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지역사회복지론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이 책은 전 지구화가 가속화하고 가상공동체가 실재를 대체하는 작금의 현실에서 지역사회가 왜 여전히 중요하고 유의성을 가지며 또 그럴 수밖에 없는지에 대한 일말의 해답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 제작되었다. 이 책을 완독한 독자들은 현대인이 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는지, 지역사회는 어떻게 그리고 어떠한 메커니즘을 거쳐 일상의 삶을 결정짓는 네트워크와 거버넌스의 제일전선으로 기능하는지에 관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얻게 될 것이다. 이러한 아이디어들은 오늘날 지역사회가 당면한 다양한 문제와 욕구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적 과정 및 과업에 관한 이해를 제고하고 실천역량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부분에서 현재 지역사회복지를 공부하고 실천하는 사회복지사들 그리고 앞으로 사회복지사가 되려는 학생들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쓰여졌다.
  상기 저술 의도에 바탕을 두고 저자들은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이 책의 구성을 크게 네 꼭지로 나누어 내용을 담았다. 첫 번째 꼭지에서는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실천에 관한 개념을 정의하였고 지역사회복지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두 번째 꼭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실천에 적용 가능한 이론과 모형을 검토하였고 전문적 실천의 과정을 단계별로 기술하였다. 세 번째 꼭지에서는 지역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다양한 방법론을 사정, 자원개발, 주민조직화, 복지네트워크, 복지계획, 사례관리 그리고 옹호, 집합행동, 임파워먼트 등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꼭지에서는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른 지역사회복지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과제를 점검하였다.

 

PART 01 지역사회복지 개관

CHAPTER 01 지역사회복지 개요 10
   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10

CHAPTER 02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실천 25
   1. 지역사회의 개념 25
   2. 지역사회복지실천 37

CHAPTER 03 지역사회복지 역사 40
   1.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40
   2.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45
   3.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51
   4.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57

PART 02 지역사회복지실천 원리

CHAPTER 04 지역사회복지실천 이론 72
   1. 기능주의 72
   2. 갈등주의 75
   3. 체계이론 77
   4. 인간생태이론 81
   5. 기타 이론 85

CHAPTER 05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89
   1. 지역사회복지실천 89
   2.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93
   3.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의 선택 108

CHAPTER 06 지역사회복지실천 과정 110
   1. 지역사회 사정 110
   2. 계획 수립 119
   3. 실 행 133
   4. 평가 및 종료 136

PART 03 지역사회복지실천 방법

CHAPTER 07 사정 – 지역사회 욕구조사와 자원조사 142
   1. 사정의 개요 142
   2. 욕구조사 145
   3. 사정 기법 153

CHAPTER 08 자원개발 – 지역사회 시민교육과 모금 168
   1. 인적 자원 개발하기 : 지역사회 시민교육 169
   2. 물적 자원 개발하기 : 모금 193

CHAPTER 09 주민조직화 200
   1. 주민조직의 개념 200
   2. 주민조직의 활용 206
   3. 주민조직 만들기의 단계별 과업 210
   4. 주민조직화사업의 성공 요인 224

CHAPTER 10 복지네트워크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28
   1.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개념과 특징 228
   2.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등장 배경과 유용성, 활성화 요인 233
   3.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실제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37

CHAPTER 11 복지계획 - 지역사회보장계획 261
   1. 지역사회복지 계획의 개념과 의의 261
   2. 지역사회복지 계획과 관련된 각국의 실태 264
   3. 지역사회복지 계획의 필요성, 목표, 원칙 266

CHAPTER 12 사례관리 294
   1. 사례관리의 개념 295
   2. 사례관리의 목적 298
   3. 사례관리의 등장 배경 300
   4. 사례관리의 구성 요소 303

CHAPTER 13 옹호, 집단행동, 임파워먼트 329
   1. 옹 호 330
   2. 집단행동 345
   3. 임파워먼트 355

PART 04 결 론

CHAPTER 14 지역사회복지 방향과 과제 368
   1. 장소 기반 지역사회의 중요성 368
   2. 사회정의와 인권 관점의 적용 372
   3. 사회통합 실현을 위한 노력 378
   4. 참여 가치의 전승 385
   5. 코로나-19 이후 지역사회복지의 변화 389

참고문헌 395
▪찾아보기 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