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청소년 인권과 참여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이 책은 우리 모두가 인간(human beings)이기 때문에 삶에서 경험하고 행하며 가지고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인권(human rights)’을 규정하면서 첫 챕터를 시작하고 ‘적극적 관점(positive perspective)’에서의 청소년개발(youth development)과 시민참여(civic engagement)의 함의를 알아보는 것이 청소년업무(youth work)의 주요한 과제가 되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마지막 챕터를 맺고 있다. 따라서 인권의 개념(제1장)에서부터 청소년인권의 범주와 유형(제4장)에 대해 소개한 후, 참여의 개념(제5장)에서 청소년참여의 이론적 모형(제8장)까지를 고찰하는 것으로 개념적 기초를 제시하였다. 이어서 청소년인권과 청소년참여의 상보적(相互補完的) 실제를 인권조례(제9장), 디지털환경(제10장), 참여정책과 활동(제11장), 참여적 인권과 참여권(제12장)의 네 개 챕터를 중심으로 알아보면서, 앞으로의 과제와 관련한 내용으로 인권교육(제13장), 인권지표(제14장) 및 시민청소년운동(제15장)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앞서 언급한 ‘적극적 관점’은 청소년에 대한 인권적 관점의 접근과 인권과 관련한 제반 사회현상의 이해, 그리고 청소년참여가 전제하는 주체적․능동적 인식 등이 모두 청소년에 대한 긍정적·진취적 관점과 그 실천적 노력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하여 사용한 것이다. 적극적 관점이란 소극적 관점이나 부정적 관점 등에 대한 대응개념이기도 하지만, 기존의 제반 관점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갖는 것으로 용어화한 것이다. 청소년분야에 이미 존재하였으나 보다 큰 목소리가 될 필요가 있는 주제와 접근들에 관한 이론적·실천적 노력들을 하나로 모은 접근이라 할 수 있다.

 

PART 01 청소년인권의 개념적 토대

CHAPTER 01 인권의 개념과 청소년인권 13
   1. 인권의 정의 14
   2. 인권의 특성 19
   3. 인권의 용어와 권리영역 23
   4. 청소년인권의 개념과 특성 36

CHAPTER 02 인권규범의 역사와 청소년인권의 발전 44
   1. 인권 형성의 근대적 배경 46
   2. 국제인권규범의 대두 52
   3. 청소년인권의 국제적 발전 59
   4. 우리나라 청소년인권의 발전과정 70

CHAPTER 03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청소년기 적용 77
   1.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규범성 78
   2.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주요 내용 82
   3. 청소년기에 대한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기본 인식 93
   4. 청소년기 성숙의 중요성과 당사국의 책임과 의무 101

CHAPTER 04 청소년인권의 범주와 유형 105
   1. 청소년인권의 영역구성 106
   2. 청소년인권의 범주와 4대 영역 108
   3.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청소년기 적용에 따른 권리영역 118
   4. 청소년기 인권 내용의 확장 134

PART 02 청소년참여의 이론적 기초

CHAPTER 05 청소년참여의 개념 143
   1. 청소년참여의 발전 143
   2. 청소년참여의 개념 147
   3. 청소년참여의 유사개념 159
   4. 청소년참여의 개념적 관점 164

CHAPTER 06 청소년참여의 의미와 효과 172
   1. 청소년참여의 목적과 중요성 172
   2. 청소년참여의 의미와 기능 179
   3. 청소년참여의 가치와 이점 187
   4. 청소년참여의 효과와 오해 200

CHAPTER 07 청소년참여의 영역과 청소년의 역할 210
   1. 청소년참여 영역의 이해 210
   2. 청소년참여의 주요 영역 212
   3. 청소년참여의 유형과 형태 217
   4. 청소년활동참여와 청소년의 역할 228

CHAPTER 08 청소년참여의 이론적 모형 237
   1. 단계적 계층화 모형 237
   2. 비계층적 연속형 모델 249
   3. 청소년참여 유형의 비판적 논의 258
   4. 청소년참여의 대안 모형 264

PART 03 인권과 참여의 상보적 실제

CHAPTER 09 학생인권과 인권조례 273
   1. 학교와 학생인권의 대두 273
   2. 학생인권의 내용 279
   3. 학생인권 관련 논의 283
   4. 학생인권조례와 청소년인권조례 292

CHAPTER 10 디지털환경과 청소년인권 303
   1. 디지털환경의 개념과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 304
   2. 디지털환경과 청소년인권의 관계 307
   3. 디지털환경 청소년인권의 주요 내용 310
   4. COVID-19와 디지털 청소년인권 325

CHAPTER 11 청소년참여정책과 참여활동의 동향 330
   1. 청소년참여의 정책제도화 330
   2. 청소년참여활동과 참여기구 333
   3. 청소년우대제도 342
   4. 선거권 논의와 청소년참여의 최근 동향 348

CHAPTER 12 참여적 인권과 청소년참여권 359
   1. 청소년인권과 참여적 인권 359
   2. 참여권의 범주와 청소년참여권 365
   3. 청소년참여권에 대한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입장 375
   4. 청소년참여권의 과제 386

PART 04 청소년인권과 청소년참여의 과제

CHAPTER 13 청소년인권교육의 내용과 방법 391
   1. 청소년인권교육의 의미 391
   2. 인권교육 논의의 동향과 특징 400
   3. 청소년인권교육의 내용과 방법 405
   4. 청소년인권교육과 실천의 과제 415

CHAPTER 14 청소년인권지표의 개발과 적용 422
   1. 인권지표의 개념적 이해 423
   2. 청소년인권지표개발의 국제동향 426
   3. 한국의 청소년인권지표 개발 동향 439
   4. 청소년인권지표 개발 동향의 함의 445

CHAPTER 15 청소년참여와 시민청소년운동의 함의 449
   1. 청소년참여와 청소년운동의 의미 449
   2. 시민청소년운동의 개념적 이해 452
   3. 시민청소년운동의 특성과 참여적 맥락 456
   4. 시민청소년운동의 청소년업무(Youth Work)에의 함의 461

■참고문헌 469
■찾아보기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