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최선의 안전대책은 “예방”으로, 안전사고의 99%는 예방을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교육은 사후해결을 위한 교육이 아닌 예방을 위한 교육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본 교재는 한국보육진흥원의 보육교사 2급 자격 취득 교과목 표준교과개요에 맞춰 집필하였으며, 이론편과 실제편 총 13장으로 구성하였다. 이론편 1장에서는 영유아 안전사고에 대한 전반적 안내를, 2장에서는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따른 안전교육 대상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안전 시설과 설비 지침, 어린이집 평가제를, 4장과 5장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안전관련 법규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제편 6장에서는 교사들이 안전교육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방법들을 소개하였다. 7장부터 12장까지는 교통안전, 화재안전, 감염병 및 약물오남용 안전, 재난대비 안전, 대인관계 안전, 생활안전교육을 크게 교사를 위한 안전교육과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으로 정리하였다. 13장에서는 교사와 부모가 알고 있어야 할 응급처치를 다루었다. 특히 본 교재는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각 장마다 해당 주제별 관련 QR코드를 제공하였다.
이 책이 아동학, 유아교육, 그리고 보육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물론 영유아교육기관의 교직원과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아동안전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Chapter 01 영유아 안전사고에 대한 이해 9
1. 영유아 안전의 개념 및 의미 10
2. 영유아 안전사고의 실태 12
3. 영유아 안전사고의 특성 15
4. 영유아 안전사고의 예방 29
Chapter 02 연령별 발달 특성 및 안전사고 33
1. 영아기 34
2. 유아기 43
Chapter 03 영유아교육기관 실내외 안전관리 51
1. 실내 안전관리 52
2. 실외 안전관리 61
3. 어린이집 평가제와 안전관리 69
4. 안전관리를 위한 교사의 역할 74
Chapter 04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안전관리 77
1. 만 0~1세 보육과정과 안전관리 78
2. 만 2세 보육과정과 안전관리 82
3. 만 3~5세 보육과정(2019 개정 누리과정)과 안전관리 85
Chapter 05 안전 관련 법규와 안전관리 89
1. 영유아보육법과 안전관리 90
2. 아동복지법과 안전관리 94
3. 기타 법규와 안전관리 100
Chapter 06 영유아 안전교육 교수방법 113
1. 영유아 안전교육의 방법 114
2. 영유아 안전교육에서의 교사역할 120
Chapter 07 교통안전교육 129
I. 교사를 위한 교통안전교육 130
1. 교통안전교육의 이해 130
2. 교통안전사고 발생유형 및 예방법 132
3. 교통사고 발생 시 올바른 대처방법 139
II. 영유아를 위한 교통안전교육 140
1. 교통안전교육의 목표와 내용 140
2. 교통안전교육 실제 145
Chapter 08 화재안전교육 151
I. 교사를 위한 화재안전교육 152
1. 화재안전교육의 이해 152
2. 화재 발생유형 및 예방법 155
3. 화재 발생 시 올바른 대처방법 163
4. 소화기 사용 및 관리방법 165
Ⅱ. 영유아를 위한 화재안전교육 166
1. 화재안전교육의 목표와 내용 167
2. 화재안전교육 및 소방훈련 실제 168
Chapter 09 감염병 및 약물오남용 안전교육 173
I. 교사를 위한 감염병 및 약물오남용 안전교육 174
1. 감염병 및 약물오남용 안전교육의 이해 174
2. 감염병 및 약물오남용 안전사고의 유형 및 예방법 179
3. 감염병 및 약물오남용 예방 안전수칙 190
II. 영유아를 위한 감염병 및 약물오남용 안전교육 194
1. 감염병 및 약물오남용 안전교육의 목표와 내용 195
2. 감염병 및 약물오남용 안전교육 실제 197
Chapter 10 재난대비 안전교육 203
I. 교사를 위한 재난대비 안전교육 204
1. 재난대비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04
2. 재난의 유형 및 실태 207
II. 영유아를 위한 재난대비 안전교육 220
1. 재난대비 안전교육의 목표와 내용 220
2. 재난대비 안전교육 실제 .225
Chapter 11 대인관계 안전교육 231
I. 교사를 위한 대인관계 안전교육 232
1. 아동성폭력 안전교육 232
2. 아동학대 안전교육 242
3. 실종·유괴의 예방·방지 안전교육 254
II. 영유아를 위한 대인관계 안전교육 259
1. 대인관계 안전교육의 목표와 내용 260
2. 대인관계 안전교육 실제 264
Chapter 12 생활안전교육 271
I. 교사를 위한 생활안전교육 272
1. 스포츠 안전교육 272
2. 미디어 안전교육 279
3. 식품 안전교육 283
4. 동식물 안전교육 291
5. 공공장소(승강기 및 쇼핑카트) 안전교육 297
II. 영유아를 위한 생활안전교육 302
1. 생활안전교육의 목표와 내용 302
2. 생활안전교육의 실제 306
Chapter 13 응급처치 311
I. 응급처치의 이해 312
1. 응급처치의 개념과 목적 312
2. 응급처치의 기본 원칙 313
3.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응급상황 행동요령 314
II. 심폐소생술 323
1. 심폐소생술(CPR)의 정의 및 중요성 323
2. 심폐소생술의 방법 323
III. 상황별 응급처치 327
1. 이물질 사고 328
2. 출 혈 331
3. 염 좌 332
4. 골 절 333
5. 탈 구 334
6. 화 상 334
7. 두부 및 척추손상 336
8. 절 단 337
9. 물림 사고 337
10. 열성 경련 339
11. 치아 손상 339
참고문헌 340
찾아보기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