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제1장 여는 말
1.1. 일상생활 속의 통계
1.2. 통계학의 역사
제2장 조사방법론의 이해
2.1. 조사연구의 절차
2.1.1. 연구문제의 설정
2.1.2. 예비조사(pilot study)
2.1.3.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2.1.4. 조사설계
2.1.5. 측정 및 척도
2.1.6. 표본추출
2.1.7. 설문지의 작성
2.1.8. 자료수집
2.1.9. 자료 처리 및 분석
2.1.10. 보고서 작성 등 일반화
제3장 SPSS의 기본적 기능
3.1. SPSS 개요
3.2. SPSS 주요 창
3.3. SPSS 메뉴의 구조
3.3.1. 파일(F)
3.3.2. 편집(E)
3.3.3. 보기(V)
3.3.4. 데이터(D)
3.3.5. 변환(T)
3.3.6. 분석(A)
3.3.7. 그래프(G)
3.3.8. 변수값 설명
제4장 데이터의 코딩
4.1. Excel을 이용한 데이터 코딩하기
4.2. SPSS를 이용한 데이터 코딩하기
제5장 통계분석을 위한 기초
5.1. 통계분석을 위한 기본 개념
5.1.1. 모집단과 표본
5.1.2. 중심극한정리(Central Limit Theorem)
5.1.3. 자유도
5.1.4. 최대허용오차 및 표본크기의 결정
5.1.5. 표본추출
5.1.6. 유의수준
5.2. 통계분석방법의 선택
5.2.1. 설문 문항의 속성 파악
5.2.2. 통계분석방법의 선택
제6장 자료의 특성에 대한 기술
6.1. 자료의 정리에 대한 이론적 접근
6.1.1. 도수분포(度數分布)와 도수분포표(度數分布表)
6.1.2. 도수분포도(度數分布圖)
6.2. 대표치(집중화 경향)에 대한 이론적 접근
6.2.1. 평균
6.2.2. 중앙값
6.2.3. 최빈값
6.2.4. 평균, 중앙값, 최빈값의 관계
6.3. 산포도에 대한 이론적 접근
6.3.1. 범위
6.3.2. 사분편차
6.3.3. 평균편차
6.3.4. 분산 및 표준편차
6.3.5. 변동계수
6.4. 비대칭도에 대한 이론적 접근
6.4.1. 왜도
6.4.2. 첨도
6.5. SPSS를 이용한 기술통계
6.5.1. SPSS를 이용한 빈도분석(F)
6.5.2. 보고서에서의 빈도분석 결과 표현
6.5.3. SPSS를 이용한 기술통계(D)
6.5.4. 보고서에서의 기술통계 결과 표현
6.5.5. SPSS를 이용한 데이터 탐색(E)
6.5.6. 보고서에서의 데이터 탐색 결과 표현
6.5.7. 보고서에서의 리커트 척도 결과 제시
제7장 추정과 가설검증
7.1. 추정(Estimation)에 대한 이론적 접근
7.1.1. 모수의 점추정
7.1.2. 모수의 구간추정
7.1.3. 두 모수의 차에 대한 구간추정
7.2. 가설검증에 대한 이론적 접근
7.2.1. 가설의 개념
7.2.2. 가설검증의 유형
7.2.3. 가설검증의 절차
제8장 교차분석의 이해
8.1. 교차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
8.2. SPSS를 이용한 교차분석
8.2.1. SPSS를 이용한 교차분석
8.2.2. 보고서에서의 교차분석 결과 표현
제9장 T검증의 이해
9.1. 모평균 검증에 대한 이론적 접근
9.1.1. 모분산을 아는 경우
9.1.2. 모분산을 모르는 경우
9.2. SPSS를 이용한 모평균에 대한 검증
9.2.1. SPSS에서의 일표본 T 검증
9.2.2. 보고서에서의 일표본 T 검증 결과 표현
9.3. 두 모평균 차이 검증에 대한 이론적 접근
9.3.1. 모분산을 아는 경우
9.3.2. 모분산을 모르는 경우
9.4. SPSS를 이용한 두 모평균의 차에 대한 검증
9.4.1. SPSS를 이용한 독립표본 T 검증
9.4.2. 보고서에서의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표현
9.5. 사전·사후 평균 차이 검증에 대한 이론적 접근
9.5.1. 모분산을 아는 경우
9.5.2. 모분산을 모르는 경우
9.6. SPSS를 이용한 사전 평균과 사후 평균에 대한 검증
9.6.1. SPSS를 이용한 대응표본 T 검증
9.6.2. 보고서에서의 대응표본 T 검증 결과 표현
제10장 분산분석의 이해
10.1. 일원분산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
10.2. 이원분산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
10.2.1. 반복측정이 없는 경우
10.2.2. 반복측정이 있는 경우
10.3. SPSS를 이용한 세 집단 이상의 평균 차이 검증
10.3.1. SPSS를 이용한 일원분산분석
10.3.2. 보고서에서의 일원분산분석 결과 표현
10.3.3. SPSS를 이용한 이원분산분석
10.3.4. 보고서에서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표현
제11장 상관분석의 이해
11.1. 상관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
11.1.1. 산점도
11.1.2. 상관계수
11.2. SPSS를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11.2.1. SPSS를 이용한 피어슨 상관분석
11.2.2. 보고서에서의 상관분석 결과 표현
제12장 회귀분석의 이해
12.1. 회귀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
12.1.1. 단순회귀분석
12.1.2. 다중회귀분석
12.1.3. 더미변수 이용 회귀분석
12.1.4. 로지스틱 회귀분석
12.2. SPSS를 이용한 회귀분석
12.2.1. SPSS를 이용한 단순회귀분석
12.2.2. 보고서에서의 단순회귀분석 결과 표현
12.2.3. SPSS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
12.2.4. 보고서에서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표현
12.2.5. SPSS를 이용한 더미변수 이용 회귀분석
12.2.6. 보고서에서의 더미변수 이용 회귀분석 결과 표현
12.2.7. SPSS를 이용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2.2.8. 보고서에서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표현
12.3. 회귀분석의 응용
12.3.1. SPSS를 이용한 매개변수 검증
12.3.2. SPSS를 이용한 조절변수 검증
제13장 비모수적 검증의 이해
13.1. 비모수적 검증에 대한 이론적 접근
13.1.1. 1개의 표본(종속변수)인 경우
13.1.2. 독립변수가 2개의 응답범주인 경우
13.1.3. 대응된 2개의 표본인 경우
13.1.4. 독립변수가 k개의 응답범주인 경우
13.2. SPSS를 이용한 비모수적 검증
13.2.1. 1개의 표본(종속변수)인 경우
13.2.2. 독립변수가 2개의 응답범주인 경우
13.2.3. 대응된 2개의 표본인 경우
13.2.4. 독립변수가 k개의 응답범주인 경우
13.2.5. 보고서에서의 비모수적 검증 결과 표현
제14장 다중응답 분석의 이해
14.1. 다중응답의 유형
14.1.1. SPSS를 이용한 다중응답의 코딩
14.2. 다중응답 빈도분석
14.2.1. SPSS를 이용한 다중응답 빈도분석
14.2.2. 보고서에서의 다중응답 빈도분석 결과 표현
14.3. 다중응답 교차분석
14.3.1. SPSS를 이용한 다중응답 교차분석
14.3.2. 보고서에서의 다중응답 교차분석 결과 표현
제15장 측정도구의 검토
15.1. 신뢰도의 검토
15.1.1. SPSS를 이용한 신뢰도분석
15.1.2. 보고서에서의 신뢰도분석 결과 표현
15.2. 구성개념 타당도의 검토
15.2.1. SPSS를 이용한 요인분석
15.2.2. 보고서에서의 요인분석 결과 표현
부 록
각종 분포표
1.1. 일상생활 속의 통계
1.2. 통계학의 역사
제2장 조사방법론의 이해
2.1. 조사연구의 절차
2.1.1. 연구문제의 설정
2.1.2. 예비조사(pilot study)
2.1.3.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2.1.4. 조사설계
2.1.5. 측정 및 척도
2.1.6. 표본추출
2.1.7. 설문지의 작성
2.1.8. 자료수집
2.1.9. 자료 처리 및 분석
2.1.10. 보고서 작성 등 일반화
제3장 SPSS의 기본적 기능
3.1. SPSS 개요
3.2. SPSS 주요 창
3.3. SPSS 메뉴의 구조
3.3.1. 파일(F)
3.3.2. 편집(E)
3.3.3. 보기(V)
3.3.4. 데이터(D)
3.3.5. 변환(T)
3.3.6. 분석(A)
3.3.7. 그래프(G)
3.3.8. 변수값 설명
제4장 데이터의 코딩
4.1. Excel을 이용한 데이터 코딩하기
4.2. SPSS를 이용한 데이터 코딩하기
제5장 통계분석을 위한 기초
5.1. 통계분석을 위한 기본 개념
5.1.1. 모집단과 표본
5.1.2. 중심극한정리(Central Limit Theorem)
5.1.3. 자유도
5.1.4. 최대허용오차 및 표본크기의 결정
5.1.5. 표본추출
5.1.6. 유의수준
5.2. 통계분석방법의 선택
5.2.1. 설문 문항의 속성 파악
5.2.2. 통계분석방법의 선택
제6장 자료의 특성에 대한 기술
6.1. 자료의 정리에 대한 이론적 접근
6.1.1. 도수분포(度數分布)와 도수분포표(度數分布表)
6.1.2. 도수분포도(度數分布圖)
6.2. 대표치(집중화 경향)에 대한 이론적 접근
6.2.1. 평균
6.2.2. 중앙값
6.2.3. 최빈값
6.2.4. 평균, 중앙값, 최빈값의 관계
6.3. 산포도에 대한 이론적 접근
6.3.1. 범위
6.3.2. 사분편차
6.3.3. 평균편차
6.3.4. 분산 및 표준편차
6.3.5. 변동계수
6.4. 비대칭도에 대한 이론적 접근
6.4.1. 왜도
6.4.2. 첨도
6.5. SPSS를 이용한 기술통계
6.5.1. SPSS를 이용한 빈도분석(F)
6.5.2. 보고서에서의 빈도분석 결과 표현
6.5.3. SPSS를 이용한 기술통계(D)
6.5.4. 보고서에서의 기술통계 결과 표현
6.5.5. SPSS를 이용한 데이터 탐색(E)
6.5.6. 보고서에서의 데이터 탐색 결과 표현
6.5.7. 보고서에서의 리커트 척도 결과 제시
제7장 추정과 가설검증
7.1. 추정(Estimation)에 대한 이론적 접근
7.1.1. 모수의 점추정
7.1.2. 모수의 구간추정
7.1.3. 두 모수의 차에 대한 구간추정
7.2. 가설검증에 대한 이론적 접근
7.2.1. 가설의 개념
7.2.2. 가설검증의 유형
7.2.3. 가설검증의 절차
제8장 교차분석의 이해
8.1. 교차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
8.2. SPSS를 이용한 교차분석
8.2.1. SPSS를 이용한 교차분석
8.2.2. 보고서에서의 교차분석 결과 표현
제9장 T검증의 이해
9.1. 모평균 검증에 대한 이론적 접근
9.1.1. 모분산을 아는 경우
9.1.2. 모분산을 모르는 경우
9.2. SPSS를 이용한 모평균에 대한 검증
9.2.1. SPSS에서의 일표본 T 검증
9.2.2. 보고서에서의 일표본 T 검증 결과 표현
9.3. 두 모평균 차이 검증에 대한 이론적 접근
9.3.1. 모분산을 아는 경우
9.3.2. 모분산을 모르는 경우
9.4. SPSS를 이용한 두 모평균의 차에 대한 검증
9.4.1. SPSS를 이용한 독립표본 T 검증
9.4.2. 보고서에서의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표현
9.5. 사전·사후 평균 차이 검증에 대한 이론적 접근
9.5.1. 모분산을 아는 경우
9.5.2. 모분산을 모르는 경우
9.6. SPSS를 이용한 사전 평균과 사후 평균에 대한 검증
9.6.1. SPSS를 이용한 대응표본 T 검증
9.6.2. 보고서에서의 대응표본 T 검증 결과 표현
제10장 분산분석의 이해
10.1. 일원분산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
10.2. 이원분산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
10.2.1. 반복측정이 없는 경우
10.2.2. 반복측정이 있는 경우
10.3. SPSS를 이용한 세 집단 이상의 평균 차이 검증
10.3.1. SPSS를 이용한 일원분산분석
10.3.2. 보고서에서의 일원분산분석 결과 표현
10.3.3. SPSS를 이용한 이원분산분석
10.3.4. 보고서에서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표현
제11장 상관분석의 이해
11.1. 상관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
11.1.1. 산점도
11.1.2. 상관계수
11.2. SPSS를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11.2.1. SPSS를 이용한 피어슨 상관분석
11.2.2. 보고서에서의 상관분석 결과 표현
제12장 회귀분석의 이해
12.1. 회귀분석에 대한 이론적 접근
12.1.1. 단순회귀분석
12.1.2. 다중회귀분석
12.1.3. 더미변수 이용 회귀분석
12.1.4. 로지스틱 회귀분석
12.2. SPSS를 이용한 회귀분석
12.2.1. SPSS를 이용한 단순회귀분석
12.2.2. 보고서에서의 단순회귀분석 결과 표현
12.2.3. SPSS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
12.2.4. 보고서에서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표현
12.2.5. SPSS를 이용한 더미변수 이용 회귀분석
12.2.6. 보고서에서의 더미변수 이용 회귀분석 결과 표현
12.2.7. SPSS를 이용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2.2.8. 보고서에서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표현
12.3. 회귀분석의 응용
12.3.1. SPSS를 이용한 매개변수 검증
12.3.2. SPSS를 이용한 조절변수 검증
제13장 비모수적 검증의 이해
13.1. 비모수적 검증에 대한 이론적 접근
13.1.1. 1개의 표본(종속변수)인 경우
13.1.2. 독립변수가 2개의 응답범주인 경우
13.1.3. 대응된 2개의 표본인 경우
13.1.4. 독립변수가 k개의 응답범주인 경우
13.2. SPSS를 이용한 비모수적 검증
13.2.1. 1개의 표본(종속변수)인 경우
13.2.2. 독립변수가 2개의 응답범주인 경우
13.2.3. 대응된 2개의 표본인 경우
13.2.4. 독립변수가 k개의 응답범주인 경우
13.2.5. 보고서에서의 비모수적 검증 결과 표현
제14장 다중응답 분석의 이해
14.1. 다중응답의 유형
14.1.1. SPSS를 이용한 다중응답의 코딩
14.2. 다중응답 빈도분석
14.2.1. SPSS를 이용한 다중응답 빈도분석
14.2.2. 보고서에서의 다중응답 빈도분석 결과 표현
14.3. 다중응답 교차분석
14.3.1. SPSS를 이용한 다중응답 교차분석
14.3.2. 보고서에서의 다중응답 교차분석 결과 표현
제15장 측정도구의 검토
15.1. 신뢰도의 검토
15.1.1. SPSS를 이용한 신뢰도분석
15.1.2. 보고서에서의 신뢰도분석 결과 표현
15.2. 구성개념 타당도의 검토
15.2.1. SPSS를 이용한 요인분석
15.2.2. 보고서에서의 요인분석 결과 표현
부 록
각종 분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