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logo2.png
오늘 본 도서

사회복지학개론 [제2판]


  • 강의자료
  • 구매하기
  • 장바구니
  • ebook 구매
 

  사회복지를 한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사회복지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질문을 하면 머뭇거리면서 알기는 아는데 한마디로 정의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평생교육 시대에 이런저런 과정을 통해서 사회복지를 접하는 학생들에게, 특히 만학도에게는 더욱 그런 것 같다.
  이 과목은 사회복지학과에 들어와서 처음 배우는 전공과목 중 하나로서 사회복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사회복지과에서 앞으로 배우게 될 내용들을 전반적으로 소개하는 과목이다. 이 책은 사회복지가 무엇을 하는 학문이며 무엇을 대상으로 실천을 하는 학문인가를 소개하는 책이다. 사회복지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인간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인 욕구, 개인적인 문제를 사회복지 제도와 서비스를 통해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학생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사회복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쉽고 간단하게 기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깊은 내용은 별도의 전공과목에서 배우기 때문에 개론서에서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기보다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방향으로 집필 방향을 정했다.
  사회복지학개론을 오랫동안 가르치면서 느꼈던 문제와 학생들의 입장에서 다가가기 쉽도록 고려하려고 노력했다. 사회복지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은 용어 자체가 생소한 것이 많아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 배우는 입장을 고려하여 교양적이고 상식적인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구성을 하였다.

 

PART 1 사회복지의 기초

Chapter 1 사회복지학문은 무엇을 배우는 것인가?
  1.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12
  2. 사회복지 개념과 정의 20
  3. 사회복지와 유사개념 24

Chapter 2 사회복지와 사회문제
  1. 사회적 정의란 무엇인가? 27
  2. 사회문제란 무엇인가? 28
  3.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의 관계 32
  4. 현대사회의 사회문제 33

Chapter 3 사회복지의 기본가치와 윤리
  1. 사회복지의 가치 37
  2. 사회복지의 실천윤리 41
  3. 실천윤리와 윤리적 갈등 43

Chapter 4 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 영국의 사회복지 역사 48
  2. 미국의 사회복지 역사 54
  3. 한국의 사회복지 역사 57

 

PART 2 사회복지의 실제

Chapter 5 사회복지 조직
  1.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65
  2. 민간기관 및 단체 68
  3. 민관협력 조직 71

Chapter 6 사회복지 입법체계
  1. 사회보장기본법 76
  2. 공공부조법 78
  3. 사회보험법 81
  4. 사회복지사업법 92

Chapter 7 사회복지실천 방법
  1. 사회복지실천 97
  2. 사회복지실천기술 107
  3. 지역사회복지 115
  4. 사회복지행정 123
  5. 사회복지정책 127
  6. 공공부조(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133

Chapter 8 사회복지실천 대상 1
  1. 아동복지 135
  2. 노인복지 142
  3. 장애인 복지 149

 

Chapter 9 사회복지실천 대상 2
  1. 여성복지 161
  2. 가족복지 164
  3. 다문화복지 168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 분야
  1. 일차 실천현장 176
  2. 이차 실천현장 181

Chapter 11 사회복지 관련 자격증
  1. 사회복지사 191
  2. 보육교사 196
  3. 요양보호사 199

  ■ 참고자료
    1. 사회보장기본법 205
    2. 사회복지사업법 217
    3.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 246
    4.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250
    5.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265

  ■ 참고문헌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