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실천론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사회복지실천론은 대학 사회복지교육에 있어서는 이론서로서, 사회복지실천 현  장에서는 업무 지침서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동시에 사회복지실천론은 이론과 실제를 함께 다루어야 하며 상호간에 보완적인 관계에 있어야 한다. 이에 사회복지실천이론들은 항상 현장에서의 실천을 전제로 하며, 현장 실천을 통해서 검증되어진 지식들을 근거로 새로운 지식체계를 구성하고 이론을 발전시켜 가야 한다. 그리고 현장에서의 실천은 이론적 근거를 가졌을 때 정당성을 가지며 과학성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은 그러한 관점에서 초판을 발행한 이후 대학과 현장으로부터 그러한 의도가 잘 전달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 왔으나 일부에서는 이 책이 다소 난해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 책이 출판된 지 5년이 지나면서 이론과 실천 양면에서 새로운 지식체계와, 실천 장면들이 대두하게 되었다. 이에 기존의 초판 내용들을 수정하고 보완해야할 필요성이 생겨났다. 
  이에 이 책은 기존의 일부 내용들을 삭제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내용들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첫째, 전체적인 목차와 구조는 그대로 유지하였다.
  둘째,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과 가치 부분에 있어서 일정부분 삭제하고 수정하였으며 최근에 제시되고 있는 자료들을 보완하였다.
  셋째, 사회복지실천관계론에서 일정부분의 내용을 보완하였다. 
  넷째,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기존의 논의틀과 내용들을 상당부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입부분에서 기존의 접근방식에서 직접적인 개입과 간접적인 개입으로 바꾸어 분류하고 개입하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개인과 가족은 별도로 다루었다.
 

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관

   1절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목적 및 기능 18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18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기능 22

     3.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와 지식체계 28

     4.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과 범주 32

   2절 사회복지실천의 관점과 준거틀 34

     1.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34

     2. 사회복지실천의 준거틀 40

 

2장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절 미국 사회복지실천의 발달 48

     1. 1920년 이전의 시기 50

     2. 1921~1930 57

     3. 1931~1945 59

     4. 1946~1960 62

     5. 1961~1975 64

     6. 1976~1990 68

     7. 1991년 이후 70

   2절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발달 73

     1. 일제시대의 사회복지실천 74

     2. 1946년 이후의 사회복지실천 78

 

3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절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88

     1. 사회복지실천과 가치 88

     2.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가치갈등 91

   2절 사회복지실천윤리와 딜레마 93

     1. 클라이언트 권리와 고지된 동의 93

     2. 비밀보장 95

     3. 법률, 정책 및 기관규정 등에 관한 사안 98

     4. 폭 로 99

     5. 한정된 자원의 분배 100

   3절 윤리적 딜레마의 대처방안 100

     1. 윤리적 원칙들의 순위 100

     2. 자기인식을 통한 개인적 및 전문적 가치의 확립 102

   4절 비윤리적 사안들 103

     1. 클라이언트의 의존 104

     2. 조 종 104

     3. 이중관계 105

   5절 사회복지사협회의 윤리강령 105

     1. 미국사회복지사협회의 윤리강령 105

     2.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윤리강령 107

 

4장 사회복지실천관계론

   1절 원조관계의 정의와 특성

     1. 원조관계의 기반 114

     2. 원조관계의 개념과 특성 116

     3. 원조관계에 대한 제 견해 119

   2절 원조관계의 전문적 지침 120

   3절 원조관계의 원리 121

   4절 원조관계의 발전과 유지과정 128

   5절 원조관계 확립의 장애 129

 

5장 사회복지실천 면접

   1절 면접의 정의와 목적 136

   2절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특성 137

   3절 면접의 구조 138

   4절 면접을 위한 준비 140

   5절 면접의 형태 141

     1. 정보 수집 혹은 사회조사 면접 141

     2. 진단 · 결정적 면접 142

     3. 치료적 면접 142

   6절 면접의 장소 143

   7절 면접의 기술 145

     1. 관심의 표현 145

     2. 명료화와 해석 145

     3. 요 약 146

     4. 질 문 146

     5. 허용과 일반화 148

     6. 면접내용의 변화 149

     7. 재초점화 149

     8. 면접에서의 경청과 관찰 149

     9. 면접에서의 침묵 150

     10. 면접에서의 감정이입 150

   8절 면접과정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책임 151

 

6장 사회복지실천과정

   1절 초기 단계 157

     1. 접 수 157

     2. 자료의 수집 160

     3. 사 정 167

     4. 목표의 설정 212

     5. 계 약 220

     6. 초기 단계에서의 정보처리기술 225

     7. 초기 단계에서의 사회복지사의 활동 229

   2절 개입 단계 237

     1. 개입의 분류체계 238

     2. 직접적 개입 243

     3. 간접적 개입 266

   3절 평가와 종결 단계 292

     1. 평 가 292

     2. 종 결 299

   4절 가족에 대한 원조 328

   5절 집단에 대한 원조 347

 

7장 사회복지실천의 제 모델

   1절 심리사회적 모델 374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374

     2. 기본 가정 및 주요 개념 378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379

   2절 기능주의 모델 386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386

     2. 기본 가정 및 주요 개념 389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391

   3절 문제해결 모델 395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396

     2. 기본 가정 및 주요 개념 397

     3.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400

   4절 위기개입 모델 403

     1. 역사적 기원 및 배경 404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들 406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409

   5절 인지행동 모델 413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배경 414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 418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421

   6절 임파워먼트 모델 425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배경 427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들 428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431

   7절 인간중심 모델 434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배경 435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 436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443

   8절 현실치료 모델 444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배경 446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 447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456

   9절 사례관리 457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458

    2. 기본 가정 및 주요 개념 460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468

   10절 생활 모델

     1. 역사적 기원 및 발달 배경 476

     2. 기본 가정 및 주요 원칙들 477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482

 

8장 예방적 사회복지실천

     1. 예방적 사회복지실천의 개관 498

     2. 예방적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이론 501

     3. 예방적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사정과 개입 504

 

참고문헌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