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2022년 봄...... 코로나는 아직도 끝이 보이지 않고 있네요.
그럼에도 삶은 계속되고 있고 코로나 베이비들은 날마다 쑥쑥 자라고 있습니다. 어떤 시절에도 꿈과 희망을 가질 수만 있다면 우리는 함께 꿋꿋하게 모든 것을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미래의 전망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도전을 시작한 선생님들의 용기를 그 어느 때보다 뜨겁게 응원합니다.
인생이 계획대로 되는 것이 아니라고들 하지만 인간은 꿈을 가지고 자신의 보다 나은 미래를 상상하며 그 상상을 현실로 만들려는 의지를 통해 진정한 자신이 됩니다. 또한 삶의 여정에는 많은 난관이 놓여 있다 해도 그런 난관들을 극복하며 우리는 강한 인간의 면모를 하나둘씩 갖춰 나가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여러분이 선택한 이 길을 통해 여러분들이 한 명의 선생으로 강하고 아름다운 자신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믿습니다.
임용 시험에 도전한다는 것은 강한 인내심과 자신에 대한 믿음을 필요로 하는 험난한 과정입니다. 하지만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꿈을 놓지 않고, 열정을 가지고 지혜롭게 이 길을 헤쳐 나가서 여러분이 원하는 교사로서의 꿈을 이루시기 바랍니다.
스스로 자신을 믿는 자만이 꿈을 이룰 수 있습니다!
자신을 믿고 목표 의식을 확고하게 다지면서 지혜롭게 공부에 전념하기를 바랍니다!
부디 내년 봄에는 사랑하는 유아들과 함께 햇살이 따스한 유치원 바깥 놀이터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내게 되기를 바랍니다!
부족하지만 임미선․박성희 팀을 믿고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선생님들의 믿음에 보답할 수 있도록 언제나 곁에서 함께 달려갈 것입니다. 공립 유치원 임용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교사들에게 건강과 지혜의 축복이 함께 하도록 늘 기도하겠습니다!
2022년 봄이 지나가는 길목에서 임미선·박성희 드림
이 책의 구성과 특징
“공부할 내용과 시험에 나올 내용을 ‘한눈에 쏙’ 보이게 정리해 준 자료가 있으면 참 좋겠다!”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생각입니다. 이 책은 바로 그런 수험생들의 바람에서 시작했습니다.
임용 시험의 출제 범위는 유아교육학 분야의 이론과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배경 이론 및 실제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공부를 해도 해도 끝이 안 보인다는 수험생마저 있을 정도이니까요. 그러나 아무리 범위가 넓다고 해도 한 권 정도로 추려진 내용을 중심으로 체계를 잡아가며 반복적으로 공부하다보면 효율적으로 시험에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눈에 쏙’은 바로 그런 역할을 하기 위해 집필된 수험서입니다.
‘한눈에 쏙 보이는 유아교육과정’은
첫째마당 유아교육개론 영역과 둘째마당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첫째마당 유아교육개론 영역에는 ⇨ 사상, 발달, 놀이, 부모 교육, 아동복지, 장애 통합, 유아교육론, 교사론 등을 담았습니다.
둘째마당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역에는 ⇨ 유아교육법 개요 및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총론과 놀이 이해 및 실행자료, 신체운동 ․ 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유아교육과정론, 평가, 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등을 수록했습니다.
‘한눈에 쏙 보이는 유아교육과정’은
각 영역별로 유아교육과에서 사용하는 각론서들을 망라하여 주요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가급적 한눈에 주요 내용들을 정리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표’를 사용하여 키워드를 중심으로 핵심 내용을 정선하였습니다.
무엇보다 ‘한눈에 쏙 보이는 유아교육과정’의 주요 기능은 ‘단권화’에 있습니다.
시험에 나올 수 있는 주요 내용들을 한 권으로 묶어 정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공부의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한눈에 쏙 보이는 유아교육과정’은 말 그대로 시험에 나올 내용들을 응축한 것이기 때문에 맥락이 없이 분절된 지식들을 담고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한눈에 쏙 보이는 유아교육과정’만으로 시험에 대비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따라서
수험서의 기본 교재나 교육과정 해설서, 학과에서 공부했던 각론서들을 꼼꼼하게 읽으며 공부하는 내용들을 연관 짓고 그 의미들을 이해하는 것은 오로지 수험생의 몫입니다. 또한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내용만이 아닌 출제 경향 파악과 효과적인 문제풀이력을 병행해서 갖춰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부디 ‘한눈에 쏙 보이는 유아교육과정’을 기본으로 여러분이 살을 덧붙여 자신만의 멋진 서브노트를 만들어 가시기를 바랍니다.
무엇보다도“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을 간절한 마음으로 기원합니다!!”
첫째마당 유아교육개론
CHAPTER 01 유아교육 사상
Point 01. 고대의 유아교육 사상 22
Point 02. 중세의 유아교육 사상 23
Point 03. 근대의 교육 사조 23
Point 04. 코메니우스(J. A. Comenius, 1592~1670):근대 교육의 아버지 26
Point 05. 로크(J. Locke, 1632~1704) 28
Point 06. 루소(J. J. Rousseau, 1712~1778) 29
Point 07. 페스탈로치(J. H. Pestalozzi, 1746~1827) 31
Point 08. 프뢰벨(F. Froebel, 1782~1852) 33
Point 09. 오베르랑(J. F. Oberlin, 1740~1826):루터의 영향 35
Point 10. 오웬(R. Owen, 1771~1858):로크, 페스탈로치의 영향 35
Point 11. 몬테소리(M. Montessori, 1870~1952) 36
Point 12. 듀이(J. Dewey, 1859~1952) 39
Point 13. 프뢰벨․듀이․몬테소리 비교 42
Point 14. 진보주의(progressivism) 교육 사상 43
Point 15. 니일(Alexander Sutherland Neill, 1883~1973) 44
Point 16. 슈타이너(R. Steiner, 1861~1925) 45
Point 17. 실존주의와 부버의 교육 철학 49
Point 18. 전통 사회의 유아교육 사상 51
Point 19. 소파 방정환(1899~1931) 52
Point 20. 소파 방정환과 아동권리공약 54
CHAPTER 02 발달 심리
Point 01. 발달의 개념 55
Point 02. 유아기 발달 원리(NAEYC) 56
Point 03. 발달적․문화적 적합성(NAEYC) 57
Point 04. 아동의 발달에 대한 관점 58
Point 05. 발달 과업과 학습 준비도 59
Point 06. 게젤(A. Gesell, 1880~1961)의 성숙(maturation) 이론 60
Point 07. 프로이드(S. Freud, 1856~1939)의 정신분석 이론 62
Point 08. 에릭슨(E. Erikson, 1902~1994)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66
Point 09. 고전적 조건화와 스키너(B. F. Skinner, 1904~1990)의 행동 수정 이론 69
Point 10. 행동 수정 기법 72
Point 11. 반두라(Bandura)의 모방 학습 이론(사회적 학습 이론) 74
Point 12. 피아제(J. Piaget, 1896~1980)의 인지 발달 이론 76
Point 13. 전조작기 유아의 사고 특징 80
Point 14. 피아제(J. Piaget) 이론에 기초한 세 가지 지식의 유형 83
Point 15. 비고츠키(L. S. Vygotsky, 1896~1934)의 발달 이론 84
Point 16. Gallimore & Tharp의 근접 발달 영역에서의 4단계 발달 모형 (근접 발달 지대에서의 4단계 순환 모형) 86
Point 17. 발판(scaffolding)의 유형 87
Point 18. 피아제(Piaget) vs 비고츠키(Vygotsky) 88
Point 19. 가드너(H. Gardner, 1943~현재)의 다중 지능 이론 90
Point 20. 정보 처리 이론 92
Point 21. 기억의 유형 95
Point 22. 생태학 이론 96
Point 23. 매슬로우(A. Maslow, 1908~1970)의 욕구 위계설(hierarchy of needs) 99
Point 24. 로저스(C. R. Rogers, 1902~1987)의 인간 중심 이론 100
CHAPTER 04 부모 교육
Point 01. 드라이커스(Dreikurs) & 기노트(Ginott) & 고든(Gordon)의 부모 교육 이론 135
Point 02. 드라이커스(Dreikurs)의 민주적 부모 교육 이론 136
Point 03. 직접적 목표와 논리적 귀결 137
Point 04. 기노트(Ginott)의 인본주의 부모 교육 전략 139
Point 05. 고든(Gordon)의 부모 효율성 훈련 이론(P.E.T) 140
Point 06. 에릭 번(E. Berne)의 상호교류분석 이론(Transactional Analysis) 144
Point 07. STEP(효율적인 부모 역할 수행을 위한 체계적 훈련) 147
Point 08. 적극적인 부모 역할 훈련(APT : Active Parenting Training) 프로그램 148
Point 09. 가트맨(Gottmon)의 부모 양육 유형과 감정 코칭 5단계 151
Point 10. 가정 환경 및 양육 태도 152
Point 11. 부모 교육의 계획 및 실행 155
Point 12. 가정과의 협력을 위한 2019 개정 누리과정 관련 지침 157
Point 13. 부모 참여의 유형 160
Point 14. 부모 참여-부모 자원 봉사 162
Point 15. 부모 참여-부모 수업 참관 및 참여 163
Point 16. 부모 참여-의사결정자 164
Point 17. 부모 교육-통신 및 책자 165
Point 18. 부모 교육-강연회 166
Point 19. 부모 교육-토론회 및 좌담회 166
Point 20. 부모 면담 167
Point 21. 집단 면담 168
Point 22. 학부모와의 갈등 유형 및 해결 방안 168
Point 23. 유치원운영위원회 관련 「유아교육법」 조항 171
CHAPTER 05 아동복지
Point 01. 아동복지의 이념 정립 176
Point 02. 아동 권리에 관한 문서 177
Point 03. 유엔아동권리협약 178
Point 04. 아동복지의 관점 180
Point 05. 아동복지의 목적과 특징 181
Point 06. 아동복지의 원칙 181
Point 07. 아동복지 서비스의 유형 182
Point 08. 아동학대의 유형 184
Point 09. 아동학대의 원인과 예방 185
Point 10. 아동학대 신고의무 186
Point 11. 아동학대 조기 발견 및 무단결석 관리·대응 189
CHAPTER 06 장애 유아 통합 교육
Point 01. 통합 교육의 이해 193
Point 02. 통합 교육의 당위성 194
Point 03. 통합 교육의 운영 196
Point 04. 교육과정 수정 전략 197
Point 05. 협력 교수 198
Point 06. 장애 유형별 특성과 지도 방법 199
Point 07. 통합 학급에서의 놀이 지원-놀이실행자료 200
CHAPTER 07 유아교육론
Point 01. 아동관의 변화와 유아교육에 대한 관점 202
Point 02. 유아교육의 특성과 정의 204
Point 03. 유아교육의 중요성 205
Point 04. 현대 유아교육 동향 206
Point 05. 한국 유치원 교육의 발전 과정 207
Point 06.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212
Point 07. 사회 변화에 따른 한국 유아교육과정의 변화와 지향점 213
Point 08. 북한의 유아교육 215
CHAPTER 08 교사론
Point 01. 교직의 특성 216
Point 02. 교직관의 유형 216
Point 03. 유치원 교사의 자질 217
Point 04. 이론적 관점에 의한 유치원 교사의 역할 218
Point 05. 유치원 교사의 역할 219
Point 06. 유치원 교사의 역할 갈등 220
Point 07. 유치원 교사의 권리와 의무 221
Point 08.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법률적 규정 222
Point 09. 유치원 교사의 법적 지위 224
Point 10.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227
Point 11. 교원 능력 개발 평가 230
Point 12. 교사 효능감 233
Point 13. 교사 신념 235
Point 14. 실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 236
Point 15. 반성적 사고 237
Point 16. 유아 교사의 교직 윤리 240
Point 17. 유치원 교사 헌장과 윤리 강령 241
Point 18. 교사 발달 이론 243
Point 19. 자율 장학의 유형 249
Point 20. 자기 장학 250
Point 21. 사이버 장학 251
Point 22. 컨설팅 장학 252
Point 23. 수업 장학과 임상 장학 253
Point 24. 멘토링 254
Point 25. 동료 장학 255
Point 26. 수업 사례 분석 258
Point 27. 현장 연구 259
Point 28. 학습 공동체 260
Point 29. 놀이실행자료-협력자로서의 교사-동료 교원과 함께하기 261
Point 30. 유치원 조직 문화 및 직무 만족도 262
Point 31. 교수 몰입(teaching flow)과 소진(burn-out) 265
둘째마당 2019 개정 누리과정
CHAPTER 01 유아교육법 개요 및 총론
Point 01. 「교육기본법」 268
Point 02. 「유아교육법」 구조도 269
Point 03.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 272
Point 04. 교육과정별 연간 교육 일수 및 하루의 교육 시간, 교육과정 영역 비교 분석 (제1차~2007) 274
Point 05. 누리과정의 도입 및 시행 275
Point 06. 누리과정 개정 취지 277
Point 07. 누리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 278
Point 08. 개정 누리과정 총론의 구성 282
Point 09. 누리과정의 성격 284
Point 10. 누리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 286
Point 11. 누리과정의 목적과 목표 287
Point 12. 누리과정의 구성 중점 289
Point 13. 누리과정의 편성·운영 291
Point 14. 누리과정의 교수·학습 294
Point 15. 누리과정의 평가 297
Point 16. 개정 누리과정과 교사의 역할(놀이실행자료 중) 299
Point 17. 「2019 개정 누리과정」 5개 영역 이해하기 301
Point 18. 「2019 개정 누리과정」 5개 영역 303
Point 19. 유·초 연계 305
CHAPTER 02 신체운동·건강
Point 01.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목표 및 내용범주 308
Point 02.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내용 이해 및 유아 경험 실제 310
Point 03.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통합적 이해 312
Point 04. 신체 발달의 중요성과 신체 발달 원리 314
Point 05. 유아기 신체 발달 특성 315
Point 06. 기본 운동 능력의 발달 316
Point 07. 기초 체력의 형성 317
Point 08. 동작 교육 접근법 319
Point 09. 동작 교육의 내용 322
Point 10. 동작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328
Point 11. 체육 활동 지도 방안 330
Point 12. 바깥놀이 활동의 운영 방안 331
Point 13. 건강 교육 접근법 333
Point 14. 「식생활교육지원법」[시행 2022.2.18.] [법률 제18402호, 2021.8.17., 일부개정] 333
Point 15.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약칭:어린이식생활법) 335
Point 16. 유아 영양 관리 336
Point 17. 영양소 337
Point 18. 기초 식품군과 식품 구성 자전거 338
Point 19. ‘급식’ 관련 「유아교육법」 내용 340
Point 20. 급간식 지도 342
Point 21. 식생활 지도 344
Point 22. 비만 유아 지도 345
Point 23. 편식지도 346
Point 24. 식품 안전 347
Point 25. 식중독과 식품 알레르기 348
Point 26. 보건교육 관련 법규 352
Point 27. 건강검진 356
Point 28. 질병의 예방과 치료 358
Point 29. 법정 감염병 및 예방 접종 361
Point 30. 「유아 감염병 예방․위기대응 매뉴얼」(2016) 365
Point 31. 유아기 배설 통제 375
Point 32. 안전 교육 접근법 378
Point 33. 안전 교육의 이론적 배경 379
Point 34. 안전 교육 관련 법규, 평가 지침 381
Point 35. 어린이 놀이 시설 안전 관리 매뉴얼 386
Point 36. 안전 사고 발생 조치 387
Point 37. 응급처치 관련 법규 388
Point 38. 응급처치 389
Point 39. 화상 391
Point 40. 상황별 응급 처치 방법 392
Point 41. 교통안전교육 396
Point 42. 통학버스 운행 관련 법규 401
Point 43. 실종 및 유괴 예방 교육 403
Point 44. 전자 미디어 교육 405
Point 45. 전자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406
Point 46. 인터넷 408
Point 47. 미디어 관련 문제 행동 지도 410
Point 48. 컴퓨터 영역 지도 방법 413
Point 49. 화재 대피 요령 및 대피 훈련 414
Point 50. 지진 417
Point 51. 미세먼지 예․경보제 및 비상저감조치 등 420
Point 52. 미세먼지 단계별 조치사항 423
Point 53. 오존 431
Point 54. 성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 433
Point 55. 유아 성폭력 예방 교육 내용 및 방법 436
Point 56. 성교육 방법 439
Point 57. 성폭력 발견 시 대응 방법 441
Point 58. 유아의 성 행동 문제 443
Point 59. 유치원 내 성 관련 상황별 생활지도 450
Point 60. 2022 유치원 평가지표:건강 및 안전 영역 454
CHAPTER 03 의사소통
Point 01. 의사소통 영역의 목표 및 내용범주 455
Point 02. 의사소통 영역의 내용 이해 및 유아 경험 실제 456
Point 03. 의사소통 영역의 통합적 이해 459
Point 04. 언어의 특성 460
Point 05. 언어의 기능 461
Point 06. 언어의 형태 462
Point 07. 언어의 구성 요소 464
Point 08. 언어 표현 465
Point 09. 한글의 특성 467
Point 10. 언어와 사고의 관계 468
Point 11. 행동주의 이론 470
Point 12. 생득주의 이론 471
Point 13. 피아제(Piaget)의 인지적 상호작용주의 473
Point 14. 비고츠키(Vygotsky)의 사회적 상호작용주의 474
Point 15. 언어발달을 지원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476
Point 16. 유아기 언어 발달 특성 479
Point 17. 듣기 지도 483
Point 18. 말하기의 과정과 기능 484
Point 19. 유아기 발음의 특징 485
Point 20. 읽기의 과정과 기능 487
Point 21. 단어 읽기의 발달 488
Point 22. 그림책 읽기 행동의 발달 490
Point 23. 쓰기의 과정과 기능 494
Point 24. 클레이(Clay)의 쓰기 학습 원리 494
Point 25. 쉬케단츠(Schickedanz)의 단어 쓰기 전략 495
Point 26. 쓰기 발달 과정 496
Point 27. 문자 언어 교육에 대한 관점 498
Point 28. 발음(부호) 중심 접근법 499
Point 29. 언어 경험 접근법 499
Point 30. 총체적 언어 접근법 500
Point 31. 균형적 접근법 501
Point 32. 다양한 언어 교육 접근 방법(구성주의에 기초한) 503
Point 33. 브루노(Bruneau)의 초기 읽기 지도 모형 504
Point 34. 환경 인쇄물과 이름 글자 505
Point 35. 유아 문학의 특징 및 가치 506
Point 36. 유아 문학의 역사 507
Point 37. 유아 문학과 그림책 508
Point 38. 전승문학 510
Point 39. 창작문학 512
Point 40. 반응 중심 문학 교육 516
Point 41. 그림책의 통합적 접근법 519
Point 42. 모엔(Moen)의 문학 중심 교수 전략 520
Point 43. 동화 전달 매체 521
CHAPTER 04 사회관계
Point 01. 사회관계 영역의 목표 및 내용범주 522
Point 02.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 이해 및 유아 경험 실제 524
Point 03. 사회관계 영역의 통합적 이해 526
Point 04. 사회관계 영역의 변천 528
Point 05. 애착 이론 529
Point 06. 자아 개념(Self-conception)의 발달 534
Point 07. 공격성 발달 539
Point 08. 자기조절 능력 543
Point 09. 회복탄력성(resilience) 548
Point 10. 정서 지능 이론 550
Point 11. 마음 이론 554
Point 12. 우정의 발달 556
Point 13. 갈등의 지도 559
Point 14.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562
Point 15. 프로이드(S. Frued)의 도덕성 발달 이론 568
Point 16. 사회 학습 이론의 도덕성 발달 이론 568
Point 17. 피아제(Piaget)의 도덕성 발달 이론 569
Point 18.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 572
Point 19. 셀만(Selman)의 사회적 역할 수용(조망)능력 발달(social-role taking skill) 574
Point 20. 데이몬(Damon)의 공정성 발달 이론 576
Point 21. 튜리엘(Turiel)의 영역 구분 모형 578
Point 22. 길리건(Gilligan)의 배려(Caring)지향 도덕성 발달 이론 579
Point 23. 도덕적 토의 수업 581
Point 24. 양성 평등 교육 583
Point 25. 기본 생활 교육 591
Point 26. 「인성교육진흥법」 & 「인성교육진흥법 시행령」 593
Point 27.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594
Point 28. 유아 소집단 협동 활동 597
Point 29. 가치와 태도 수업 모형 600
Point 30. 현대 사회 가족의 유형 603
Point 31.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604
Point 32. 다문화 교육 접근법 606
Point 33.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608
Point 34. 반편견 교육 610
Point 35. 다문화 교육, 국제 이해 교육, 세계 시민 교육 614
Point 36. 유아 사회 교육 617
Point 37. 유아 사회 교육 접근법(Seefeldt, 1997) 619
Point 38. 유아 사회 교육 교수 학습 전략 621
Point 39. 지리 교육 625
Point 40. 유아 환경 교육 626
Point 41. 경제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627
Point 42. 역사 교육 630
Point 43. 민주 시민 교육 632
Point 44. 사회적 시사 교육 634
CHAPTER 05 예술경험
Point 01. 예술경험 영역의 목표 및 내용범주 635
Point 02. 예술경험 영역의 내용 이해 및 유아 경험 실제 636
Point 03. 예술경험 영역의 통합적 이해 639
Point 04. 예술경험 영역의 변천 641
유아 음악 교육
Point 05. 유아 음악 교육 접근법 642
Point 06. 유아 음악 교육 주요 용어 및 의미 647
Point 07. 음악의 구성 요소 650
Point 08. 조성에 따른 으뜸음과 주요 화음 655
Point 09. 음악 감상 활동의 운영 658
Point 10. 노래 부르기 활동 660
Point 11. 리듬 악기 연주 활동 663
Point 12. 음악극 활동 665
Point 13. 전래동요 667
Point 14. 전통 음악 교육 668
Point 15. 유아 동작 교육 운영 방법 675
Point 16. 우리 춤 677
유아 미술 교육
Point 17. 유아 미술 교육 사조 679
Point 18. 유아 미술 발달 이론 680
Point 19. 유아 미술 발달 단계 681
Point 20 입체 표현 발달 단계 686
Point 21 유아 미술의 특징 688
Point 22 원시 미술과 유아 미술의 특징 비교 690
Point 23 유아 미술 활동 지도 691
Point 24 유아 미술 활동 평가 694
Point 25 미술의 요소와 원리 695
Point 26 미술 감상 능력의 발달 699
Point 27 명화 감상 활동 방법 702
Point 28 명화 감상을 위한 교사 역할 703
Point 29 명화 감상 활동 진행 방법 705
Point 30 우리 미술의 특징과 종류 708
Point 31 전통 미술 교육 709
CHAPTER 06 자연탐구
Point 01. 자연탐구 영역의 목표 및 내용범주 711
Point 02. 자연탐구 영역의 내용 이해 및 유아 경험 실제 713
Point 03. 자연탐구 영역의 통합적 이해 716
Point 04. 자연탐구 영역의 변천 719
Point 05. 창의성 720
Point 06. 창의성 증진 기법 722
유아 수학 교육
Point 07. 유아 수학 교육 발달 이론 729
Point 08. 수학적 지식의 유형 732
Point 09.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태도 733
Point 10. 수 개념 발달 이론 737
Point 11. 수 개념 발달을 위한 학습 내용 738
Point 12. 공간 능력의 발달과 학습 내용 745
Point 13. 기하 도형의 이해와 지도 방법 748
Point 14. 비교하기의 발달과 지도 방법 753
Point 15. 순서 짓기의 발달과 지도 방법 755
Point 16. 측정 능력의 발달 757
Point 17. 시간 개념의 발달과 지도 방법 760
Point 18. 패턴 762
Point 19. 자료 수집 및 그래프 765
유아 과학 교육
Point 20. 피아제(Piaget) 이론과 과학 교육 769
Point 21. 브루너(Bruner) 이론과 과학 교육 771
Point 22. 비고츠키(Vygotsky) 이론과 과학 교육 772
Point 23. 구성주의 관점에 기초한 유아 과학 교육 773
Point 24. 탐구의 과정(과학 기술) 775
Point 25. 과학적 태도 777
Point 26. 과학적 지식의 체계와 교사 역할 779
Point 27. 과학 교육 프로그램 781
Point 28. 물리적 지식 활동(PKA) 접근을 통한 과학 교육 783
Point 29. 놀이를 통한 유아 과학 활동 786
Point 30. 과학 창의 교육 787
Point 31. 자연 체험 활동 788
Point 32. 녹색 성장 교육 내용 789
CHAPTER 07 유아교육과정론
Point 01. 유아교육과정 접근법 790
Point 02. 유아교육과정 유형 분류 791
Point 03. 유아교육 프로그램 794
Point 04. 유아교육의 교육 목표의 선정과 진술 796
Point 05. 유아교육의 교육 내용 조직 797
Point 06. 교수·학습 원리 798
Point 07. 교수·학습 방법 799
Point 08. 데일(Dale)의 경험의 원추 800
Point 09. 브루너(J. S. Bruner)의 지식 표상 양식 801
Point 10. 올젠(E. G. Olsen):대리적 학습 경험 802
Point 11. 교수 행동 유형 803
CHAPTER 08 평가
Point 01. 유치원 평가 관련 법규 805
Point 02. 5주기 유치원 평가 807
Point 03. 2019 개정 누리과정 평가 지침 808
Point 04. 유아 평가의 방법 810
Point 05. 관찰법 811
Point 06. 신뢰도와 타당도 812
Point 07. 표본식 기록 813
Point 08. 일화 기록 814
Point 09. 표본식 기록과 일화기록의 작성방법 814
Point 10. 사건 표집법 815
Point 11. 시간 표집법 817
Point 12. 행동 목록법 818
Point 13. 평정 척도법 819
Point 14. 관찰법의 특징 요약 821
Point 15. 면접법 822
Point 16. 포트폴리오 823
Point 17. 사회성 측정법 826
Point 18. 유치원생활기록부 829
CHAPTER 09 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Point 01. 놀이하며 배우는 유능한 유아 837
Point 02. 유아 놀이의 의미 838
Point 03. 유아 놀이에서의 의미 읽기 840
Point 04. 편성하기 842
Point 05. 교수·학습 실천하기 845
Point 06. 평가하기 854
Point 07. 교육과정 운영 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