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어제보다 나은 오늘,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리 주위의 현상을 관찰하고 창의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유아교육에 헌신하는 교직원의 삶을 이해하고 유아교육 현장의 문제를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부단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유아교육계에서는 오랜 동안 양적 연구의 패러다임이 지속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아교육에 있어서는 유아발달적인 측면의 이해도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영유아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개선 방안에 대한 유아교육인과 학부모의 요구와 기대가 절실한데, 이에 질적 연구방법이 보다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양적 연구에서는 A 교수방법을 실험집단에, B 교수방법을 비교집단에 일정 기간 처치하고 난 후 검증하여 본 결과 A 교수방법이 유아의 읽기 능력, 쓰기 능력, 학습을 위한 사회적 기술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논문을 읽은 독자가 그 좋은 방법을 본인 자신의 학급에 실제로 적용하려는 엄두를 내기가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의 전 과정이 문장으로 기술되기 때문에 독자가 연구현장에 대해 구체적으로 눈에 보이는 듯이 이해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객관적인 사실만이 아니라 연구 참여자로 등장하는 교사나 유아의 생각이나 느낌까지도 전달되므로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유아교육 현장의 현상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질적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과 달리 일률적으로 정해진 원리가 있는 것이 아니어서, 초보 연구자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질적 연구방법 관련 저서들이 외국의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교육보다는 교육학 전반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들이 참고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이에 본 저자는 한국의 유아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본인이 직접 연구한 120여 편의 질적 연구논문(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논문의 작성 방법과 질적 연구논문의 유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안내하고자 합니다. 이 책이 아무쪼록 유아교육 교직원의 삶을 이해하고 유아교육 현장의 문제를 개선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동료 여러분들의 많은 지도와 편달을 부탁드립니다.

 

Ⅰ.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이해

제1장 연구와 논문의 이해 12
  1. 연구 12
  2. 논문 13
  3. 학위논문을 준비하는 연구자를 위한 연구와 논문 작성 절차 안내 16

제2장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특징 19
  1. 양적 연구의 특징 19
  2. 질적 연구의 특징 21

제3장 양적 연구논문의 이해 24
   논문 1. 기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만 5세 협동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25

제4장 질적 연구논문의 이해 62
   논문 2. 아동학대에 관한 보육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63

Ⅱ. 질적 연구의 자료수집 방법

제5장 면담방법을 활용한 질적 연구 92
   논문 3. 미세먼지 문제로 인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고민과 실천에 대한 탐구 92

제6장 참여관찰을 활용한 질적 연구 133
   논문 4. 자유놀이 활동에서 나타난 만 2세 영아들의 또래갈등 양상과 해결전략 및 변화과정 탐색 133

 

제7장 연구 참여자의 저널을 활용한 질적 연구 172
   논문 5. 보조 교사 경험을 통한 유아교사 되어가기 172

Ⅲ. 질적 연구논문의 작성 방법

제8장 서론의 작성(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문제) 202
   논문 6. 유아교육기관의 남자 원장이 느끼는 어려움과 기쁨 203
   논문 7. 사립유치원 원장의 고충과 보람, 그리고 희망 206
   논문 8. 영아반의 낮잠시간이 갖는 의미 고찰 : 만 1세와 만 2세 영아반을 중심으로 208
   논문 9. 자유놀이 상황에서 발현되는 만 5세 유아의 또래 집단놀이 참여 전략-쌓기영역과 역할영역을 중심으로 - 213
   논문 10. 만 5세 학급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유아 주도적 소집단 토의 운영을 위한 실행연구 216

제9장 연구방법의 작성 220
   논문 11. 유아교육기관의 남자 원장이 느끼는 어려움과 기쁨 221
   논문 12. 자유놀이 상황에서 발현되는 만 5세 유아의 또래 집단놀이 참여전략-쌓기영역과 역할영역을 중심으로 - 224
   논문 13. 대학원 생활을 병행하는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의미 228
   논문 14. 예비유아교사의 장기간 교육실습 경험을 위해 대학과 유치원의 협력으로 시행되는 보조교사 제도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233
   논문 15.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영아반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239

 

제10장 결과 및 해석의 작성 247
  1. ‘유아교육 교직원의 삶의 이해’에 관심을 가진 논문 248
   논문 16.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결혼과 임신, 출산으로 겪는 어려움 248
   논문 17.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어려움 249
   논문 18. 사립유치원 원감의 애환과 보람 그리고 희망 250
   논문 19. 사립유치원 원장의 고충과 보람, 그리고 희망 251
   논문 20. 유아교육기관의 남자 원장이 느끼는 어려움과 기쁨 252
   논문 21. 취업을 준비하는 예비유아교사의 어려움 254
   논문 22. 어린이집에서 유치원으로 전직한 교사들의 이야기 255
   논문 23. 공립유치원 교사가 되기 위한 계속된 도전, 실패와 극복 이야기 256
   논문 24. 10년 이상 경력의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고민과 요구 257
   논문 25. 어린이집 평가인증 현장관찰자로 살아가기 258
  2. ‘영유아 지도방법 개선과 교사 전문성의 신장’에 관심을 가진 논문 259
   논문 26.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 보조 교사 경험의 의미 259
   논문 27.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초임교사에게 주는 의미 260
   논문 28. 외국인 유아를 지도하는 한국인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및 노력 261
   논문 29.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조력을 통한 교사 및 유치원의 변화 262
   논문 30. 교육실습 기간 중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 수업의 특징 263
   논문 31. 슈퍼바이저의 지원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의미-한 학기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264
   논문 32. 원내 수업 컨설팅 모형 개발과정에서의 유치원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대한 경험 265
   논문 33. 학부모 불만해결 과정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원의 경험 266
   논문 34.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 실행에 따른 교사의 성장과정-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중심으로 267
   논문 35. 영유아 권리존중 교육을 통한 보육교사의 갈등과 성찰 및 인식 변화 268
  3. ‘영유아 삶의 이해’에 관심을 가진 논문 269
   논문 36. 자유놀이 상황에서 발현되는 만 5세 유아의 또래 집단놀이 참여전략 269
   논문 37. 어린이집 만 1~3세 영유아의 점심시간 경험의 특성 271
   논문 38. 만 5세 남아들의 싸움놀이의 의미 272
   논문 39. 만 1세 영아반의 영아-교사와 영아-영아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272
   논문 40. 만 2세반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273
   논문 41. 만 3세 유아반의 유아-교사, 유아-유아 간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274
   논문 42. 어린이집 만 1세 학급에서 보이는 영아들의 정서표현 탐색 275
   논문 43. 혼합연령 학급에서 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대처방법 이해 276
   논문 44. 만 1세 영아반에서 놀이중심 배변학습의 교육적 의미 탐색 277
   논문 45. 자유놀이활동에서 나타난 만 2세 영아들의 또래갈등 양상과 해결전략 및 변화과정 탐색 278
  4. ‘영유아 학부모의 이해’에 관심을 가진 논문 279
   논문 46. 어머니가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과정 및 신뢰를 형성하는 과정 279
   논문 47. 어린이집 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280
   논문 48. 1세 미만 영아를 양육하는 초보 어머니의 어려움과 기쁨 281
   논문 49. 초보 아버지들의 양육특성과 아버지 됨의 변화과정 282
   논문 50. 한부모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가 겪는 어려움, 그리고 바람 283
   논문 51. 어린이집 학부모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284
   논문 52. 어머니가 어린이집을 선택하고 신뢰를 형성해 가는 과정 285
   논문 53. 간호사 엄마들의 우리 아이 키워내기 286
   논문 54. 유아교사 출신 어머니들이 자녀 사교육에서 경험하는 딜레마 탐색 287
   논문 55. 교사의 권유로 내 아이의 문제 행동에 대해 전문가 상담을 받은 어머니들의 이야기 288

 

제11장 논의 및 결론의 작성 290
   논문 56. 유아교육기관의 남자 원장이 느끼는 어려움과 기쁨 291
   논문 57. 대학원 생활을 병행하는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의미 296
   논문 58. 유아교사의 직업갈등에 관한 이야기 302
   논문 59.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 보조 교사 경험의 의미 306
   논문 60. 만 1세 영아반의 영아-교사와 영아-영아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310

제12장 참고문헌의 작성 316
   논문 61. 대학원 생활을 병행하는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의미 317
   논문 62. 혼합연령 학급에서 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대처방법 이해 319

제13장 영문초록의 작성 330
   논문 63. 유아교육기관의 남자 원장이 느끼는 어려움과 기쁨 330
   논문 64. 만 1세 영아반의 영아-교사와 영아-영아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331
   논문 65.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 보조 교사 경험의 의미 332
   논문 66. 사립유치원 원장의 고충과 보람, 그리고 희망 333
   논문 67.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특성과 어머니됨의 변화과정 /334

Ⅳ. 질적 연구논문의 접근 방법

제14장 현상학적 접근 방법의 논문 336
   논문 68. CCTV 송출 시스템을 운영하는 어린이집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과 바람 / 337

제15장 사례연구 접근 방법의 논문 346
   논문 69. 10년 이상 경력의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고민과 요구 346

제16장 문화기술지 접근 방법의 논문 357
   논문 70. 혼합연령 학급에서 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대처방법 이해 357

제17장 내러티브 접근 방법의 논문 369
   논문 71. 한 보육교사의 입사에서부터 퇴사까지의 내러티브 탐구 369

제18장 근거이론 접근 방법의 논문 380
   논문 72. 영아교사의 심리적 소진 회복과정 분석 연구 380

제19장 실행연구 접근 방법의 논문 394
   논문 73. 어린이집 교사가 요청한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컨설팅 실행과정 탐색 394

  논문목록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