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유아교사의 꿈을 위해 공부하는 학생들은 누구나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최적의 활동이 놀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유아의 놀이지도를 위해서는 “무엇인가 특별한 경험을 만들어 제시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해 부담과 두려움을 갖곤 한다. 유아를 위한 놀이는 ‘교사가 만들어 제시해 주는 것’이기보다는 유아의 흥미에 기초하여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 가는 즐겁고 가치 있는 경험이어야 한다. 따라서 유아교사는 특별한 놀이활동의 레퍼토리와 지도기술을 갖춘 놀이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다. 유아를 잘 이해하고,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를 지원하며, 교수-학습의 목표와 내용에 적합한 놀이를 계획하고 전개해 갈 수 있다면 충분한 자격을 갖추는 셈이 되는 것이다.
유아에게 있어 “놀이는 곧 학습”이라는 신념은 질 높은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있어 하루일과 중 많은 부분이 유아 주도적 놀이로 진행됨을 볼 때 더욱 확고해진다. 놀이를 통한 교육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신념과 실제 지도 능력을 키워주는 일은 중요하며 그 시작은 학부수준에서의 놀이지도 과목의 충실한 운영일 것이다.
저자들은 유아놀이지도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연구한 학자들은 아니다. 다만, 유아교육을 하는 사람으로서 대학에서 오랜 기간 놀이지도 과목을 강의했거나 유아교육기관의 원장이나 교사로서 유아를 가르치고 함께 성장하면서 유아교육에서의 놀이의 중요성을 더욱 확신하게 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우리 자신을 포함해서 학생들과 함께 놀이지도 과목을 즐겁고 알차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전에 유아놀이지도 저서를 출판한 바 있었으며, 이제 11년이 지나 새롭게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CHAPTER 01 놀이의 개념 및 특성 15
1│놀이의 개념 17
1) 놀이와 탐색 18
2) 놀이와 비놀이 19
3) 놀이와 일 20
2│놀이의 특성 23
1) 비실제성(Non-reality) 23
2) 내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23
3) 과정 지향성(Process Orientation) 24
4) 자유로운 선택(Free Choice) 24
5) 긍정적 정서(Positive Affect) 25
CHAPTER 02 놀이이론 27
1│고전적 놀이이론 29
1) 잉여에너지이론 30
2) 휴식이론 30
3) 반복이론 31
4) 연습이론 32
2┃현대적 놀이이론 33
1) 정신분석이론 33
2) 인지이론 34
3) 각성조절이론 41
4) 상위의사소통이론 42
CHAPTER 03 놀이와 발달 45
1│놀이와 유아의 발달 47
1) 놀이와 유아의 신체발달 47
2) 놀이와 유아의 정서발달 48
3) 놀이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 48
4) 놀이와 유아의 인지발달 53
5) 놀이와 유아의 언어발달 53
6) 놀이와 유아의 창의성 발달 54
2│유아의 놀이발달 56
1) 유아의 연령별 놀이발달 57
CHAPTER 04 유아놀이를 위한 놀잇감 67
1│놀잇감의 개념 69
2│놀잇감의 유형 70
1) 모형 놀잇감 70
2) 구성 놀잇감 71
3) 교육용 놀잇감 74
4) 대근육 놀잇감 75
5) 실물 놀잇감 76
6) 전자 놀잇감 76
3│놀잇감의 선택기준 77
1) 기능적 조건 77
2) 교육적 조건 79
4│영유아의 연령에 따른 발달에 적합한 놀잇감 80
1) 출생~12개월 80
2) 1세(13개월~24개월) 83
3) 2세 85
4) 3세 87
5) 4세 90
6) 5세 93
CHAPTER 05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지도 방법 97
1│놀이지도 시 일반적인 교사의 역할 99
1) 놀이 계획자의 역할 100
2) 놀이 환경조성자의 역할 100
3) 놀이 관찰자의 역할 101
4) 놀이 상호작용자의 역할 101
5) 놀이 감독자의 역할 102
6) 놀이 평가자의 역할 102
2│자유놀이 지도 시 교사의 놀이개입 상황과 유형 103
1) 교사의 놀이개입 상황 103
2) 교사의 개입유형 106
3│집단 활동으로서의 놀이 지도방법 : 집단게임을 중심으로 109
1) 게임의 교육적 가치 110
2) 집단게임의 계획 111
3) 집단게임의 지도방법 114
4) 집단게임 실시 후 교사의 평가 122
CHAPTER 06 자유놀이 시간의 운영 125
1│자유놀이 시간의 개념 및 교육적 의의 128
1) 자유놀이 시간의 개념 129
2) 자유놀이 시간의 교육적 의의 129
2│자유놀이를 위한 실내·외 흥미영역의 구성 131
1) 흥미영역의 장점과 구성 원리 131
2) 실내 흥미영역의 구성 137
3) 유아를 위한 실외 흥미영역 구성을 위한 고려점 156
4) 실외 흥미영역의 구성 160
3│자유놀이 시간의 운영 168
1) 자유놀이 시간의 계획 168
2) 자유놀이의 실행 169
3) 자유놀이의 평가 174
4│자유놀이에서의 흥미영역별 교사의 역할 175
1) 쌓기놀이영역에서의 교사의 역할 175
2) 역할놀이영역에서의 교사의 역할 176
3) 언어영역에서의 교사의 역할 176
4) 미술영역에서의 교사의 역할 177
5) 수·조작영역에서의 교사의 역할 178
6) 과학영역에서의 교사의 역할 179
7) 음률영역에서의 교사의 역할 180
CHAPTER 07 놀이관찰 중심의 유아 평가 185
1│놀이관찰 중심 유아 평가의 의의 187
2│놀이관찰 중심 평가의 방법 188
1) 일화기록 189
2) 평정척도 192
3) 작업표본 분석 193
4) 면담 197
5) 사진 198
6) 학습활동 기록지 200
7) 검사 201
8) 유아의 자기평가 206
CHAPTER 08 전통놀이 209
1│전통놀이의 개념과 교육적 가치 211
2│전통놀이의 종류 213
1) 영아를 위한 전통놀이 213
2)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 218
PART 2 놀이지도의 실제
CHAPTER 09 주제에 따른 영역별 자유놀이의 실제 235
1│유아의 영역별 자유놀이의 실제 237
1) 쌓기놀이영역 238
2) 역할놀이영역 250
3) 수ㆍ조작영역 264
4) 과학영역 273
5) 미술영역 289
6) 언어영역 301
7) 음률영역 312
2│영아의 자유놀이 실제 322
1) 출생 ~ 1세 놀이활동 322
2) 만 2세 놀이활동 343
CHAPTER 10 유아 게임활동의 실제 367
1│3세 유아를 위한 게임활동 369
1) 3세 놀이발달 369
2) 3세 게임활동 실제 370
2│4세 유아를 위한 게임활동 411
1) 4세 놀이발달 411
2) 4세 게임활동 실제 411
3│5세 유아를 위한 게임활동 452
1) 5세 놀이발달 452
2) 5세 게임활동 실제 453
● 참고문헌 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