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ebook 구매
검사 동등화는 공정성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탄탄한 검사 이론과 적절한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검사 기관은 현대 검사 이론인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을 활용하여 검사 동등화를 수행하고 있다. IRT는 문항 분석 및 검사 제작, 문항 은행의 구축, 컴퓨터 개별적응 검사(CAT), 검사 동등화와 수직 척도화 등 여러 연구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서의 목적은 최근 수십 년간 축적된 IRT 기반 검사 동등화의 이론과 기법을 집약하고 확장하는 데 있다.
IRT 기반 검사 동등화는 검사형의 제작, 자료 수집 설계의 선택, 검사의 실시와 자료수집, IRT 문항 모수와 능력 분포의 추정, 공통 능력 척도 개발을 위한 검사형들 간 능력 척도의 연계, 동등 점수에 대한 정의와 IRT 동등화 방법의 적용, 동등화 결과에 대한 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수행된다. IRT를 활용하여 검사 동등화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IRT 자체뿐만 아니라 척도화 이론, 통계학 이론, 비선형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한 수치해석 기법 등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론과 기법들은, 기존의 문헌에서 다루듯이, 책의 한두 장으로 다루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IRT 기반 동등화 작업은 난해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오해와 오용의 소지가 크다. IRT 검사 동등화 관련 이론과 기법들을 상세하고 정확하게 소개하는 동시에 현장의 목적에 맞게 변용하거나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담은 전문 책자가 필요하다. 본서는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본서는 심리 측정 및 척도화 이론, IRT, 척도 연계와 검사 동등화, 수직 척도화, 통계학적 추정 방법 등 매우 다양한 이론과 기법들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본서는 교육 평가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뿐만 아니라 심리 측정과 검사 이론, 척도 및 검사의 개발, 문항 은행의 구축, 컴퓨터 기반 검사, 통계학적 방법론 등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유익한 읽을거리가 될 것으로 믿는다.
CHAPTER 01 도입: 개념과 이론 11
1. 검사와 검사형 12
2. 고전검사이론의 기초 15
3. 척도화와 척도 27
4. 연계와 동등화 33
CHAPTER 02 문항반응이론의 기초 37
1. IRT의 필요성 39
2. IRT의 가정 40
3. 일차원 이분 IRT 모형 47
4. 척도 미결정성과 모형의 식별 55
5. 검사반응함수와 진점수 57
6. 능력 모수 추정과 정보함수 59
7. 문항 모수 및 능력 분포의 추정 67
8. 비선형 방정식에 대한 수치해석 방법 72
CHAPTER 03 검사 점수와 동등화의 기초 77
1. 검사 점수의 유형 78
2. 동등화의 의미와 목적 89
3. 동등화의 조건 92
4. 자료 수집 설계 96
5. 랜덤집단 설계 기반 동등화 방법 102
6. 동등화 오차 119
CHAPTER 04 IRT 척도 연계: 공통 능력 척도의 개발 123
1. IRT 척도 연계의 필요성과 조건 125
2. IRT 척도 연계의 기본 원리와 방법 127
3. 척도 연계 방법의 개요 133
4. 3PL 모형을 위한 척도 연계 방법 136
5. 1모수 Rasch 모형을 위한 척도 연계 방법 150
6. 다분 IRT 모형을 위한 척도 연계 방법 152
7. 혼합형 검사를 위한 척도 연계 방법과 예시 162
8. 공통 능력 척도 개발을 위한 대안적 방법 169
CHAPTER 05 IRT 검사 동등화의 원리와 응용 183
1. IRT 검사 동등화에 사용되는 모수 추정치 자료 186
2. IRT 진점수 동등화 189
3. IRT 관찰점수 동등화 193
4. IRT 진점수 및 관찰점수 동등화의 예시 201
5. IRT 문항 풀과 동등화 설계 209
CHAPTER 06 IRT 척도 연계 및 동등화의 표준오차 217
1. 표준오차 추정의 기초 219
2. 동백분위 동등화의 표준오차 224
3. IRT 척도 연계의 표준오차 228
4. IRT 진점수 동등화의 표준오차 235
5. IRT 관찰점수 동등화의 표준오차 244
6. 동등화 표준오차의 추정 연구 251
7. IRT 모형에 대한 편도함수 259
CHAPTER 07 IRT 능력 모수의 추정 263
1. 자료와 확률 모형의 표기 266
2. 최대우도(ML) 추정 방법 267
3. 사후최대(MAP) 추정 방법 274
4. 사후기대(EAP) 추정 방법 279
5. IRT 능력 모수 추정량의 특성 비교 연구 281
6. IRT 능력 모수 추정량의 표준오차 299
CHAPTER 08 IRT 수직 척도화 307
1. 측정 영역과 검사 수준 311
2. 수직 척도화 자료 수집 설계 313
3. IRT 수직 척도화 방법 321
4. 수직 척도에 대한 평가 331
5. IRT 기반 수직 척도 개발의 예 332
CHAPTER 09 다차원 IRT 모형과 능력 척도의 연계 343
1. 다차원 IRT 모형 346
2. 다차원 능력 척도의 미결정성과 모형의 식별 355
3. 탐색적 다차원 IRT 모형을 위한 척도 연계 방법 360
4. 이요인 다차원 IRT 모형을 위한 척도 연계 방법 379
CHAPTER 10 다차원 IRT 기반 동등화 393
1. 다차원 동등화의 조건 395
2. 다차원 IRT 진점수 동등화 399
3. 다차원 IRT 관찰점수 동등화 405
4. 다차원 IRT 동등화의 예시 411
■ 참고문헌 428
■ 찾아보기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