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이 책을 쓰게 된 원동력은 다산 정약용의 실사구시, 즉 사실에 바탕을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정신이 바탕이 되었다. 지역사회복지 현장은 항상 변화무쌍하다. 주민 욕구에 맞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행정업무 처리뿐만 아니라 틈틈이 복지 현장을 내 집처럼 누벼야 한다. 지역사회복지실천 사상의 뿌리가 되어준 것이 다산사상이었으며 롤모델이 되었다.
이 책의 특징은 첫째, 읍⋅면⋅동 지역사회복지 관련 이론과 정책, 법령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지역사회복지사업에 초점을 두었다. 셋째, 지역사회복지사업의 사례는 익산시 영등1동행정복지센터와 복지정책과 맞춤형복지지원계에서 근무했던 업무 내용을 주축으로 했다. 넷째, 읍⋅면⋅동 공공복지 확대에 따른 지역사회복지를 배우고자 하는 민간 사회복지사, 사회복지 대학생,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이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꾸몄다. 이 책을 바탕으로 공공복지 현장의 작은 울림과 반향이 전국 지역사회에 널리 퍼져나가기를 소망해 본다.
제1장_ 지역사회복지 이론과 정책
정부의 지역사회복지 정책 방향 10
정부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변천사 15
사회복지법 체계 21
사회복지의 종류 24
사회복지 종류별 특성 25
공공부조 대상자 용어 정의 27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자 나이 기준 29
지역특화사업과 마을복지계획 수립 32
제2장_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명칭 이대로 괜찮은가 38
시⋅군⋅구에 맞춤형복지지원단을 신설하라 42
시⋅군⋅구에 솔루션위원회를 상설 운영하자 46
읍⋅면⋅동 플랫폼, 찾아가는 보건복지계 49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읍⋅면⋅동 평가제도 필요 53
지역사회통합돌봄사업 정착을 위한 경로당⋅보건지소 활용방안 56
읍⋅면⋅동 지역사회복지 현장 책 소개 59
통합사례관리지침 한데 묶어야! 62
행복e음의 사례관리 입력절차 간소화 필요 65
제3장_ 지역사회복지 사업과 사례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사업 함수관계 68
자원봉사자 등록해 주세요 72
사회복지수급자와 초상권 76
정신질환자, 병원 입원 처리는 이렇게 79
장애인 형제 “제가 돈을 버니까 너무 좋아요” 83
TV <구조 신호 시그널> 최 할아버지 89
익산시 영등1동에 살어리랏다 93
지역사회복지 선진기관에서 배워요 99
다산초당 ‘복지문화탐방 1번지’ 102
성공적인 복지 홍보를 위한 보도자료 작성법 106
제4장_ 나는 대한민국 사회복지공무원이다
사회복지공무원의 뿌리를 찾아서 114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회 변천사 119
마술의 사과를 어떻게 전해 줄까? 122
사회복지공무원의 지역사회복지 역할 125
사회복지공무원의 잃어버린 야성을 찾아서 128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직위제 확대 132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135
전라북도 최초 사회복지 전문교육 과정 신설 139
코로나19, 징비록 142
제5장_ 늘 처음처럼
용지면, 사회복지공무원으로 키워준 8할의 복지 현장 148
사회적 관계를 잘 맺고 유지하자 150
사회복지사 + 공무원의 지향 정신은? 158
전문가는 전문적 기술로 답하라 165
도전하는 삶이 아름답다 177
■부록 : 영등1동에 살어리랏다 181
■참고문헌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