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이 책은 평생교육의 실천 마당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역동적으로 실시하고, 참여한 학습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필요한 평생교육방법을 소개하기 위하여 기술되었다. 평생교육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고 실천되기 시작한 때부터 지금까지 많은 평생교육 관련 저서가 출판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저서가 평생교육의 이론을 소개하고 알리는 데 치중하였고, 실제 평생교육현장에서 실천가와 학습자가 만나서 관계를 맺고 부딪히는 부분에 도움을 주는 내용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는 평생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학습자의 만족을 확보하자는 주장은 많으나, 정작 평생교육의 현장에서 이를 위해 실천가들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 기법 등이 부족한 현실에 대한 평생교육 전문가들의 반성을 요구하는 것이다.
실제로 평생교육현장에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주제, 대상에 상관없이 아직도 강의 위주의 평생교육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탄력성, 유연성, 역동성에 주목하는 평생교육을 구체화하는 측면에서 아쉽고 부족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 책은 평생교육현장에서 실천가들이 학습자들과 부딪히고 어울리며 함께 할 수 있는 평생교육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정리하고 소개하는 역할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책은 이런 목적 아래 구체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는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방법을 짚어보았다. 즉, 평생교육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평생교육방법을 제시하는 데 주목하였다. 따라서 이 책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첫째, 시간(Time), 장소(Place), 상황(Occasion)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방법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여름과 겨울에 입는 옷이 다른 것처럼 평생교육방법도 때와 장소와 경우에 따라 다채롭게 제시되어야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하고 참여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이에 시간(Time), 장소(Place), 상황(Occasion)에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방법을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둘째, 평생교육방법을 실제 현장에서 학습자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정리하였다. 이를 위하여 포럼, 세미나, 심포지엄 등의 전문가 중심 방식의 평생교육방법은 제외하였다. 또한 개인학습방법의 소개도 지양하였다.
셋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역동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평생교육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지침과 매트릭스를 제공하였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역동적으로 실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고,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각 단계와 상황, 그리고 때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방법을 매트릭스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이 책은 총 5부 14장으로 구성되었다. 각 부는 평생교육방법론의 이해,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준비⋅실시⋅마무리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방법 고찰, 평생교육방법의 실시를 위한 지침과 매트릭스 제시로 이루어졌다. 각 부와 장의 내용을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1부에서는 평생교육방법론의 이해를 살펴보았다. 1장에서 평생교육방법론을 짚어보고, 2장에서는 T⋅P⋅O 평생교육방법을 돌아보았다.
2부에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준비단계의 평생교육방법을 짚어보았다. 3장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한 자리 배치 방법을 따져보았다. 4장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들이 처음 만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방법을 들여다보았다. 5장을 통해서는 협동적 팀 만들기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방법을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시단계의 평생교육방법을 짚어보았다. 6장에서는 학습자와 함께 하는 집단학습의 준비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방법을 따져보았다. 7장에서는 강의를 역동적으로 만들기 위해 작업하는 상황에
서 사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방법을 짚어보았다. 8장에서는 협동학습의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방법을 모아보았다. 9장에서는 역할학습의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방법을 알아보았다. 10장은 토론⋅토의학습 방법을 훑어보았다.
4부에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마무리단계의 평생교육방법을 살펴보았다. 11장에서는 학습내용을 정리하고 활용계획을 수립하는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생교육방법을 들여다보았다. 12장에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는 상황의 평생교육방법을 짚어보았다.
5부에서는 역동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시를 위한 지침과 T⋅P⋅O 평생교육방법 활용 매트릭스를 따져보았다. 13장에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역동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지침을 들여다보았다. 14장에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T⋅P⋅O 평생교육방법을 활용하기 위한 매트릭스를 제시하였다.
이 책에서 제시하고 소개한 평생교육방법과 지침을 평생교육 실천가가 평생교육의 현장에서 학습자들을 만날 때 유용하게 사용하였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다. 책에 수록된 평생교육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가급적 실천가와 학습자가 만나서 관계를 맺는 그 때, 그 장소, 그 상황에 맞게 변형하거나 보완, 또는 새롭게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글에 수록된 평생교육방법이 창발적인 그리고 만남과 관계맺기의 주제와 대상에 걸맞은 새로운 평생교육방법을 생산하기 위한 마중물로 사용된다면 더할 나위 없는 기쁨이 될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이 책의 구성과 내용에 부족한 점이 많다는 것을 자인한다. 이는 전적으로 저자의 모자람, 경험과 삶의 실천의 부족함, 평생교육의 실천 연구에 대한 게으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책의 내용에 대한 앞으로의 그 어떤 질책과 비판도 겸손하게 받아들이고, 발전을 위한 도움과 조언으로 받아들일 것이다.
이 책을 완성하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았다. 이 책은 저자가 살아오는 동안 관계를 맺었던 많은 사람들과 일들을 통해서, 그리고 관련 분야의 자료들을 통하여 만들어졌다. 모든 관계와 사람들, 일들에 감사를 드린다. 이 책의 출간을 기꺼이 허락해 주신 공동체의 김동훈 대표와 김동근 전무 그리고 관계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끝으로 늘 함께 있으면서 저자에게 힘과 생력을 삶에서 길어 올려준 각시에게 감사드린다.
제1부 평생교육방법론의 이해
제1장 평생교육방법론 짚어보기
1. 평생교육방법 되짚기 13
2. 성인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전환 20
3. 평생교육방법론의 이론적 토대 28
제2장 T⋅P⋅O 평생교육방법
1. T⋅P⋅O 평생교육방법 개요 37
2. T⋅P⋅O 평생교육방법의 필요성 43
3. T⋅P⋅O 평생교육방법의 기획 51
제2부 평생교육 프로그램 준비단계의 평생교육방법
제3장 자리 배치의 상황에 사용하는 방법
1. 원형 자리 배치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62
2. 팀 활동을 위한 자리 배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70
3. 전통적 자리 배치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74
제4장 첫 만남의 상황에 사용하는 방법
1. 맘과 몸 사귀기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78
2. 벽 허물기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89
3. 이름 익히기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95
제5장 협동적 팀 만들기의 상황에 사용하는 방법
1. 감성공유활동을 통한 협동적 팀 만들기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03
2. 공동활동을 통한 팀 만들기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07
3. 생각교류활동을 통한 협동적 팀 만들기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11
제3부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시단계의 평생교육방법
제6장 집단학습의 준비 상황에 사용하는 방법
1. 팀 구성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17
2. 리더선출과 역할부여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21
3. 학습진입의 준비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26
제7장 강의를 역동적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1. 강의의 시작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33
2. 강의의 중간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40
3. 강의의 마무리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44
제8장 협동학습의 상황에 사용하는 방법
1. 참여학습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49
2. 협동학습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57
3. 상호교수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65
제9장 역할학습의 상황에 사용하는 방법
1. 제시학습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70
2. 질문촉진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73
제10장 토론⋅토의학습의 상황에 사용하는 방법
1. 의사소통⋅조율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82
2. 논점찾기와 준비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87
3. 토론⋅토의학습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193
제4부 평생교육 프로그램 마무리단계의 평생교육방법
제11장 학습내용 정리와 활용의 상황에 사용하는 방법
1. 학습내용의 정리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209
2. 학습결과의 평가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212
3. 실행계획의 수립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218
제12장 프로그램 마무리 상황에 사용하는 방법
1. 프로그램의 마무리 의식의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222
2. 프로그램의 마무리 발언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226
3. 프로그램의 마무리 기록 시점에 사용하는 방법 230
제5부 역동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시를 위한 지침과 T⋅P⋅O 평생교육방법 활용 매트릭스
제13장 역동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지침
1. 학습자의 효과적인 활동을 유인하기 위한 지침 237
2.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지침 241
3. 학습을 역동적으로 만들기 위한 지침 246
제14장 T⋅P⋅O 평생교육방법 활용을 위한 매트릭스
1. 프로그램 준비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T⋅P⋅O 평생교육방법 253
2. 프로그램 실시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T⋅P⋅O 평생교육방법 255
3. 프로그램 마무리단계에서 사용하는 T⋅P⋅O 평생교육방법 257
▪참고문헌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