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마을복지계획 수립 매뉴얼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마을복지계획은 주민이 주도성을 갖고 마을의 복지문제를 예방하거나 해결함으로써 마을공동체 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지교육 및 복지학습을 통하여 주민의 주체성을 키우고, 주체의식을 가진 주민들이 마을복지계획을 수립⋅실천하므로 마을공동체를 완성해 나가자는 것이다.
  이제까지의 복지는 주민을 수단화해 왔다. 주민을 단순한 자원봉사자나 기부자로 여겨 온 것이 사실이다. 마을복지계획에서도 주민이 자원봉사활동이나 기부활동을 할 수 있지만, 이런 활동을 언제,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왜 하는지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주체성을 가진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주민이 주도권을 갖게 되면, 계획 수립과 실천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이는 주민자치로 나아가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이제까지 수동적인 활동을 해 온 주민이 한 번의 마을복지계획 수립과 실천으로 갑자기 주도적인 활동가로 바뀌기는 쉽지 않다. 주변 환경이 이를 쉽게 용납하지도 않을 것이다. 따라서 마을복지계획은 수립된 사업의 적정성 못지않게 수립 과정에서의 충실성, 수립에 관련된 사람들 간의 협력성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런 노력은 주민의 주도성을 키우는 핵심적인 방안이기 때문이다.
  이 매뉴얼에서는 그동안 (협)한국지역복지아카데미 조합원들이 여러 읍면동에서 마을복지계획을 수립한 경험을 바탕으로 주민주도성을 키우면서 마을복지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전국 3,500여 개의 읍면동은 나름의 특색을 가지고 있으므로 융통성을 갖고 활용하기 바란다.

 

제 1 부 마을복지계획 개요

제1장 마을복지계획 개요 10
   1. 마을복지계획의 이해 10
   2. 마을복지계획의 수립과정 16
   3. 매뉴얼 개발의 의미 19

제 2 부 마을복지계획 수립 매뉴얼

제2장 마을복지계획 수립의 준비단계 22
   1. 사전모임 및 기획 22
   2. 복지교육 32
   3. 마을복지계획 수립 추진단 구성 및 주민간담회 준비 35

제3장 마을복지계획 수립의 실행단계 38
   1. 주민 간 관계 형성하기 39
   2. 마을 이해하기 48
   3. 마을의 문제 찾기 53
   4. 마을문제 유형화 및 우선순위 선정하기 64
   5. 마을문제 원인과 대안 찾기 71
   6. 사업계획(초안) 작성 및 마을 비전 만들기 79
   7. 마을복지계획 완성하기 88

제4장 마을복지계획의 공유단계 94
   1. 공유행사 준비 94
   2. 공유행사 진행 100

 

제 3 부 마을복지계획의 과제

제5장 마을복지계획의 과제 102
   1. 마을복지계획의 과제 102
   2. 마을복지계획 전문가 양성 107

▣ 부록 110
▣ 참고문헌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