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다문화상담 역량은 향후 한국상담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강조될 것이며, 이 영역에 대한 상담자 교육이 증가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 사회와 상담자들이 다문화상담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결혼이주여성과 그 여성을 구성원으로 하는 가족의 증가일 것이다. 하지만 다문화상담에서 다문화는 결혼이주로 인한 다민족화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 책은 다문화를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담관계에 가지고 오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으로 해석한다. 그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는 나이와 세대의 영향, 장애, 종교, 민족, 사회경제적 지위, 성적 경향, 토착 문화, 국적, 성 등이 있다. 내담자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상담자가 자신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책을 읽는 내내 인지적 혼란과 의문, 정서적 불편감, 그리고 상담자 역할의 버거움이 느껴질 수도 있다. 그렇다면 책의 내용을 성찰하고 있는 것이다. 다문화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지만, 상담자는 내담자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하여 그리고 온전히 돕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자신과 내담자의 문화적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그동안 전문가라는 지위는 추구하지만, 내담자를 상담과정의 중심에 두는 것을 잊고 있지는 않았나 반성해 본다. 책을 다 쓰고 보니 ‘살아내기’라는 주제가 가장 크게 다가온다. 아마도 인간은 삶이라는 실존을 살아내는 존재가 아닌가 싶다.
제1부 다문화상담에 대한 이해
제1장 상담에 나타나는 문화적 영향 9
1. ADDRESSING 모델 9
2. ADDRESSING 모델 활용하기 22
3. 문화적으로 민감한 상담자 되기 25
제2장 상담자의 문화적 자기 평가 31
1. 자신의 문화 유산 조사하기 31
2. 특권과 문화가 상담활동에 미치는 영향 37
3. 가 치 41
제3장 내담자의 정체성 이해하기 48
1. 정체성의 복잡성 48
2. 내담자의 정체성 이해하기 55
3.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호작용 64
제4장 의미 있는 관계 맺기 68
1. 상담관계 맺기 68
2. 다양한 의사소통 유형 74
3. 비언어적 의사소통 77
4. 상담자의 자기 개방 81
제2부 다문화상담의 실제
제5장 문화적으로 적절한 평가 87
1. 정보 수집 87
2. 통역사와 함께 상담하기 95
3. 외상장애 평가 99
4. 강점과 자원찾기 104
제6장 문화적으로 적절한 심리검사 108
1. 검사 오차 줄이기 108
2. 지능검사 재고하기 111
3. 객관적 성격검사 115
4. 수행기반 성격검사 120
제7장 문화적으로 적절한 상담계획 124
1. 상담계획 124
2. 문화적으로 적절한 상담계획 130
3. 내담자의 관점 수용하기 134
제8장 문화적으로 적절한 상담 138
1. 집단상담 138
2. 가족상담 142
3. 부부상담 147
4. 표현예술치료 151
제3부 소수문화 내담자에 대한 이해
제9장 난민에 대한 이해 157
1. 난민에 대한 이해 157
2. 난민의 주요경험 165
제10장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이해 177
1. 결혼이주 현상에 대한 이해 177
2. 결혼이주여성의 경험 184
3. 결혼이주여성의 대처 전략 192
제11장 장애인에 대한 이해 198
1. 장애에 대한 이해 198
2. 신체장애 206
3. 정신장애 212
4. 장애인 가족에 대한 이해 219
제12장 나이와 세대에 대한 이해 226
1. 나이와 세대에 대한 이해 226
2. 나이와 세대로 인한 갈등 243
▪참고문헌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