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보육학개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영유아보육은 단순히 부모의 양육을 벗어나 국가적, 사회적 의무로 변화하였으며, 보육환경에 대한 질적 향상과 면밀한 평가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평가지표 또한 보육시설 및 보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세밀해지고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보육 분야가 보육학의 전체적 역사적 흐름 안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해 왔는가를 알아보는 것과 함께 가능한 한 최신의 정보와 자료수집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보육학개론은 영유아보육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학문적으로 분석한 이론과 실천적인 내용을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영유아의 보육뿐만 아니라 교육, 복지, 가족복지 등 보육이 필요한 학문적 영역에서 보육의 이론과 실제 부분을 포괄적으로 포함시켰다.

  이 책에서는 표준보육과정 및 새롭게 바뀐 누리과정과 평가제 및 최근의 변화에 맞춘 보육방법, 새로운 보육과정을 제시하였으며,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천적 방법론을 포함하였다.

 

제1장 보육의 기초적 이해 8
   1. 보육의 개념 및 중요성 9
   2. 현대 영유아보육의 특성 15

제2장 보육의 역사와 영유아관 22
   1. 서양의 영유아 보육사와 영유아관 22
   2. 우리나라의 영유아 보육사상 31

제3장 영유아 발달과 보육 40
   1. 발달의 기초 40
   2. 영유아 발달과 보육 63

제4장 보육의 제도와 정책의 이해 76
   1. 영유아보육법의 이해 76
   2. 보육정책의 이해 82
   3. 보육행정 89
   4. 보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100

제5장 보육과정 108
   1. 보육과정의 개념 108
   2. 0~2세 표준보육과정 112
   3. 3~5세 누리과정 125
   4. 보육과정의 계획 및 운영 130

제6장 어린이집 운영관리 142
   1. 어린이집 운영관리의 이해 142
   2. 어린이집 운영관리의 실제 152

제7장 보육교직원 198
   1. 보육교직원의 개념과 유형 198
   2. 보육교직원의 자격 및 보수교육 213
   3. 보육교직원의 역할과 자질 229

제8장 어린이집과 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250
   1. 부모와의 연계 250
   2. 지역사회와의 연계 265

제9장 보육평가 274
   1. 보육평가의 개념과 의의 274
   2. 보육평가의 목적 및 필요성 278
   3. 대상별 평가 280
   4. 평가결과의 활용 306

제10장 어린이집 평가제 310
   1. 어린이집 평가제 도입 310
   2. 어린이집 평가제 주요 내용 313
   3. 어린이집 평가제 지표와 평가기준 317

▪ 참고문헌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