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하기
장바구니
최근 우리나라 사회복지분야에서 사례관리는 가장 중요한 실천방법론으로 수행되고 있습니다. 2000년대 들어와 공공영역의 사례관리가 처음 도입되고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민간영역의 사회복지관에서도 사례관리는 주요 기능 중 하나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2017년 첫 출간을 한 이후 사례관리 환경이 변화되고 관련 정책과 제도, 실천 영역이 새롭게 변모되어 개정이 불가피함에 따라 발간하였습니다. 특히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제시하는 교과목 지침서 가 2019년부터 크게 달라졌고, 이에 2판에서는 새로운 제도의 변화, 교과목 지침서의 변화, 기록양식의 변화 등을 보완하여 전면적으로 개정하였습니다. 이 책의 구성은 제1부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기초, 제2부 사회복지 사례관리 과정, 제3부 사회복지 사례관리 실천현장의 이해로 이루어져 있으며, 2022년 사례관리론 교과목 지침서의 구성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수행되는 사례관리의 이론적 및 실천적 지식을 제공하고, 각 실천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사례관리 기록지를 교육하고 실습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2판에서는 [학습노트]를 포함하여 실천사례를 담아내려고 노력하였으며, 보다 학습자의 눈높이를 고려하였습니다.
초판 발간 이후 그동안 교재로 사용해 주신 전국 사회복지학 계열의 교수님과 학생들, 그리고 실천현장의 사회복지사 선생님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 책은 저자의 다년간의 강의경험과 연구경험, 그리고 슈퍼비전 경험과 실천현장의 경험 등을 담아내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이 교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론 수업과 기록지를 작성해 보는 실기 수업을 병행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PART 01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기초
제1장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개념과 원리
1.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정의 13
2.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목적 및 목표 19
3.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특성 22
4.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가치와 윤리 24
제2장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역사적 발달과정
1. 미국의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발달과정 및 특징 31
2. 영국의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발달과정 및 특징 37
3. 우리나라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발달과정 및 특징 43
제3장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관점과 이론
1.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관점과 이론 50
2.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모형 65
제4장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구성체계
1. 사례관리 이용자:클라이언트 73
2. 사례관리자 74
3. 사회자원 77
4. 사례관리 과정 79
5. 사례관리 운영체계 80
제5장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기능 및 사회복지 사례관리자의 역할
1. 사회복지 사례관리의 기능 94
2. 사회복지 사례관리자의 역할 101
PART 02 사회복지 사례관리 과정
제6장 초기단계
1. 초기단계의 이해 107
2. 사례 발굴 108
3. 인테이크(초기 면접) 112
제7장 사정단계
1. 사정의 개념 124
2. 사정의 특성 125
3. 사정의 영역 127
4. 사례관리 사정표(욕구 조사표) 작성 146
제8장 서비스 계획 단계
1. 서비스 계획 수립의 개념 163
2. 서비스 계획 수립의 단계 164
3. 서비스 계획표 작성 169
제9장 서비스 실행 및 점검 단계
1. 서비스 실행 173
2. 사례관리 과정기록지 작성 181
3. 점 검 182
제10장 평가 및 종결 단계
1. 평 가 185
2. 종 결 188
3. 사후관리 192
PART03 사회복지 사례관리 실천현장의 이해
제11장 공공사례관리 1 : 희망복지지원단 사업의 이해
1. 공공사례관리 실천현장으로서 희망복지지원단의 특징 197
2. 희망복지지원단의 현황 199
3. 희망복지지원단의 통합사례관리 과정 203
제12장 공공사례관리 2 : 드림스타트 사업의 이해
1. 아동복지 사례관리 실천현장으로서 드림스타트의 이해 214
2. 드림스타트의 현황 218
3. 통합사례관리사업의 과정 221
제13장 민간사례관리 : 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사업의 이해
1. 사례관리 실천현장으로서 사회복지관의 이해 228
2. 종합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실천 특성 233
부록1 사정단계 보충자료 237
부록2 사례관리 서비스 의뢰서 240
부록3 10대 욕구영역 참고자료 242
부록4 복지자원 표준분류체계 245
■참고문헌 254
■찾아보기 259