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보육학개론 [제2판]

보육의 첫 번째 입문서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보육교사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하여 1년에서 4년까지의 교육과정을 통해 보육교사가 되기 위한 지식과 교수·학습 기술을 습득하고 자신만의 바람직한 교사관을 만들어 간다. 보육교사가 되기 위한 긴 여정에서 만나는 첫 번째 교과목이 <보육학개론>이다. 아마 대부분의 학교에서 첫 학기 과목으로 편성되어 있을 것이다.
  보건복지부와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시한 표준교과 개요에서 <보육학개론>은 보육전문가로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보육에 대한 전반적이고 개괄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보육입문과목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보육에 첫 발을 디디면서 보육의 중요성과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고 앞으로 학습하게 될 교과목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과목이다. 그래서 <보육학개론>은 보육의 개념과 철학, 보육제도 전반에 대한 이해, 영유아 발달과 보육경험, 교사의 역할과 자질,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내용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 매우 방대한 범위이지만 각각의 내용은 다른 교과목에서 개별적으로 깊이 다룰 것이므로 기본적이면서 필수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이 책의 구성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준교과 개요에서 제시한 모든 내용을 담았으며 13장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보육학개론>은 3학점 15주간의 수업을 하는 과목이므로 한 학기 동안 중간 또는 기말 평가, 발표, 견학 등이 이루어질 것을 예상하여 13주간의 이론 수업을 염두에 두었다. 각 장의 내용은 3시간 동안 한 주간에 진행할 것으로 생각하여 교재 내용의 경중을 조절하였다.
  보육에 대한 국가 기준을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돕기 위하여 영유아보육법 및 관련 법령의 준거를 명시하였다. 보육사업안내, 어린이집 평가매뉴얼의 내용을 필요한 부분에 최대한 반영하였으며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최근 개정 내용을 근간으로 저술하였다.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육아정책연구소 등 정부기관의 홈페이지에 게시된 정책자료와 연구보고서도 이 책의 구성에 크게 일조하였다.
  다른 교재에 비해 보육의 철학적 배경과 역사에 대한 부분에 정성을 들였다. 보육교사는 사회복지 분야이면서도 교직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데 유치원교사와는 달리 교직과목을 이수하지 않으므로 최대한 보육 분야의 인문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을 담았다. 보육이 인간교육에 대한 철학적 관점, 사회변화에 따른 요구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공부의 시작점이 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학습자가 교수자의 지도 없이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서술하였다. 최근의 교육방식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플립드 러닝 방식의 교수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학습자가 수업 이전에 스스로 선행학습을 할 수 있도록 가독성 높게 서술하였다. 학습자가 사전 지식 없이도 교재를 읽고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서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설명하였고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각 페이지마다 참고내용을 첨가하고 최대한 사진과 동영상이나 관련 홈페이지 주소를 QR코드로 넣었다.
  각 장을 마무리하면서 학습내용과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였다. 최근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제중심학습(PBL : Problem Based Learning)에 대해 자주 언급한다. 학습자가 제시된 문제를 이해하고 분석한 후 자료수집을 통해 문제해결방법을 모색하게 함으로써 단순히 지식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역량을 길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장의 마무리에 제시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토의하고 발표하고 학습내용을 정리면서 타인과의 협력과 문제해결력, 창의성, 인지적 유연성을 경험하기를 기대한다.
  보육은 사람을 살리는 일이다. 한 생명이 귀하게 태어나 존중받으며 성장해서 남을 존중하는 사람이 되도록 하는 일이다. 그것이 너무나 중요한 일이라서 국가와 지방정부, 교육기관이 책무성을 갖춘 교사를 배출하고 교사가 그 일을 잘하도록 지원하고 성장을 돕고 때로 평가한다.
  보육은 사람이 하는 일이다. 보육의 목적과 목표는 한 사람의 노력을 통해 실현된다. 국가의 법과 정책, 행정적 절차, 재정을 공들여 조직한다 해도 보육교사 한사람이 그것을 이해하고 실천하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교사가 마음을 움직이고 말과 행동으로 옮겨서 그것을 영유아의 삶에 마땅한 모습으로 전달하였을 때 보육은 완성된다.
  보육의 첫 번째 입문서 <보육학개론>에 보육의 탄생과 현재 그리고 미래를 담아보려고 노력하였으며 보육의 문제점과 해결점을 탐색하도록 이끌어 보았다. 이 책을 처음 여는 여러분도 보육교사로 살아가려고 마음먹었으니 보육의 문을 열고 들어서는 첫 과목 <보육학개론>부터 단단히 마음먹고 제대로 전념하기를 바란다.

 

01장 보육의 개념과 필요성
   1. 보육의 개념 13
   2. 보육의 중요성 26

02장 보육의 철학적 배경
   1. 보육철학의 개념 37
   2. 보육철학의 기원 탐색 39

03장 보육의 유형
   1. 어린이집의 유형 65
   2. 어린이집 설치 73
   3. 어린이집 운영시간 77
   4. 어린이집 원아 구성 80

04장 보육경험과 영유아 발달
   1. 영유아 발달의 개념과 원리 85
   2. 연령별 영유아 발달 90
   3. 영유아 발달과 보육경험 100

 

05장 보육제도와 정책
   1. 외국 보육제도와 정책의 역사 121
   2. 우리나라 보육제도와 정책의 역사 128

06장 보육교직원의 자격
   1. 보육교직원의 특성 143
   2. 보육교직원의 자격요건 147
   3.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160
   4. 보육교직원의 임면 167

07장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질
   1. 보육교사의 역할 173
   2. 보육교사의 자질 180
   3. 보육교사 윤리강령 190

08장 어린이집과 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1. 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의 중요성 197
   2. 어린이집과 부모 협력의 방법 200
   3. 어린이집과 지역사회 협력의 방법 216

 

09장 보육과정
   1. 보육과정의 개념 223
   2. 표준보육과정의 개념 225
   3.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228
   4. 0~1세 영역별 목표 및 내용 237
   5. 2세 영역별 목표 및 내용 243
   6. 3~5세 영역별 목표 및 내용 249

10장 보육환경
   1. 실내 공간 구성 및 운영 257
   2. 실외 공간 구성 및 운영 273

11장 어린이집의 일과 운영
   1. 일과 운영의 원리 286
   2. 영유아를 존중하는 일과 운영 288

 

12장 건강·영양·안전 관리
   1. 건강관리 307
   2. 영양관리 314
   3. 안전관리 318
   4.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및 조치 330

13장 보육평가
   1. 보육평가의 목적과 방법 335
   2. 보육평가의 대상과 방법 339
   3. 어린이집 평가제 352

   참고문헌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