 위한 보조공학 375
   2. 보완대체 의사소통 379
   3.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의 구성요소와 실제 382
   4. 의사소통 보조기기 적용 사례 399
   참고문헌 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