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교육철학 및 교육사 [개정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교육의 역사는 인간 삶의 이야기다. 왜냐하면 교육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교육사는 그들이 살아온 삶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교육문제에 대한 다양한 논의는 교육의 본질과 그 방향성에 대한 의문들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은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을 역사적으로 연구하고 조사함으로써 가능하다. 현재의 교육 양상들은 과거의 소산이기 때문이다. 또한 미래의 교육은 현재의 교육에 따라 방향이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교육의 역사 연구의 필요성은 현재의 교육을 바르게 파악하고 미래의 교육을 예견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철학과 역사는 어떤 학문을 연구하든지 필요하다. 각 학문영역에서 전문적인 연구나 올바른 문제의식은 철학과 역사에 기초를 두기 때문이다. 교육학 연구 또한 마찬가지다. 따라서 교육의 철학과 역사는 교육학 연구에서도 가장 필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직을 준비하는 예비교사의 경우에는 반드시 익혀야 할 교과이기도 하다. 예비교사들에게 교육의 철학과 역사 연구는 교육 실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뿐만 아니라 그들의 교육관 정립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CHAPTER 01 교육철학의 이해
   1. 교육철학의 개념 14
   2. 교육철학의 이론적 배경 17
   3. 교육철학의 기능 21
   4. 교육철학 연구 필요성 24

CHAPTER 02 전통철학과 교육
   1. 관념론과 교육 28
   2. 실재론과 교육 32
   3. 자연주의와 교육 37
   4. 실용주의와 교육 43

CHAPTER 03 현대 전기 교육사상
   1. 진보주의 교육 52
   2. 본질주의 교육 56
   3. 항존주의 교육 61
   4. 재건주의 교육 67

CHAPTER 04 현대 후기 교육사상 73
   1. 실존주의 교육 74
   2. 포스트모더니즘 교육 82
   3. 신자유주의 교육 89
   4. 생태주의 교육 98

 

PART 02 한국교육사

CHAPTER 05 고대사회의 교육
   1. 고조선사회의 교육 111
   2. 삼국사회의 교육 115
   3. 고구려의 교육 116
   4. 백제의 교육 117
   5. 신라의 교육 118
   6. 교육사상가 120

CHAPTER 06 고려시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123
   2. 교육기관 124
   3. 과거제도 130
   4. 교육사상가 132

CHAPTER 07 조선시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135
   2. 교육기관 136
   3. 교육법규 144
   4. 과거제도 146
   5. 성리학과 교육 150
   6. 실학사상과 교육 154

 

CHAPTER 08 근대와 현대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159
   2. 개화사상과 동학사상 160
   3. 근대학교 교육 162
   4. 교육사상가 170
   5. 일제강점기 교육 173
   6. 미군정기 교육 183

PART 03 서양교육사

CHAPTER 09 고대(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1. 그리스의 교육 190
   2. 로마의 교육 201

CHAPTER 10 중세의 교육 209
   1. 중세 교육의 특징 210
   2. 중세 교육의 형태 210
   3. 교육사상가 215

CHAPTER 11 근대의 교육Ⅰ(16세기와 17세기)
   1. 인문주의와 교육 217
   2. 종교개혁과 교육 221
   3. 17세기 실학주의 225

 

CHAPTER 12 근대의 교육Ⅱ(18세기와 19세기)
   1. 계몽주의 교육 234
   2. 자연주의 교육 236
   3. 국가주의 교육 244
   4. 신인문주의 교육과 계발주의 교육 246

CHAPTER 13 현대의 교육(듀이의 교육사상)
   1. 듀이의 사상적 배경 및 교육의 목적 259
   2. 경험과 교육 260
   3.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 262
   4. 실험학교 264

   ■ 참고문헌 267
   ■ 찾아보기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