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복지서비스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활동으로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여 발전해 온 사회복지행정은 복지대상자들의 새로운 욕구를 만족시켜야 하고 사회복지정책을 책임성 있게 전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조직에서의 행정은 새로운 관리지식과 기법을 도입하여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 효율성, 책임성 등을 확보해 나가는 것이 주요한 과제이다.
이에 이번 개정판은 기존의 내용을 대부분 유지하고 일부 내용을 수정⋅보완하면서 새로운 사회복지 환경변화에 따른 내용의 보강으로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과 평가’, ‘사회복지행정의 전망과 과제’를 추가하여 총 14장으로 구성하였으며, 부록에는 현장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복지프로그램 공모 예시 등을 수록하였다.
사회복지행정 교과목은 사회복지사 2급 자격 취득 및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의 필수 교과목으로 사회복지행정을 학습하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기술하고자 노력하였으나 미흡한 점이 많음을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해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
제1장 사회복지행정의 기초
제1절 사회복지조직의 특수성 12
제2절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14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14
2. 사회복지행정의 특성 16
3.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18
4. 사회복지행정의 가치 20
5. 일반행정과의 비교 22
제3절 사회복지행정의 기능 25
제2장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제1절 외국의 사회복지행정 32
1. 영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32
2.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51
제2절 한국의 사회복지행정 66
1. 정부수립 이전 시기: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대 66
2. 제1⋅2공화국 69
3. 제3⋅4공화국 70
4. 제5공화국 72
5. 제6공화국 이후 73
제3장 사회복지조직의 이론
제1절 조직의 개념 84
제2절 고전적 이론 87
1. 과학적 관리론 87
2. 관료제 이론 89
3. 인간관계이론 92
4. 체계이론 96
5. 상황이론 99
6. 정치경제이론 101
제3절 현대적 이론 103
1. 목표관리 103
2. 총체적 품질관리 107
3. 애드호크라시 이론 109
4. 학습조직이론 111
5. 벤치마킹 113
6. 기타 현대조직이론 114
제4장 사회복지조직의 구조와 유형
제1절 사회복지조직의 구조 122
1. 사회복지조직구조의 개념 122
2. 사회복지조직의 구성요소 123
3.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화 원리 125
제2절 사회복지조직의 유형 130
1. 공식성에 따른 조직 유형 130
2. 계층성에 따른 조직 유형 132
3. 의사결정에 따른 조직 유형 133
4. 의사결정의 권한에 따른 조직 유형 134
5. 권력형태와 관여(복종)에 따른 조직 유형 135
6. 클라이언트의 유형에 따른 조직 유형 136
7. 업무의 통제성에 따른 조직 유형 136
8. 클라이언트 상태와 조직기술에 따른 조직 유형 137
9. 조직 구조에 따른 조직 유형 139
제5장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과 문화
제1절 사회복지조직의 환경 148
1. 일반환경 150
2. 과업환경 152
제2절 사회복지조직의 문화 155
1. 조직문화의 개념 155
2.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159
3. 조직문화의 유형 164
4. 조직문화의 개발과 관리 176
5. 사회복지 조직문화에 대한 함의 177
제6장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제1절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182
1.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념 182
2.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분석 차원 183
3.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원칙 184
4.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전략 187
제2절 공적 전달체계 191
1. 공공전달체계의 유형 191
2. 공적전달체계의 주체 192
3. 공공전달체계의 문제점 197
제3절 사적(민간) 전달체계 199
1. 사적 전달체계의 필요성 199
2. 사적 전달체계의 주체 201
제7장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의 개념 210
1. 리더십의 개념 210
2. 리더십의 필요성 211
제2절 리더십의 이론 213
1. 특성이론 213
2. 행동이론 214
3. 상황이론 217
4. 최근 리더십 이론 223
제3절 리더십의 유형 228
제4절 리더십의 수준 230
제8장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
제1절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236
제2절 인적자원관리의 과정 238
1. 채 용 238
2. 직원(능력)개발 240
3. 직원의 유지 및 관리 247
제3절 동기부여 254
1. 동기부여(Motivation)의 개념 254
2. 동기부여의 이론 254
제9장 사회복지조직의 재정자원관리
제1절 재정관리 266
1. 재정관리의 개념 266
2. 사회복지조직의 재정관리 267
제2절 예 산 274
1. 예산의 수립 274
2. 예산의 집행 291
3. 결 산 295
제3절 회계 및 회계감사 298
1. 회 계 298
2. 회계감사 300
제10장 사회복지조직의 정보관리
제1절 정보관리 306
1. 정보관리의 개념 306
2. 정보관리의 필요성 306
3. 사회복지조직에서 요구되는 정보 308
제2절 정보관리시스템 309
1. 정보관리시스템의 개념 309
2. 정보관리시스템의 필요성 309
3. 정보관리시스템의 유형 310
제3절 사회복지조직의 정보관리시스템 314
1. 사회보장정보시스템 314
2.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318
제11장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과 홍보
제1절 마케팅 324
1. 마케팅의 개념과 핵심요소 324
2. 사회복지조직 마케팅 328
제2절 홍 보 343
1. 홍보의 개념 343
2. 홍보의 기능 및 원칙 344
제12장 사회복지조직의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제1절 기획과 의사결정 350
1. 기 획 350
2. 의사결정 360
제2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366
1. 사회복지 프로그램과 개발의 개념 366
2.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정 367
제3절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380
1.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개념 380
2.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기준 381
3.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382
제13장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과 평가
제1절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 390
1. 사회복지조직 책임성의 개념 390
2. 사회복지조직 책임성의 법적 근거 391
3. 사회복지조직 책임성의 주체 392
4. 사회복지조직 책임성의 특성 393
5. 사회복지조직 책임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394
6. 사회복지조직 책임성의 관리 396
제2절 사회복지조직의 평가 398
1. 사회복지평가 398
2. 사회복지시설 평가 407
제14장 사회복지행정의 전망과 과제
제1절 사회복지행정의 전망 416
1. 사회복지행정 환경의 변화 416
2. 사회복지행정의 전망 419
제2절 사회복지행정의 과제 423
1. 사회복지행정의 과제 423
2. 사회복지전문직의 과제 424
부 록
부록 1. 2021년 솔⋅직 챌린지 공고문 431
부록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표준신청서 양식 437
참고문헌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