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한국의 다문화사회 형성은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사회를 경험한 국가들에 비해 진행된 시간이 짧으며 다문화사회 형성 배경도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도 지역사회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사회통합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가치와 문화를 가진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함께 살아가는 공존의 사회는 일상의 삶이 이루어지는 지역사회 공간을 통해 형성될 때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지역사회의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다문화사회 사회통합은 무엇보다 선주민의 다문화사회 이해와 협조가 전제되어야 한다. 함께 살아가는 사회는 기존의 문화와 가치를 지속해 온 선주민이 이주민과 상호성을 가지고 변화시켜 나가야 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려는 노력 없이는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문화사회 형성 초창기 한국사회는 이주민의 사회적응을 통해 사회통합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한국의 다문화정책에 점차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교육부가 2007년 공교육 과정에서 다문화이해를 범교과적 주제로 포함시키는 등 사회 전체의 변화를 요청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다문화사회 이해가 사회 저변의 다양한 부문의 시민사회교육의 영역으로 확장되어 가는 데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해 보이며, 함께 살아가야 할 한국사회의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 진행해 온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들 역시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Chapter 01 다문화사회 형성과 다문화사회 이주 개념 이해
1. 다문화 이주현상의 개념 13
2. 해외의 이주이론 16
3. 국내의 이주이론 및 다문화공간의 형성과 변천 23
Chapter 02 다문화 생활세계와 이주민의 정체성
1. 다문화 생활세계 개념 35
2. 다문화사회와 문화적응 41
3. 이주민 정체성 시도 및 협상 51
Chapter 03 다문화사회 사회통합과 인권의 이해
1. 인권의 보편적 권리와 개념 63
2. 국내 체류 외국인의 인권 현황 68
3. 이주민 인권과 다문화사회정책 76
Chapter 04 사회통합과 사회통합정책 이론
1.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의 개념 89
2. 사회통합정책 이론 94
3. 국내의 사회통합정책 101
Chapter 05 해외 사회통합정책의 사례 파악 및 국내 사회통합정책과의 비교 : 북미
1. 미국의 사회통합정책 119
2. 캐나다의 사회통합정책 126
Chapter 06 해외 사회통합정책의 사례 파악 및 국내 사회통합정책과의 비교 : 유럽
1. 영국의 사회통합정책 137
2.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142
3. 프랑스의 사회통합정책 146
Chapter 07 해외 사회통합정책의 사례 파악 및 국내 사회통합정책과의 비교 : 아시아
1. 중국의 사회통합정책 157
2. 일본의 사회통합정책 162
3. 베트남의 사회통합정책 168
Chapter 08 다문화사회와 거버넌스의 상관관계
1. 거버넌스의 정의와 개념 177
2. 다문화사회의 거버넌스 유형 181
3. 지역사회 거버넌스의 필요성 189
Chapter 09 사회통합과 지역거버넌스의 연관성
1. 지역거버넌스의 모델 197
2. 지역거버넌스를 위한 주체별 역할 200
3. 지역거버넌스 구축 사례 204
Chapter 10 외국 인력의 사회통합과 지역사회 거버넌스
1. 외국 인력의 고용 실태 213
2. 외국 인력의 지원정책과 사회통합 개념 218
3. 외국 인력의 지역사회통합 사례 224
Chapter 11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통합과 지역사회 거버넌스
1. 결혼이주여성의 실태 및 현황 235
2. 결혼이주여성의 지원정책과 사회통합의 연관성 238
3.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와 사회통합 사례 243
Chapter 12 다문화가정 사회통합과 지역사회 거버넌스
1. 다문화가정 자녀의 현황과 특성 253
2.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적 삶의 개념 256
3.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역사회와 사회통합 사례 261
Chapter 13 한국이주자 지역사회와 사회통합의 방향과 과제
1.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이해 269
2. 다문화사회 사회통합을 위한 미래 방향과 과제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