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행복한 유아를 꿈꾸는 

유아교육과정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유아교육과정은 매 5년 정도의 주기를 가지고 바뀌어 왔다. 2012년에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이 고시된 이후 약 7년 만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고시되었다. 새 교육과정은 그동안 변화된 사회의 요구와 새로운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유아중심․놀이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새교육과정은 유아들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고 학습에 있어서의 자기 주도성을 증진하여 궁극적으로 ‘행복한 어린이’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교사가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해 주는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영유아교육을 담당할 예비유아교사로서 우리 학생들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해 고시된 미래 지향적인 교육과정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교육과정 문해력을 키우고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실행력을 증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래서 이 책은 예비유아교사들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문해력과 실행력을 증진하는 데 역점을 두어 편성하였다.

 

PART 01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변화와 교사들의 어려움

제1장 유아교육과정을 둘러싼 시대정신의 변화
   1. 학습자 중심 교육 지향 15
   2. 유아의 행복한 삶 추구 19
   3.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 25

제2장 유아중심․놀이중심을 지향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탄생
   1.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 31
   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2015)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비교 36
   3. 표준보육과정의 변천 43
   4. 제3차 표준보육과정과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비교 45

제3장 자율권이 확대된 교사들의 어려움과 해결 과정
   1.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겪은 유아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53
   2.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 63

 

PART 02 단위 기관의 개성 있는 교육과정 계획 및 실행

제4장 교육철학과 구현방침의 결정
   1. 원훈의 결정 77
   2. 구현방침의 결정 78

제5장 교육내용의 선정 및 놀이 지원하기
   1. 교사의 사전 교육계획 세우기 88
   2.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 지원하기 97

제6장 교사가 계획하는 집단활동의 운영
   1. 교사가 계획하는 집단활동의 의미 104
   2. 집단활동의 유형 106
   3. 집단활동의 계획 114
   4. 집단활동의 운영 116
   5. 집단활동별 운영의 예 117

 

PART 03 스스로 궁리하고 서로 협력하며 전문적인 도움 받아 교사의 전문성 기르기

제7장 교사협의회(학습공동체) 참여하기
   1.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 경험 127
   2.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 경험의 의미 139

제8장 원내 컨설팅-교사와 원감의 협력
   1. 유아반 놀이중심 교육의 협력적 실행 과정 150
   2. 협력적 실행과정에 따른 교사, 유아, 원감의 변화 174

제9장 원외 전문가의 컨설팅
   1.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컨설팅 실행과정 180

PART 04 단위 기관 교육과정 실행결과 확인․점검하기

제10장 자율성과 책무성을 점검하는 기관 평가
   1. 제5주기 2022년 유치원평가 추진계획 203
   2. 2022년 유치원 평가지표 및 항목 207

 

제11장 교육과정 실행력을 증진하는 교사 평가
   1. 교사 평가 방법 210
   2. 교원능력개발평가 211
   3. 좋은 유치원 교사의 모습 215

제12장 관찰을 통한 유아의 성장과 발달 평가
   1. 관찰목적 228
   2. 관찰단계 232
   3. 관찰방법 234
   4. 관찰지침 247

 

PART 05 예비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실행력 키우기-방해 요인 파악 및 해결

제13장 모의수업을 통한 수업운영 능력 기르기 
   1. 수업안에 대한 숙지 부족 251
   2. 수업안대로만 진행함에 따른 융통성 부족 253
   3. 긴장감으로 인해 경직된 표정과 음성으로 인한 상호작용의 어려움 255
   4. 유아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어려운 내용과 어휘의 사용 257
   5. 수업내용에 적절한 교재․교구 준비 및 활용의 부족 259

 

제14장 실제수업을 통한 수업운영 능력 기르기
   1. 수업 유형별 수업 목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263
   2. 수업 유형별 수업의 절차를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264
   3. 유아들의 발달적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었다 266
   4. 수업 자료와 매체 사용에 대해서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269
   5. 적절한 발문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270
   6. 전체 유아를 집중시키지 못하고 일부 유아들하고만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273
   7. 적절한 수업 자료를 준비하지 못하여 수업 진행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275
   8. 재미있고 역동적인 수업을 연출하는 데 어려움이 나타났다 278

제15장 보조교사 인턴 경험을 통한 현장적응 능력 기르기
   1. 민감해져 가는 감각 280
   2. 강인해져 가는 비위와 체력 284
   3. 제각각의 아이들, 맞춤 서비스의 깨달음 287
   4. ‘유치원의 1년’ 꿰뚫어 가기 290
   5. 유아와 교사, 모두가 재미있는 수업 만들어 가기 294
   6. 유아 교사로서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채워가기 297

 

부록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영역별 내용 변화 분석
   1.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내용 변화 303
   2. 의사소통 영역의 내용 변화 308
   3.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 변화 311
   4. 예술경험 영역의 내용 변화 315
   5. 자연탐구 영역의 내용 변화 318

   ■참고문헌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