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놀이를 중심으로 한 유아 중심의 누리과정 운영을 교사지원과 더불어 강조하고 있으며,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또한 영유아 중심과 놀이중심으로 개정되었다. 이는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따라 분절적인 지식이 아닌 영유아 스스로가 주도하는 놀이를 통한 통합적 배움을 강조하는 것으로 본 서에서는 이러한 점에 중점을 두고 개정하였다. 이와 같은 놀이 중심이라는 유아교육의 전통에 대한 확장적 사고와 더불어 보육의 사회적 필요성과 의식전환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본 「영유아교육개론 제3판」은 대학에서 처음으로 유아교육을 접하게 되는 학생들에게 유아교육에 대한 시야를 넓힐 뿐 아니라 보육과의 통합을 고려한 하나의 지침서가 되도록 고려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의 일환으로 시작된 3~5세 공통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시행과 더불어 2014년 8월 정부와 국회 내에서 논의된 유보통합 진행과 앞으로의 추진절차를 소개하고 바람직한 유보통합의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2019 개정누리과정과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서 강조되는 교육과정의 방향과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HAPTER 01 유아교육의 개념 및 의의 11
1. 유아에 대한 개념 13
2. 유아교육에 대한 개념 17
3. 유아교육의 특성 24
1) 유아교육의 중요성 24
2)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유아교육의 방향 27
4. 유아교육기관 32
1) 유치원 32
2) 어린이집 34
CHAPTER02 보육의 이론적 기초 41
1. 보육의 개념 43
2. 보육의 필요성 46
1) 영유아의 권리 46
2) 취업모의 증가 47
3)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 48
4) 가족 구조 및 형태의 다양화 49
5) 발달적 측면 49
3. 보육 패러다임의 변화 50
1) 보육의 사회화 51
2) 양성평등 53
3) 보편성과 공공성 55
4)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56
CHAPTER03 우리나라 유아교육 체제와 정책 61
1. 우리나라 유아교육제도의 역사 64
1) 유아교육제도의 변천 64
2) 보육제도의 변천 67
2. 유아교육과 보육의 근거법 72
1) 유아교육법 72
2) 영유아보육법 73
3) 유아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의 비교 73
4) 공교육과 공보육 75
3. 유보통합의 진행과정 79
1) 유보통합의 진행과정과 추진방안 79
2) 유보통합 추진과 0∼2세 영아 통합 84
CHAPTER04 유아교육사상 91
1. 유아교육사상의 변천 93
1) 고대~16세기 유아교육사상 93
2) 17~18세기 유아교육사상 98
3) 19~20세기 유아교육사상 105
2. 아동중심교육 113
1) 아동중심교육 형성의 역사적 배경 113
2) 아동중심교육 개념의 이해 116
CHAPTER 05 영유아의 발달과 교사의 역할 125
1. 발달이론 127
1) 성숙주의 이론 127
2) 행동주의 이론 129
3) 구성주의 이론 130
4) 정신분석이론 136
5) 생태학적 이론 139
2. 영아기의 발달과 교육 141
1) 1세 미만 영아기 141
2) 걸음마기 영아 148
3. 유아기의 발달과 교육 160
1) 신체 · 운동발달 및 교육 160
2) 언어발달 및 교육 161
3) 사회성 발달 및 교육 163
4) 정서발달 및 교육 164
5) 인지발달 및 교육 166
CHAPTER 06 유아놀이지도 173
1. 놀이에 대한 이해 175
1) 놀이의 개념 및 특성 175
2) 놀이의 의의 178
2. 놀이발달 183
1) 인지적 놀이 발달 184
2) 사회적 놀이 발달 210
3) 놀이와 유아발달 214
3. 놀이에서의 성인 개입과 놀이훈련 219
1) 놀이와 성인 개입 219
2) 놀이훈련 219
CHAPTER 07 우리나라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225
1. 유치원 교육과정 227
2. 표준보육과정 232
1) 표준보육과정의 변천 232
2)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235
3. 3~5세 누리과정 245
1)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정 특성 246
2) 누리과정의 성격 247
3) 누리과정의 구성방향 248
4) 누리과정의 운영 250
5) 누리과정의 영역별 목표와 내용 251
CHAPTER 08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257
1. 프로젝트 접근법 260
1) 개 요 260
2) 프로젝트의 계획과 실행 261
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264
1) 개 요 264
2) 교수방법 및 교육과정 265
3) 기록화 267
4) 부모와 지역사회 연계, 디지털 기록화 269
5) 물리적 환경과 인적자원 271
6) 한국적 상황으로의 적용 272
3. 다중지능 접근법 273
1) 개 요 273
2) 개별 지능 영역과 연합 274
3) 교수방법 및 내용 277
4) 교수방법 적용의 실제 280
5) 프로젝트 스펙트럼 평가 283
4. 발현적 ICT 교육과정 284
1) ICT 교육과정의 필요성 284
2) ICT 교육과정 285
3) 발현적 ICT 교육과정 286
4) 교수방법 및 교육내용 287
5. 생태교육과정 291
6. 발도르프 유아교육 프로그램 294
7. 홀리스틱 통합교육과정 297
CHAPTER 09 영유아 교육환경 303
1. 영유아를 위한 교육환경 305
1) 영유아를 위한 실내 교육환경 305
2) 영유아를 위한 실외 교육환경 322
2. 교육인력 325
1) 교육 종사자의 자질과 역할 326
2) 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방안 336
CHAPTER 10 부모와 지역사회 연계 345
1. 부모와의 협력 347
1) 부모협력의 필요성 347
2) 부모와의 협력을 위한 실제 349
2. 지역사회와의 연계 356
1) 지역사회 연계의 필요성 356
2) 지역사회 협력의 실제 356
3. 포괄적 관점의 부모 · 가족 서비스 지원 359
1) 포괄적 보육서비스의 개념 359
2) 포괄적 보육서비스의 실제 361
CHAPTER 11 영유아와 평가 365
1. 영유아에 대한 평가 367
1) 관 찰 368
2) 부모와의 면담 373
3) 표준화 검사 374
4) 수행평가 376
5) 포트폴리오 평가 381
6) 개인 내 평가, 다중지능평가 382
7) 기록화와 디지털 기록화 383
2. 유치원 평가 386
3. 영유아 보육과정 평가 389
1) 보육과정 평가의 개념 및 목적 389
2) 보육과정 구성 요소에 대한 평가 390
3) 보육의 질 평가 391
4. 어린이집 평가제 396
1) 평가인증제의 필요성 및 목적 396
2) 어린이집 평가제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