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종교와 기독교적 관점을 배우는 유익
우리가 사람을 평가할 때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서 같은 사람일지라도 그 평가는 확연히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한국 현대사에 있어서 논란의 대상 가운데 하나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인권의 관점,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평가한다면 대단히 부정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도덕적 · 윤리적인 면에서 보더라도 그렇게 좋은 점수를 주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라보면 가난에 시달리던 이 나라를 오늘과 같은 번영의 길로 이끌었던 사실은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이처럼 똑같은 사람도 보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 평가들이 나옵니다.
의롭다고 판단하는 기준도 사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동일한 사람, 동일한 사건을 놓고도 어떤 사람은 불의하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의롭다고 합니다. 판단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는 안중근 의사(義士)를 민족의 영웅으로 추앙(推仰)하지만 일본 사람들은 폭도라고 합니다. 안중근 의사의 총에 맞아 죽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우리는 이 나라를 짓밟은 침략의 원흉이라고 하지만, 일본 사람들은 근대일본의 아버지요, 선각자로 존경합니다. 이런 시각차는 자기 관점에서 자기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알아야 하는 사실 하나는, 사람은 모두 자기 중심적인 존재로 세상에 태어난다는 사실입니다. 사람이 아무리 사랑을 말하고 상대에 대한 배려를 말해도 그것은 자기 입장에서, 자기 관점을 갖고, 자기 기준대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세상을 움직이는 힘은 이기주의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내 주관대로만 생각하고 행동하면 사랑과 정의를 힘주어 말해도 그곳에는 갈등과 분열이라는 날카로운 칼날만 존재할 뿐 공존과 평화는 멀어질 것입니다. <오만과 편견>이라는 영화에 이런 대사가 나옵니다. “편견은 내가 다른 사람을 사랑하지 못하게 하고 오만은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지 못하게 한다.” 이 말처럼 자기 중심적인 사고는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소외시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자기 중심적 사고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항상 올바른 관점을 유지하면서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그러한 노력이 자기 중심적 삶에서 가치 중심적인 삶(종교에서는 신 중심적 삶이라 함)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하는 것입니다.
종교를 갖는다는 것은 내가 선택한 종교라는 안경을 쓰고 세상을 해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내가 신실한 불교신자라면 불경이라는 관점에서 인간과 세상을 해석할 것이고, 기독교 신자라면 성경이라는 안경을 쓰고 세상을 바라보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종교의 관점은 비슷한 부분이 많습니다. 탐욕과 이기적인 마음을 내려놓고 사랑과 자비의 마음으로 이타적이고 헌신적인 삶을 살도록 교훈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종교적 관점을 갖게 되면 내 주관적이고, 이기적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자기 중심성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또 다른 차원의 관점을 확보하게 될 것 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종교는 우리의 인생항로를 바르게 안내하는 마음의 나침반과 같습니다.
이 책의 목적은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가 가르치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세상을 폭 넓게 바라보고 해석하여 객관적인 관점을 갖고 살아가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입니다. 건강한 사람은 다양한 관점을 갖고 세상을 넓게 바라보는 사람입니다. 다양한 관점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만이 자기 중심적인 폐쇄성에서 벗어나 열린 마음을 갖고, 서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품격 있고 영성이 깊은 조화로운 삶, 공생하는 삶을 살아가는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관점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이 건강한 사람입니다.
김헌환 목사
CHAPTER 01 마음의 정원 가꾸기 13
1. 마음의 고통이 가장 견디기 힘든 고통입니다 14
2. 마음의 고통이 인생을 어렵게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4
3. 마음은 ‘에너지를 만드는 엔진’과 같습니다 15
4. 마음(생각)의 두 가지 특징 16
5. 내적인 성숙이 곧 행복입니다 17
6.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마음을 잘 가꾸는 것인데 마음은 정원과 같기 때문입니다 18
7. 마음의 정원을 잘 가꾸지 못하는 것은 세 가지 이유 때문입니다 18
8. 가장 위대한 성취는 마음의 변화와 영혼이 성숙해 가는 것입니다 20
9. 정원처럼 예쁜 마음을 가꾸기 위해 필요한 것 20
10. 마음관리는 행복의 비결입니다(누가복음 17:21) 22
11. 자기 마음을 다스리는 사람이 진정 자신을 다스릴 수 있습니다 24
12. 정리 25
CHAPTER 02 두 가지 삶의 자세 29
1. 홀로 자립하는 삶 30
2. 더불어 공생(共生)하는 삶 33
3. 정리 38
CHAPTER 03 종교와 기독교 이해를 위한 두 가지 주제(1)- 과학적 관점의 이해 41
1. 생각해보기- 보는 것과 믿는 것의 차이 41
2. 과학의 발전이 가지고 온 세계관의 변화 43
3. 과학주의에 대한 회의 44
4. 과학주의란 무엇인가? 44
5. 과학주의와 종교와의 갈등 45
6. 과학주의에 대한 질문들 46
7. 과학적 사고방식에 대한 관점 정리 49
CHAPTER 04 종교와 기독교 이해를 위한 두 가지 주제(2) -종교와 기독교적 관점의 이해 53
1. 창조주 하나님을 증명할 수 있는가? 53
2. 하나님이 계시다면 왜 우리가 알 수 있도록 나타나지 않는가? 54
3. 창조론과 진화론은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양립할 수 있는가? 과학과 종교는 대립되는가 아니면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하는가? 55
4. 영혼은 있는가? 죽음 이후에 천국이 있는가? 종말은 오는가? 57
5. 성경은 정말 하나님의 말씀인가? 그 근거는 무엇인가? 59
6. 기독교에만 구원이 있는가? 60
7. 기독교와 타 종교를 어떻게 볼 것인가? 61
8. 사랑의 하나님이라면 이 땅에 고통과 불행이 있으며, 악인들이 있는 이유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63
CHAPTER 05 과학적 관점과 종교적 관점 69
1. 믿고 싶어도 믿어지지 않는 현대인 69
2. 과학의 시대에도 없어지지 않는 종교 70
3. 사람들이 종교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렵다 71
4. 과학자들의 종교관 72
5. 현대인들이 종교를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유 73
6. 과학적 사고와 신앙적 사고의 구분 74
7. 종교와 과학을 이야기 할 때 기억해야 할 것 75
8. 종교에 대한 비판들 76
CHAPTER 06 인간의 마음 안에서 발견되는 하나님 81
CHAPTER 07 자연과 우주 안에서 발견되는 하나님 89
1. 생각해 보기 95
CHAPTER 08 기독교란 어떤 종교인가? 99
1. 기독교를 복음(福音, εὐαγγέλιον, good news)이라고 불렀습니다. 99
2. 인류 최대의 뉴스 100
3. 왜 기독교가 복음이 되는가? 102
CHAPTER 09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인가? 105
1.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 105
2.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서 하신 구체적인 일 106
3. 하나님의 성품 두 가지- 사랑의 하나님, 공의의 하나님 107
4. 예수님을 통해서 이루신 하나님의 두 가지 성품 107
5. 왜 예수 그리스도가 복음이 되는가? 109
6. 생각해 보기 111
CHAPTER 10 이 세상에서 가장 기쁜 소식 115
1. 서론- 종교의 필요성 및 종교의 역할 115
2. 본론- 이 세상에서 가장 기쁜 소식 117
3. 결 론 127
4. 생각해 보기 128
CHAPTER 11 기독교의 독특성 133
1. 기독교의 하나님과 타 종교의 하나님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133
2. 구원의 확신과 두 종류의 믿음 137
CHAPTER 12 믿음이란 무엇인가? 143
1. 기독교의 하나님과 타 종교의 하나님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143
CHAPTER 13 한 눈으로 이해하기(전체요약) 153
1. 인간 이해 153
2. 종교를 갖는다는 의미 153
3. 건강한 사람이란? 154
4. 종교를 갖기 어려운 이유 154
5. 과학적 관점의 이해 155
6. 과학과 종교가 사물을 보는 관점의 차이 155
7. 종교와 과학을 이야기 할 때 기억해야 할 것 156
8. 과학주의 유익과 한계 157
9. 진화론과 창조론 158
10. 영혼은 존재하는가? 158
11.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가? 159
12. 종교에 대한 이해 160
13. 두 종류의 종교 161
14. 기독교의 이해 162
15. 마음의 정원 가꾸기 165
16. 두 가지 삶의 자세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