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부모교육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본 서는 부모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부모교육 이론과 자녀의 발달특성에 따른 부모역할을 중심으로 다양한 가족 유형에 따른 부모의 역할, 부모교육 프로그램, 부모 자기이해 강화, 부모교육 과제와 전망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집필되었다. 제1장은 부모교육의 개념과 역사, 부모됨의 의미와 바람직한 부모역할 그리고 부모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제2장은 부모교육의 역사적 배경으로 여러 학자들의 양육 관련 사상 및 이론을 조명함으로써 부모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이에 소개되는 이론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드라이커스의 민주적 부모교육 이론, 기노트의 인본주의적 관계, 고든의 부모효율성 이론, 번의 교류분석이론, 융의 분석심리학, 행동지도와 수정에 근간을 이루고 있는 왓슨과 스키너의 행동수정이론으로 설명하였다. 제3장은 다변화된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가족 유형(맞벌이 가족, 확대가족, 한부모가족, 재혼가족, 조손가족, 다문화가족, 입양가족, 장애아가족 등)에 따른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영유아교육기관이나 보육시설에서 유아의 가족 환경에 따른 부모교육지원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제4장은 자녀의 발달특성에 따른 부모역할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각 발달단계에 적합한 바람직한 양육문화의 모색을 다루며, 자녀의 발달과 성장에 따른 부모의 양육방법을 설명하였다. 제5장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부모 자신의 자기이해가 선결되어야 하기에 자기이해 강화 및 부모의 양육태도 프로그램에 대한 주제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 MBTI 프로그램,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을 설명하였다. 제6장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에서는 부모교육계획 수립, 운영 및 평가, 지역사회 연계방안에 대한 구체적 방법과 사례를 제시하여 영유아교육기관이나 보육시설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7장 부모교육의 과제와 전망에서는 현대사회 부모교육 관련 과제를 저출산, 가족 해체, 다문화, 가족지원 등으로 보고, 이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 부모교육의 전망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하였다.
  부모역할은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삶을 살아가면서 수행하는 수많은 역할 가운데 가장 어려운 역할이다. 부모교육을 통해 준비된 부모는 부모로서의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하며, 부모-자녀 간의 문제도 보다 지혜롭게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내용이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전부는 아닐 것이다.
그러나 영유아교육과 보육을 배우고 연구하는 학생들, 현장의 교사 및 부모교육에 관심을 가진 분들께는 작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1장 부모교육의 이해
   1. 부모교육의 개념과 역사 11
   2. 부모됨과 부모역할 30
   3. 부모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 40

제2장 부모교육 이론
   1.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47
   2. 드라이커스의 민주적 부모교육 이론 52
   3. 기노트의 인본주의적 관계 58
   4. 고든의 부모효율성 이론 61
   5. 번의 교류분석이론 67
   6. 융의 분석심리학 79
   7. 행동수정이론 85

제3장 다양한 가족 유형과 부모역할
   1. 핵가족(맞벌이 가족) 95
   2. 확대가족 97
   3. 한부모가족 99
   4. 재혼가족 102
   5. 조손가족 104
   6. 다문화가족 106
   7. 입양가족 109
   8. 장애아가족 112

 

제4장 발달단계와 부모역할 
   1. 발달의 개념 및 중요성 117
   2. 영아기 발달과 부모역할 119
   3. 유아기 발달과 부모역할 128
   4. 아동기 발달과 부모역할 132
   5. 청소년기 발달과 부모역할 139

제5장 자기이해 강화 및 부모 양육태도 프로그램
   1.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 147
   2. MBTI 프로그램 154
   3. 에니어그램 프로그램 164

제6장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1. 부모교육계획 수립 179
   2. 부모교육 운영 및 평가 205
   3. 부모교육과 지역사회 연계 214

제7장 부모교육의 과제와 전망
   1. 저출산과 부모교육 225
   2. 이혼과 부모교육 232
   3. 다문화와 부모교육 238
   4. 부모 및 가족지원 246
   5. 부모교육의 전망 253

   ▪참고문헌 256
   ▪찾아보기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